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34113805
· 쪽수 : 576쪽
· 출판일 : 2014-05-30
책 소개
목차
추천사 1 (이군호 박사 | 전 목원대 총장) 5
추천사 2 (유태엽 박사 | 감리교신학대학교 신약학 교수) 7
추천사 3 (매리언 L. 소드
저자 서문 11
역자 서문 13
약어표 15
서론: 신약 윤리학의 과제 19
제1부 예수의 유산
제1장 하나님 나라를 위한 윤리: 마가복음 39
제2장 더 큰 의를 행하라: 마태복음 89
제3장 구원 시대의 윤리: 누가복음 147
제4장 윤리가 기독론이 되다: 요한복음 207
제2부 바울의 유산
제5장 택하심의 윤리: 데살로니가전·후서 271
제6장 성화된 공동체를 위한 윤리: 고린도전ㆍ후서 305
제7장 성령을 따라 살라: 갈라디아서 355
제8장 본받음과 본보기의 윤리: 빌립보서 385
제9장 믿음의 순종: 로마서 409
제10장 새 피조물을 위한 윤리: 골로새서와 에베소서 459
제11장 믿음직한 도덕적 인도자: 목회서신 505
결론: 예수와 바울의 윤리적 유산 543
참고문헌 559
색인 567
책속에서
1. 하나님 나라
마태와 마가복음과 같이 누가복음에서 하나님 나라는 예수의 윤리적인 요구의 지평이다. 하나님 나라가 뚫고 들어옴으로써 하나님이 운명을 역전시키는 구원의 새 시대가 시작되었다. 구원의 시대에 하나님의 높여주심을 받기 원하는 자들은 지금 자신을 겸손히 낮추어야 한다.
1) 누가-사도행전의 하나님 나라
하나님 나라에 대한 누가의 진술은 “마가보다는 더 풍성하고, 마태보다는 덜 함축적이다.” 마가가 “그 나라” 또는 “하나님 나라”를 14번, 마태가 50번 언급한 반면, 누가복음에서 이 문구는 39번 나온다. 그 가운데 21번은 누가의 독특한 것들이다. 누가는 또한 9개의 어록(Q)을 마태와 공유한다. 이 말씀들 외에도 사도행전에 그 용어가 8번 나온다. 마태와 같이 누가는 그 용어를 마가와 같은 방식으로 이해한 것으로 보이며, 하나님 나라에 대해 9개의 말씀을 마가에서 끌어 썼다. 그것은 하나님의 역동적이고 강력한 다스리심이다.
이 시점에 바울의 고린도전ㆍ후서의 도덕적 가르침을 연구하려는 결정은 연대와 주제를 고려한 것이다. 첫째, 연대를 따지자면 고린도서는 데살로니가전서 이후이고, 만일 바울이 데살로니가후서를 썼다면 역시 그 이후이다. 사도행전에 따르면, 바울은 데살로니가를 떠난 직후에 고린도에서 사역을 시작했다. 그가 데살로니가에 보내는 서신을 쓴 것은 아마 이 기간일 것이다. 그 후 에베소에서 사역하는 동안에 바울은 고린도에 보내는 서신을 썼다.
둘째, 연대보다 더 중요한 것은 고린도서와 데살로니가서는 몇 가지 중요한 도덕적, 또는 윤리적 주제, 예를 들어 부도덕한 일을 삼가라는 명령이 수반되는 교회의 성화와 공동체를 세움에 있어 사랑의 중요성, 바울 자신의 삶을 본받을 가치가 있는 모범으로 제시하는 것과 같은 주제들을 공유한다. 사실상 고린도서는 데살로니가서의 도덕적 권면보다 발전된 형태를 보여준다.
바울서신 가운데 로마서가 첫자리에 오는 데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로마서는 사도 바울의 현존 서신 가운데 가장 길 뿐만 아니라, 대부분 학자들의 판단에 따르면 가장 중요하기도 하다. 마지막 예루살렘 여정을 앞두고 57-58년 겨울에 고린도에서 쓴 로마서는 ⑴ 율법 외에 믿음에 의한 칭의, ⑵ 이스라엘의 역할과 운명, ⑶ 믿음의 삶에서 나오는 도덕적이고 윤리적인 요구에 대한 바울의 가장 상세하고 체계적인 논의이다. 많은 사람이 이 서신을 바울 신학의 요약이며 일종의 신학적인 최종 유언과 신앙고백이라고 보는 것도놀라운 일이 아니다. 무엇보다 로마서는 강력하고도 설득력 있는 문서이며, 바울 신학 연구는 종종 그 프리즘을 통해 여과된다. 이런 방식으로 로마서를 이해하는 것이 정당하지만, 그 특성과 장르에 대해서는 논쟁이 계속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