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목회일반
· ISBN : 9788934119586
· 쪽수 : 364쪽
· 출판일 : 2019-04-26
책 소개
목차
▪추천사
구 제 홍 박사(명지대학교 인문교양학부 교목실장, 신약학 교수)
김 재 성 박사(한신대학교 신약학 교수)
박 경 미 박사(이화여자대학교 신약학 교수)
윤 철 원 박사(서울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신약학 교수)
정 승 우 박사(연세대학교 신약학 교수)
최 흥 진 박사(호남신학대학교 총장, 신약학 교수)
▪저자 서문 11
▪서 론 15
제1부 서신서에 반영된 초기 그리스도교회 공동체의 목회적 상황과 신학적 대응 33
제1장 갈라디아교회 공동체의 목회적 상황과 신학적 대응 34
저주와 복과 약속의 삼중 대상인 ‘그리스도’(갈 3:10-14)를 중심으로
제2장 고린도교회 공동체의 목회적 상황과 신학적 대응 57
고린도교회 공동체의 동반자적 리더십과 장회익의 온생명 사상을 중심으로
제3장 로마교회 공동체의 목회적 상황과 신학적 대응 96
로마교회 공동체의 상황과 바울이 납세를 권면한 이유(롬 13:1-7)
제4장 히브리교회 공동체의 목회적 상황과 신학적 대응 124
히브리 공동체의 리더십 경쟁 상황과 신학적 대응(히 13:10-14)
제2부 복음서에 반영된 초기 그리스도교회 공동체의 목회적 상황과 신학적 대응 148
제5장 마태교회 공동체의 목회적 상황과 신학적 대응 149
베드로의 상(像)(마 16:16b-19)과 마태 공동체의 제도화: 피터 버거(P. L. Berger)와 토마스 럭크만(T. Luckman)의 “완전한 제도화”를 중심으로
제6장 마가교회 공동체의 목회적 상황과 신학적 대응 182
마가교회 공동체의 목회적 상황과 제자도
제7장 요한교회 공동체의 목회적 상황과 신학적 대응 201
요한교회 공동체의 목회적 상황과 상호 세족 요구
제3부 누가-행전에 반영된 초기 그리스도교회 공동체의 목회적 상황과 신학적 대응 230
제8장 누가교회 공동체의 인종적 상황과 신학적 대응 231
예수의 재판 단락(눅 22:66-23:25)과 ‘불가피성의 심리의 기제(機制)’를 중심으로
제9장 누가교회 공동체의 경제적 상황과 신학적 대응 262
누가교회 공동체와 바리새파 공동체의 관계를 중심으로
제10장 누가교회 공동체의 리더십 상황과 신학적 대응 290
사도행전 1:6-11과 리더십 승계의 모델과 기능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331
▪본서에 수록된 필자의 논문 362
저자소개
책속에서
라디아교회 내부의 그리스도인들은 지금 서로 다른 자리에 서 있는 것만을 보고 있지만, 그들이 과거에는 저주의 자리에 함께 있었고 이미 저주의 자리에서 아브라함의 복과 성령의 약속의 자리에 함께 서 있었다는 것을 상기시키고 있다. 그러나 대적자들의 가르침에 넘어가 서로 다른 자리에 놓이게 되었다는 것을 폭로하고, 그들이 다시금 이전에 이미 이룩한 아브라함의 복과 성령의 약속의 대상의 자리로 회귀하여 지금의 바울의 복음의 자리에 설 수 있기를 기대하는 것에 있다. 요컨대 바울이 이 본문 단락에서 저주와 복, 약속의 대상을 각각 언급하는 것은 갈라디아 그리스도인들의 공존과 더 나아가 믿음에 속한 자의 반열에 하나로 묶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결국 바울은 심는 이라는 명분, 곧 자신이 그리스도라는 토대를 제공하였다(고전 3:10)는 명분을 유지하면서도 아볼로의 물주는 이로서의 역할을 인정함으로 한 릴레이팀의 시기별 주자로서 각각의 역할이 있었음을 명확하게 제시하고 있다. 이는 장회익의 온생명 사상에서 제시하는 온생명의 원리가 정확하게 일치하는 부분이다. 장회익도 지적한 바와 같이, “우리는 릴레이 팀이고 나 자신은 현역으로 뛰고 있다. 내가 바통을 받아서 바통을 넘길 때까지 생명에 맞게 의미 있는 기여를 하고 그다음에는 쉬는 것”이듯이, 바울과 아볼로도 릴레이 팀으로서 공생하고 존재하는 것이다.
로마서 13장은 로마서 8장과 12장의 진술과 연관되어 있으며, 더 나아가 이상의 로마서의 진술은 로마 공동체의 정황과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다. 적어도 13:1-7 단락은 바울의 논리적 모순이나, 신앙적 불일치, 또는 바울이 자신의 신앙관에서 벗어난 행동을 로마 교우들에게 강요하고 있다고 평하기 위해 주춧돌로 삼을 수 있는 본문으로는 적절하지 않다는 것이다. 오히려 사도 바울은 로마의 그리스도인 공동체 멤버들에게 로마제국에 세금을 적극 납부함으로 황제숭배를 사전에 차단하려는 매우 강한 의지가 담긴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고 적절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