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88932520964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15-12-30
책 소개
목차
제3판 서문
들어가는 글
제1부 기초적 고찰
1. 개인 성경 연구는 반드시 필요하다
2. 누가 성경을 이해할 수 있는가?
3. 적절한 이해의 중요성
4. 출발점
5. 올바른 도구 사용
6. 구체적인 진행 방법
제2부 일반 원리
7. 문학적 문맥을 고려하라
8. 단어를 이해하라
9. 문법을 이해하라
10. 저자의 의도를 파악하라
11. 배경을 연구하라
12. 성경은 성경으로 해석하라
제3부 특별 원리
13. 수사법
14. 상징
15. 예표
16. 비유와 알레고리
17. 히브리어 관용구
18. 히브리 시
제4부 적용
19. 구약과 신약의 관계
20. 교리
21. 하나님 말씀에 반응하기
22. 성경해석 적용: 시편 51편
책속에서
그리스도인은 성경을 이해할 수 있다. 전문가를 초빙하거나, 길고 긴 신학 교과 과정을 밟거나, 다른 그리스도인이 공유하지 못한 기이하고 신비스러운 경험을 가질 필요가 없다. 진정으로 원한다면 당신은 성경을 이해할 수 있다. 그것은 당신에게 달려 있다. 배우길 원하는가? 얼마나 간절히 원하는가? 당신이 이 책을 붙잡고 있다는 사실 자체가 당신이 이 목표에 헌신하고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_1. 개인 성경 연구는 반드시 필요하다 중에서
성경에 나오는 약속들이 이런 식으로 이용될 때가 많다. 많은 경우, 약속의 조건이 전후 문맥에 위치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하나님이 내거신 이 조건들은 무시하고 그 약속만 기억하고 사랑하기 십상이다. 이사야 58:11이 그 확연한 예다. “여호와가 너를 항상 인도하여….” 그러나 이 희망찬 진술 앞에는 “너희 가운데서 멍에를 치운다면…네가 먹을 것을 굶주린 자에게 나누어 준다면”(공동번역, 사 58:9-10)처럼 “~한다면”으로 시작되는 두 조건절이 있다.
_7. 문학적 문맥을 고려하라 중에서
의미는 변하기 때문에 성경 시대의 문화적 맥락에서 성경의 표현을 이해해야 한다. 열왕기하 2:9에서 엘리사는 엘리야의 성령이 하시는 역사의 “갑절이나” 원했다. 요즘 사람이라면 엘리사가 엘리야가 지닌 영(아마도 성령)의 두 배를 원했다고 생각할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그들의 문화적 배경을 고려해 볼 때(신 21:17에 나오는 것처럼), 엘리사는 장자가 주장할 수 있는 상속 분량을 요청했던 것이다. 간단히 말하자면, 그는 엘리야로부터 예언자 직분을 이어받고 싶었던 것이다
_11. 배경을 연구하라 중에서
이단과 거짓 교리가 성경적 권위를 지닌 것처럼 보이는 까닭은, 그것을 가르치는 사람들이 성경의 다른 구절들은 무시한 채 일부 구절만 인용하기 때문이다. 하나님의 말씀 전체에 비추어 성경의 특정한 구절을 제대로 이해했는지 확인해야 한다. 그래야 잘못된 교리를 믿는 어리석음을 범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하나님 말씀의 전반적인 관점에서 검토하기 전에는, 겸손한 태도를 유지하면서 특정 구절에 대한 최종적 또는 교리적 결론을 성급히 이끌어 내지 않아야 한다.
_12. 성경은 성경으로 해석하라 중에서
호세아 6:4에서 “너희의 인애가…쉬 없어지는 이슬 같도다”라는 말씀은 금세 사라지는 이슬의 특징을 보여 준다. 그러므로 이 절은 신실하지 못한 사랑을 묘사한 것이다. 그런데 호세아 14:5에서 하나님은 “내가 이스라엘에게 이슬과 같으리니”라고 말씀하신다. 이어지는 내용을 보면, 하나님이 식물에 생명과 성장을 부여하는 이슬의 능력을 염두에 두고 계심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어느 구절에서 언급된 특징이 다른 구절에서도 반드시 동일하리라고 가정할 수 없다. 각각의 직유는 해당 문맥에서 해석해야 한다.
_13. 수사법 중에서
성경 시의 주요 특징은 히브리어 본문에 매우 분명하게 드러나지만, 그중 일부는 번역본이나 본문이 인쇄된 방식에서 모호하게 나타날 수 있다. 히브리 시의 주요 특징은 평행법(parallelism)이라 불리는 (소리보다는) 생각의 운율이다. 평행법이란 간단히 말해서, 어떤 식으로든 서로 관계가 있는 2행이 쌍으로 쓰인 것을 뜻한다. 가끔 3행(시 29:3; 92:9; 잠 24:31; 사 41:5)이나 4행(시 27:1; 51:1; 118:17-18; 사 42:15)도 있지만 대부분 2행이다. 예를 들면, 아래와 같다.
나의 죄악을 말갛게 씻으시며
나의 죄를 깨끗이 제하소서! (시 51:2)
_18. 히브리 시 중에서
성경은 현실 상황에서 교리를 드러낸다. 우리는 아브라함의 생애를 통해, 다윗의 고민을 통해, 이스라엘을 향한 예언자들의 호소를 통해 신학을 배울 수 있다. 교리적으로 풍부한 신약 서신서들도 특정한 지리적 위치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이 그리스도인으로 살아가는 것을 돕도록 쓰인 편지들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성경이 교과서처럼 한 번에 하나씩 신학적 주제를 다루기를 기대하기보다, 광범위하게 다양한 성경 본문에서 가르치는 하나님의 진리를 발견하기를 기대할 수 있다.
_20. 교리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