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겸재의 한양 진경

겸재의 한양 진경

최완수 (지은이)
현암사
5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55,000원 -0% 0원
2,750원
52,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겸재의 한양 진경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겸재의 한양 진경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한국미술
· ISBN : 9788932319407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18-09-15

책 소개

간송미술관 가헌 최완수 선생의 반세기에 가까운 겸재 정선 연구가 빚어낸 책으로, 겸재의 한양 진경을 감상하며 옛 서울을 여행할 수 있게 한 화집이다. 우리의 역사, 지리, 인물, 시문(詩文), 서화(書?), 종교, 이념 등을 서로 엮어 다채롭고 깊이 있게 해설하고 있다.

목차

머리말
초판 머리말
01. 인곡유거(仁谷幽居)
02. 독서여가(讀書餘暇)
03. 인곡정사(仁谷精舍)
04. 인왕제색(仁王霽色)
05. 옥동척강(玉洞陟崗)
06. 삼승정(三勝亭)
07. 삼승조망(三勝眺望)
08. 장안연우(長安烟雨)
09. 백악산(白岳山)
10. 독락정(獨樂亭)
11. 취미대(翠微臺)
12. 은암동록(隱岩東麓)
13. 대은암(大隱岩)
14. 은암회방연(隱巖回榜宴)
15. 북원기로회(北園耆老會)
16. 청송당(聽松堂)
17. 자하동(紫霞洞)
18. 창의문(彰義門)
19. 백운동(白雲洞)
20. 풍계유택(楓溪遺宅)
21. 청풍계(淸風溪)
22. 청휘각(晴暉閣)
23. 수성동(水聲洞)
24. 필운대(弼雲臺)
25. 필운상화(弼雲賞花)
26. 경복궁(景福宮)
27. 목멱산(木覓山)
28. 동소문(東小門)
29. 동문조도(東門祖道)
30. 서교전의(西郊餞儀)
31. 세검정(洗劒亭)
32. 녹운탄(綠雲灘)
33. 독백탄(獨栢灘)
34. 우천(牛川)
35. 석실서원(石室書院)
36. 삼주(三洲) 삼산각(三山閣)
37. 광진(廣津)
38. 송파진(松坡津)
39. 압구정(狎鷗亭)
40. 목멱조돈(木覓朝暾)
41. 양화환도(楊花喚渡)
42. 양화진(楊花津)
43. 선유봉(仙遊峯)
44. 이수정(二水亭)
45. 공암층탑(孔岩層塔)
46. 소요정(逍遙亭)
47. 양천현아(陽川縣衙)
48. 종해청조(宗海聽潮)
49. 소악후월(小岳候月)
50. 소악루(小岳樓)
51. 안현석봉(鞍峴夕烽)
52. 금성평사(錦城平沙)
53. 행호관어(杏湖觀漁)
54. 귀래정(歸來亭)
55. 낙건정(樂健亭)
56. 개화사(開花寺)
57. 사문탈사(寺門脫蓑)
58. 척재제시(惕齋題詩)
59. 시화환상간(詩畵換相看)
60. 설평기려(雪坪騎驢)
61. 빙천부신(氷遷負薪)
62. 동작진(銅雀津)
겸재(謙齋) 정선(鄭敾)
한양 진경의 현재 위치
용어 해설
찾아보기(지명, 인명)

저자소개

최완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진경시대 문화 연구의 대가이자 겸재 정선, 추사 김정희 연구의 일인자이다. 1942년 충남 예산에서 출생하였으며, 서울대 사학과를 졸업하였다. 1965~1966년 국립박물관을 거쳐, 1966년부터 지금까지 간송미술관 연구실장, 한국민족미술연구소 소장으로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그동안 서울대 인문대 국사학과, 서울대 미대 회화과 및 대학원(1975년부터 1992년까지 17년 연속), 연세대(1976년부터 2015년까지 39년 연속)・이화여대・동국대・중앙대・용인대・국민대 및 대학원에서 강의하였다. 저서로 『추사집(秋史集)』(1976), 『김추사연구초(金秋史硏究艸)』(1976), 『그림과 글씨』(1978), 『불상연구(佛像硏究)』(1984), 『겸재(謙齋) 정선(鄭敾) 진경산수화(眞景山水畵)』(1993), 『명찰순례(名刹巡禮)』(전 3권, 1994), 『우리 문화의 황금기 진경시대』(전 2권, 1998), 『조선왕조 충의열전』(1998), 『겸재를 따라가는 금강산 여행』(1999), 『한국불상의 원류를 찾아서』(전 3권, 2007), 『겸재(謙齋) 정선(鄭敾)』(전 3권, 2009), 『추사집(秋史集)』(2014), 『추사 명품(秋史 名品)』(2017), 『겸재의 한양 진경』(2004년 초판, 2018년 전면 개정판)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 「간다라 불의고(佛衣攷)」, 「석가불정도설(釋迦佛幀圖說)」, 「겸재(謙齋) 정선(鄭敾)」, 「겸재진경산수화고(謙齋眞景山水畵考)」, 「추사실기(秋史實紀)」, 「추사서파고(秋史書派考)」, 「비파서고(碑派書考)」, 「한국서예사강(韓國書藝史綱)」, 「추사(秋史)일파(一派)의 글씨와 그림」, 「현재(玄齋) 심사정(沈師正) 평전(評傳)」, 「우암(尤庵) 당시의 그림과 글씨」, 「고덕면지총사(古德面誌總史)」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인곡유거는 겸재(謙齋) 정선(鄭歚, 1676~1759)이 살던 집의 이름이다. 지금은 아파트만 이름이 있고 단독주택은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이름이 없지만 겸재가 살던 진경시대에는 사대부의 집들이 모두 택호(宅號)를 가지고 있었다. 그래서 겸재도 자신이 52세부터 살기 시작하여 84세로 돌아갈 때까지 살았던 이곳 인왕산 골짜기의 자기 집 이름을 인곡유거 또는 인곡정사(仁谷精舍)라 불렀다. -〈인곡유거(仁谷幽居)〉


〈독서여가〉는 겸재가 50대 초반 북악산 아래 유란동(幽蘭洞)에서 생활하던 모습을 그림으로 그려낸 자화상(自畵像)이라고 생각된다. 인왕곡 인곡유거로 이사 가기 직전인 52세(1727)경에 기념으로 그려두었을 가능성이 크다. 사랑채 지붕이 초가지붕이라서 인곡정사 사랑채의 기와지붕과 다르기 때문이다. 실제 이 그림에서 보면 인물화 역시 상승에 이른 것으로 오히려 관아재를 능가한다 할 수 있겠다. 바깥사랑채에서 독서의 여가에 잠시 더위를 식히며 한가롭게 시상(詩想)에 잠겨 화리(畵理)를 탐구하고 있는 자신의 모습을 사생적인 필치로 그려냈다. - 〈독서여가(讀書餘暇)〉


육상궁(영조의 생모 숙빈 최씨의 사당) 뒤편 북악산 줄기의 산등성이에서 인왕산 쪽을 바라보며 그린 그림인데 그의 시계는 발아래 북악산 밑에 있는 사천의 집까지 포괄하고 있다. 아니 오히려 이 등성이 위에서 사천과 함께 노닐며 내려다보고 건너다보던 그 정경을 한 화폭에 다 담아 사천과의 평생 추억을 함축하려 했을 것이다. - 〈인왕제색(仁王霽色)〉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