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선교/전도
· ISBN : 9788934122388
· 쪽수 : 236쪽
· 출판일 : 2021-01-31
책 소개
목차
추천사
김명혁 박사 | 강변교회 원로, 한국복음주의협의회 명예회장
강승삼 박사 | KWMA 공동회장, 한국복음주의협의회 국제위원장
김성욱 박사 | 총신대학교 통합대학원장
감사의 글
들어가는 말
제1장 서론: 이주민 선교 이해
제2장 이주와 다문화 사역의 성경적 기초
1. 구약에 나타난 이주와 다문화
2. 신약에 나타난 이주와 다문화
3. 교회 역사에 나타난 디아스포라
4. 디아스포라 선교
제3장 다양성 원리의 신학적 토대
1. 구약에 나타난 다양성
2. 신약에 나타난 다양성의 원리
제4장 이주민 현황과 정부의 정책
1. 유입 배경
2. 이주민 현황
3. 이민 정책
4. 국제 이주
제5장 이주민 선교의 현황과 과제
1. 이주민 선교 현황
2. 이주민 선교의 과제
제6장 지역교회와 이주민 선교
1. 선교적 교회
2. 지역교회와 선교 단체
3. 지역교회와 이주민 선교
4. 이주민 선교 전망
제7장 결론: 선교적 교회, 다민족교회를 향하여
나가는 말
참고 문헌
부록 1 이주민 선교, 사역과 그 열매
부록 2 그리스도인의 문화관
부록 3 이주민 선교와 연합 운동의 발자취
부록 4 이주민 선교 단체 설문 조사
저자소개
책속에서
한국교회는 그들과 한국어로 소통할 수 있겠지만 그들의 다양한 언어와 문화를 이해하려는 자세가 필요하다. 그렇지 않으면 적절한 선교 전략을 마련하기도 어렵고, 선교 열매를 기대하기도 쉽지 않다. 가장 쉬운 방법은 주변 이주민들을 친구처럼 대하여 도움을 주면서 그들의 기본적인 관습을 이해함으로써 좋은 이웃이 되는 것이다. 그들이 대부분 한국어를 배우고 있기 때문에 마음만 먹으면 그렇게 하는 것은 얼마든지 가능하다. 단지 이 선교가 어디까지나 타문화권 선교임을 잊지 말아야 하며 그것은 여러모로 우리의 인내와 연구를 필요로 하는 것이다.
이상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5개의 다민족교회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첫째, 다민족교회에 대한 담임목사의 목회 철학이 분명하다. 둘째, 기존 교회가 하는 경우 교회 내에 선교회 또는 선교회의 성격을 지니는 구조가 있다. 셋째, 특정 국가나 문화권이 주류를 이루지 않아 누구든지 쉽게 발을 들이고 공동체의 일원이 될 수 있다. 넷째, 다양한 민족을 위한 다문화 팀 사역(multicultural team ministry)이 이루어지고 있어 자신의 언어와 문화가 용납되는 그룹에 소속할 수 있다. 다섯째, 이주민들을 위한 언어 교실(영어나 한국어)을 강화시켜 복음의 접촉점으로 삼고 있다.
이주민 선교를 하고 있는 교회는 이주민들을 전도의 대상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장기적으로 우리의 이웃이 될 그들의 삶에 깊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 역사적으로 복음주의 교회들은 전반적으로 복음 전파에는 적극적인 면모를 지니고 있지만, 하나님이 일하시는 세상에 대한 이해를 강조하지 않았다. 그 결과 하나님이 통치하시는 세상과 사회 속에서 일어나는 문제들을 적절히 풀 수가 없었다. 반면 에큐메니컬에 속한 교회들은 교회론을 중시하지 않은 결과로 교회의 선교적 힘을 약화시켰다는 비판을 받아 왔다. 그러므로 양 진영은 서로의 입장을 이해하며 총체적 선교라는 접촉점을 가지고 해결책을 모색해야 하는 과제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