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가톨릭 > 가톨릭 신학
· ISBN : 9788933111390
· 쪽수 : 359쪽
· 출판일 : 2013-12-10
책 소개
목차
1장 | 사도직 활동의 원천인 관상
1.1 예수의 데레사 성녀의 기도 여정
1.1.1 하느님을 뵙고자 하는 갈망
1.1.2 종말과 육화의 긴장 관계
1.2 관상의 목표인 하느님과의 일치
1.2.1 데레사 성녀가 생각하는 관상의 특성
1.2.2 관상과 그리스도인의 완덕
1.2.3 덕과 정화, 기도생활의 성장
1.2.4 관상의 열매인 활동
1.2.5 그리스도인의 삶 그 자체와 동일한 기도
2장 | 관상에서 사도직 활동으로
2.1 기도의 단계와 사도직 임무
2.1.1 물의 의미
2.1.2 「완덕의 길」에 나타난 물의 특성
2.1.3 네 가지 물
2.2 「영혼의 성」에서 본 그리스도인의 역동성
2.2.1 첫 번째 세 궁방: 기도의 첫 번째 시작
2.2.2 두 번째 네 궁방: 신비적 관상의 시작
2.3 하느님과 맺는 우정과 같은 그리스도인의 기도 여정
2.3.1 기도, 우정의 관계
2.3.2 데레사 성녀의 기도는 사랑의 표현
2.3.3 끊임없이 사랑을 향해 나아가는 기도
3장 | 사도직 활동의 출발점인 그리스도와 교회
3.1 데레사 성녀의 삶의 중심인 그리스도인의 영성
3.1.1 데레사 성녀의 기도의 핵심인 그리스도의 영성
3.1.2 길이신 그리스도의 인성
3.1.3 예수님의 살아 계신 현존
3.1.4 가장 높은 단계의 신비적 은총을 중재한 그리스도의 인성
3.2 관상의 대상인 교회
3.2.1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 모습
3.2.2 수난받의는 그리스도와 고통받는 교회의 동일성
3.2.3 그리스도, 성체성사, 교회의 신비적 일치
3.2.4 교회 교도권에 대한 데레사 성녀의 사랑
3.3 육화의 역동성(그리스도에서 성녀 데레사에 이르기까지)
3.3.1 데레사의 영성의 중심인 그리스도의 육화
3.3.2 데레사 성녀 안에서 이루어진 육화의 역동성
3.4 그리스도의 파스카 신비
3.4.1 그리스도와이 동일성, 그리스도화
3.4.2 모든 선이 흘러나오는 그리스도의 수난
3.5 교회를 위한 사도직 활동
3.5.1 교회를 향한 데레사 성녀의 세 가지 열정
3.5.2 관상의 체험과 열매
3.5.3 교회에 봉사하는 것은 그리스도께 봉사하는 것
3.5.4 개혁의 출발점
4장 | 관상과 사도직 활동에 관한 신학적 성찰
4.1 새로운 가르멜 공동체
4.2 사도직 활동에 관한 신학적 고찰
4.2.1 관상을 위한 활동
4.2.2 사도직 활동의 내용
4.2.3 사도직과 신비생활의 발전
5장 | 관상과 사도직 활동의 통합
5.1 수덕과 신비의 통합
5.1.1 영과 육 사이의 내적 분열
5.1.2 고행을 전제한 기도
5.1.3 쥠의 파스카 신비를 사는 그리스도인의 고행
5.1.4 신비에서 고행으로
5.2 하느님 사랑과 이웃 사랑의 통합
5.2.1 하느님 사랑과 이웃 사랑의 관계
5.2.2 하느님 사랑과 이웃 사랑의 통합 원리이신 그리스도
5.3 관상과 사도직 활동의 목표인 성화
5.3.1 기도의 열매인 성화
5.3.2 교회 안에서 활동의 원천이 되는 성화
5.4 관상과 사도직 활동의 통합
5.4.1 통합적 인간 활동과 관상의 조화
5.4.2 관상과 활동의 통합을 이루는 기본 관점
맺음말
참고문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