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34117209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17-09-29
책 소개
목차
추천사(정창균 박사┃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총장, 설교학 교수) _5
저자의 말 _7
들어가는 말 _11
1장. 종말론의 구조
1. 종말의 시작 _17
2. 바울의 종말 이해 _24
1) 종말론의 성경적 정의 _25
2) 첫 아담과 마지막 아담 _29
3) 부활의 몸 _52
4) 두 시대 _64
5) 종말론의 구조: 이미 그러나 아직 _77
2장. 주의 날
1. 구약에서의 주의 날 _90
2. 복음서에서의 주의 날 _95
3. 바울서신에서의 주의 날 _98
4. 주의 날에 일어날 일들 _104
1) 선행 사건(살후 2:1-12) _105
2) 그리스도의 재림과 성도의 부활(살전 4:13-5:11; 고전 15:51-55) _131
3) 심판 _158
4) 왕국을 하나님에게 돌리심 & 새 하늘과 새 땅 _182
5) 바울과 메시아 왕국 _197
6) 종말에 관한 여러 가지 견해 _212
3장. 종말론과 그리스도인의 윤리
1. 말세의 현상들 _218
1) 영적 현상 _218
2) 사회적 현상 _222
2. 종말론과 그리스도인의 삶 _231
1) 바울의 종말론과 윤리 _234
2) 윤리의 종말론적 함의 _256
맺는 말 _265
참고 문헌 _275
저자소개
책속에서
예수님은 종말론적 아담이다. 이는 그가 전 인류의 “목적이자 목표”라는 의미이며, 그가 모든 새롭고 좋은 일들을 다시 시작했는데 이는 절대 바뀌지 않음을 의미한다. 마지막 아담 안에서 우리는 첫 아담의 실패라는 족쇄에서 벗어날 뿐 아니라, 소위 세상에서 말하는 자기 실현 내지 자기 완성과는 차원이 다른 진정한 의미에서의 존재 실현의 궁극을 보게 된다. 그래서 종말론적 아담은 신 인류의 목표인 것이다. 이것이 우리가 ‘종말론적’이라는 말에서 전율을 느끼게 되는 이유이며, 흔들리지 않는 소망을 품는 이유이다.
바울의 종말론적 비전은 단지 천국에 들어가는 것을 넘어 변화와 회복을 포괄하며 이는 다시 윤리적 가르침으로 제시된다.
사실상 태초는 종말을 전제로 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태초와 종말은 극과 극이지만 서로 통한다. 종말론은 구원론, 기독론, 신론, 교회론 등과 밀접한 관계를 가짐은 물론이며, 더 나아가 전체 신학 내에서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