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상담/치유
· ISBN : 9788934122302
· 쪽수 : 228쪽
· 출판일 : 2021-01-04
책 소개
목차
추천사
이만홍 박사 | 정신과 의사, 한국영성지도·영성상담협회 공동대표
장정은 박사 | 이화여자대학교 기독교상담학 교수
김기철 박사 | 배재대학교 목회상담학 교수, 한국영성노년학연구소 소장
김태형 박사 | 장로회신학대학교 목회상담학 교수
책머리에
제1장 심리학의 관점들
1. 혁명의 역사
2. 프로이트의 패러다임들
3. 변화하는 심리학
4. 기독교 심리학
제2장 프로이트 고고학
1. 지식의 고고학
2. 오스트리아 자유주의
3. 프로이트와 이성주의
4. 유대인 청년 과학자
5. 과학적 환원주의
제3장 프로이트의 이단아들
1. 프로이트라는 대명사
2. 아들러의 ‘공격성’
3. 융이 바라본 ‘영’(spirit)
4. 클라인의 ‘불안’
5. 죽음 충동과 인류의 미래
제4장 성(性)과 사랑
1. ‘두부’가 마운팅을 하는 이유
2. 페어베언의 대상관계 이론
3. 기독교 신앙과 대상관계 이론
4. 심신일체의 사랑
5. 유아 성욕의 근원
6. 아빠와 결혼하고 싶은 아이
7. 하나님 사랑의 유비(analogy)
제5장 하나님 vs. 내면의 하나님
1. 마르틴 루터의 하나님
2. 프로이트의 관점
3. 중간 대상으로서의 하나님
4. 이상적 부모를 향한 갈망
5. 자기대상 욕구와 하나님
6. 사람의 얼굴 vs. 하나님의 얼굴
제6장 거룩과 성숙
1. 거룩한 대상
2. 잠재적 믿음의 공간
3. 중간 영역의 전투
4. 좌절과 성장
5. 의존과 독립
6. 사랑과 성숙
7. 거룩과 성숙의 방정식
제7장 결론: 심리학, 뒤집어 놓은 영성학
1. 영성과 심리 치료
2. 자기 사랑과 하나님 사랑
3. 관계적 유비(analogia relationis)
4. 영적 매개로서의 인간관계
5. 전치된 욕망
6. 심리학, 뒤집어 놓은 영성학
참고 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고전 정신분석학의 패러다임은 인간 내면의 가장 근원적인 욕구를 성욕이라 보고 그것이 승화되어 나타나는 현상 중 하나가 종교라고 보았다. 이런 관점에서 종교적 신앙이란 인간이 가진 자기애적 이상을 종교의 신에게로 투사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대상관계 이론이 이것과 다른 점은 인간의 근본 욕구가 성욕이라기보다 부모 같은 중요 대상과의 관계적 욕구라 본 점이다. … 본서의 기독교적 관점은 우선 인간 내면의 가장 근본적인 욕구가 바로 하나님을 향한 것이라 보는 관점이다. 또한, 인간은 이렇게 하나님을 바라고 사랑하는 존재로 창조된 것처럼 인간 서로 간에도 역시 마찬가지로 사랑하고 사랑받기 원하는 존재로 창조되었다는 것이다.
지금 우리가 볼 때 아들러가 생각한 인류 공동체의 비전은 예컨대 융이 생각한 ‘통합’의 비전과는 매우 다른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근대주의의 지배담론이 무너진 이후 사람들이 생각하는 ‘진보’와 ‘비전’이 여러 방향으로 다변화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여기서 우리가 던져보는 물음은 과연 아들러가 바라본 인류 공동체적 진보와 융이 품은 ‘통합’의 비전이 서로 전혀 만날 수 없는 두 가지인가 하는 물음이다.
저자는 이렇게 서로 다른 두 가지가 하나로 만날 수 있는 길이 바로 기독교 신앙에 있다고 생각한다. 그것은 곧 하나님과 함께하는 공동체적 삶, 하나님 안에서 함께 하나님의 형상을 이루어가는 공동체적 ‘관계성’ 속에 있는 길이다.
우리는 이러한 이상적 부모의 희구야말로 프로이트의 성욕원인설로는 충분히 설명되지 않는 인간 내면의 본원적 지향성이라 말할 수 있다. 우리는 이러한 이상적 부모의 희구가 그들 안에 하나님을 만들어 냈다고도 볼 수 있겠지만, 반대로 하나님이 그들 사람으로 하여금 자신을 찾도록 그러한 갈망을 그들 안에 선험적으로 두신 것으로도 볼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