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대한제국기 호남의병 연구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역사학
· ISBN : 9788933704547
· 쪽수 : 608쪽
· 출판일 : 2004-05-20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역사학
· ISBN : 9788933704547
· 쪽수 : 608쪽
· 출판일 : 2004-05-20
책 소개
저자는 호남의병의 활동시기를 나누어 의병장의 신분과 지역적 기반, 구체적인 활동상 등을 고려하여 각 시기의 대표적인 의병부대를 고찰한다. 다양한 사례연구를 바탕으로 호남의병의 특징과 역사적 의의를 도출하고, 호남의병을 진압하기 위한 일제의 다양한 대응책도 분석한다.
목차
제1부 호남의병의 관련자료와 사상적 배경
제1장 호남의병 관련자료의 검토
제2장 호남의병과 노사학파―의병 주도 세력의 형성
제3장 호남의병의 창의이념
제2부 호남의병의 활동
제1장 전기의병
제1절 나주의병
제2장 중기의병
제1절 태인의병
제2절 화순의 쌍산의소
제3장 후기의병
제1절 호남창의회맹소
제2절 김동신 의병부대
제3절 심남일 의병부대
제4절 안규홍 의병부대
제3부 일제의 대응책
제1장 의병 탄압의 실상
제2장 자위단
결론 : 호남의병의 특성과 역사적 의의
저자소개
책속에서
호남지방 의병항쟁의 성격을 규정한다면 반침략민족운동이라 할 수 있다. 민중운동의 시각으로 해석하는 견해도 있으나 중기의병 이후까지 재지 양반 유생층이 주도한 의병항쟁을 민중운동이라 보는 것은 무리이다. 민중운동이라면 마땅히 민중의 계급적 이해를 앞세워 그들의 권익을 쟁취하는 운동이어야 한다. 단순히 일제의 경제적 침탈에 저항하는 민중들의 의병활동을 민중운동이라 규정하는 것은 설득력이 약하다. 의병항쟁을 부르주아민족운동으로 규정하는 견해도 있으나 의병항쟁을 주도한 계층이나 계급적 시각보다는 일본 제국주의와 투쟁한 반제투쟁(反帝鬪爭)을 강조하는 것이 더 타당하다. 따라서 호남지방 의병항쟁은 반침략민족운동이라 할 수 있다. (본문 484쪽 중)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