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요리/살림 > 집/인테리어 > 집짓기
· ISBN : 9788932316505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13-02-22
책 소개
목차
추천사 지금 어떤 집에서 살고 있습니까/
머리말 ‘어떻게 살 것인가’라는 질문에 응답하는 집
프롤로그 우리는 다른 집에 산다
주택 문제 해결에 공동이 힘을 모으다 / 경제적 부담은 줄이고 활용 면적은 늘리는 주택 / 살 사람이 직접 설계하는 입주자 참여형 주택 / 사람과 소통하고 마을과 소통하는 공동체 주택
1장 꿈꾸다, 안정된 주거와 더불어 사는 행복
이웃들과 함께하는 마을살이 / 협동조합이라는 소중한 경험 / 안정된 주거에 대한 열망 / 우리, 코하우징 해 볼까/ / 코하우징 관심자 모임으로 출발 / ‘소통이 있어서 행복한 주택 만들기’의 탄생 / 코하우징 코디네이터의 역할 1 : 전문가와 비전문가를 잇다 / 코하우징 코디네이터의 역할 2 : 입주자와 입주자를 잇다 / 소행주는 마을 기업
2장 꾀하다, 맘껏 개성을 살리면서 어울려 사는 집
운명적으로 만난 꿈의 터전 / 집 짓기에 필요한 공간 계산 / 커뮤니티공간을 계획하다 / 적은 돈으로 넓은 공간을 얻는 방법 1 : 커뮤니티공간 / 적은 돈으로 넓은 공간을 얻는 방법 2 : 현관 바깥도 내 집으로 / 근린생활시설을 건물 안에 / 일, 육아, 마을살이를 함께할 수 있는 엄마들의 작업장 / 코하우징 할 사람, 모여라!(귀촌 후 도시에서 지낼 딸들을 생각하는 밤비 / 아이에게 형제자매 같은 이웃을 만들어주고 싶은 지니 / 중규모의 집을 원하는 에이미 / 한곳에 정착해서 아이를 키우고 싶은 길모 / 어머니를 위한 공간이 필요한 풍뎅이 / 아이를 이웃들과 함께 돌보고 싶은 채송아 / 자유분방한 느리와 성미살마을살이에 흥미를 느낀 하하) / 생각보다 작네, 생각보다 집값이… / 비누두레와 도토리 방과후학교의 입주 / 성미산공방이 들어오다 / 첫 번째 입주자 모임에서의 고백 / 자! 떠나자, 남한산으로
3장 짓다, 설계부터 내 손으로 내 맘대로
직접 평면을 그리다 / 평면 공유 워크숍 / 도토리 방과후학교와 커뮤니티공간을 함께 쓰다 / 공용공간 워크숍 / 공용공간 워크숍에서 논의한 내용 / 빈집 프로젝트와 착공식 / 날벼락 맞은 건설회사/ / 단열과 방음에 심혈을 기울이다 / 개성과 욕구의 반영 vs. 공사와 관리의 효율성 / 입주자 참여형 설계의 과제 / 하자 없는 집은 없다 / 우리는 이렇게 지었어요(301호 느리네 : 내게 맞춤인 숨는 집과 소행주 / 302호 하하네 : 빗소리와 책이 어우러지는 집 / 401호 야호네 : 아이와 엄마가 행복해서 아빠도 행복한 집 / 402호 풍뎅이네 : 아이와 부모님 모두를 위한 공간 / 501호 지니네 : 우리는 작은 집을 지었어요 / 502호 밤비네 : 미리 마련해둔 두 딸의 독립 공간 / 503호 길모네 : 우리가 만든 진짜 우리 집 / 601호 에이미네 : 다락이 있는 맞춤 공간 / 602호 채송아네 : ‘나’보다는 ‘우리’를 먼저 생각한 집) / 짐 싸기 그리고 나누어 갖기 / 드디어, 입주 시작
4장 살다, 나누고 보태는 풍요로움
오픈 하우스 / 입주자 회의를 구성하다 / 입주 초 한 달, 왜 이리 피곤하지/ / 저녁식사 같이 하기 / 기막힌 축복, 품앗이 육아! / 함께하니 덜어낼 수 있고 덜고 나니 자유롭다 / 커뮤니티공간 100배 활용하기 / 한 평의 힘 / 공용공간 최대한 활용하기 / 쓰임새 많은 멀티 공간, 계단참 / 공과금과 장기수선충당금은 어떻게 나누지/ / 서로를 당황하게 만든 물난리 / 사람 사는 일에 갈등은 당연한 것 / 살다 보니 만들어진 규칙들 / 소행주 입주자들에게 묻다 ‘전격 Q&A’ / 코하우징 주택살이가 곧 살아 있는 교육 / 한 가족이 되어 가는 아홉 가족
에필로그 코하우징 프로젝트는 계속됩니다
소행주 1호에 이어 2호를 짓다 / 계속되는 소행주의 프로젝트들 / 독립생활자를 위한 주거 / 코하우징, 어려운 결단이 아닌 자연스러운 선택이 되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