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역사학
· ISBN : 9788933704486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03-10-10
책 소개
목차
책을 내면서
머리말
제1장 | 임시정부 수립운동과 사회주의세력의 태동
제1절 '국민대회'의 정부수립운동과 사회주의세력의 태동
1. '국민대회'와 한성정부의 성립
'국민대회'와 한성정부
한성정부의 조직 경위
2. '경성독립단본부'와 신한민국정부
'국민대회'와 신한민국정부
'경성독립단본부'와 신한민국정부
3. 두 정부의 대립과 사회주의세력의 태동
두 정부의 대립과 귀결
서울파와 '사회혁명당'의 태동
제2절 대동단의 정부수립 구상과 사회주의 인식
1. 대동단 결성의 배경과 초기 활동
대동단과 대한독립의군부
대동단의 결성과 초기 조직
조직의 확대와 선전활동의 강화
2. 대동단과 정부수립 구상
'국민대회'와의 노선대립
상해임시정부 연통제와의 관계
정부수립 구상과 '제2 독립선언'
상해 이전과 임시정부와의 갈등
3. 대동단의 이념과 사회주의 인식
제2장 | 상해파와 서울파의 형성
제1절 사회혁명당과 상해파 국내 기반의 형성
1. 사회혁명당 결성의 배경
'배달모음'과 국내 비밀결사운동
재일 유학생운동과 '신아동맹단'
2. 사회혁명당의 조직과 활동
사상의 분화와 사회혁명당 조직
'상해파 내지부'로의 전환
3. 상해파 내지부의 활동과 변천
조직과 활동
'중립당'과의 노선 투쟁
제2절 서울청년회의 조직과 서울파의 형성
1. 서울청년회의 초기 조직과 재편
청년 단체의 발흥과 '연합기관론'
창립과 구성원
조직의 분열과 재편
2. 서울청년회의 노선과 활동
현실인식과 운동노선
노동운동과 민족 문제의 연계
3. 전위당 조직과 서울파의 형성
제3장 | 서울파, 상해파의 초기 활동과 통일전선운동
제1절 서울파의 통일전선운동과 전조선청년당대회
1. 초기 서울파의 민족 문제 인식과 통일전선론
2. 전조선청년당대회의 배경
'혁명적 청년동맹' 창립을 위한 투쟁
이르쿠츠크계와의 제휴와 대립
3. 전조선청년당대회의 전개
대회준비와 후원회 조직
의안 토의와 대회의 분열
민중대회 시도와 청년당사의 발기
4. 대회의 해산과 통일전선운동의 추이
대회의 해산과 성격
통일전선운동의 추이
제2절 상해파의 민족통일전선운동과 국민대표회의
1. 임시정부 탈퇴와 국민대표회의 방침
상해파의 임시정부 탈퇴
국민대표회의 방침과 고려공산당 통합대회의 분열
2. 국민대표회의의 참여세력과 상해파의 대응
국민대표회의 소집론과 상해파의 인식
각 세력의 국민대표회의 방침과 상해파의 대응
3. 개조파·창조파의 대립과 상해파의 민족통일전선론
개조론·창조론의 추이와 상해파의 대응
'집행위원제'와 민족혁명당 건설론
맺음말
참고문헌
영문초록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