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88934123361
· 쪽수 : 224쪽
· 출판일 : 2021-09-24
책 소개
목차
추천사 1
강 우 정 박사_한국성서대학교 총장
박 성 일 목사_필라델피아 기쁨의교회 담임
박 성 환 박사_한국성서대학교 실천신학 교수
송 태 근 목사_청파동 삼일교회 담임
한 규 삼 목사_충현교회 담임
저자 서문 12
제1장 서론 15
제2장 로이드 존스의 생애 25
1. 랭게이토(Liangeitho)에서 보낸 유년 시절 25
2. 런던에서 보낸 로이드 존스의 의사 생활 32
3. 웨일스와 런던에서 보낸 로이드 존스의 교회 사역과 은퇴 36
4. 목사 사역 은퇴 후 41
5. 죽음 44
제3장 로이드 존스의 설교신학에 관한 역사적 고찰 48
1. 웨일스 부흥 운동과 설교자들 50
2. 영국과 웨일스의 기독교 배경 52
3. 웨일스 부흥 운동과 로이드 존스의 관계 55
4. 칼빈주의 메도디즘(Calvinistic Methodism) 71
5. 청교도 신학과 설교자들 76
6. 세속화된 신학과 문화 91
7. 소결론: “성령의 조명을 받는 그리스도 중심의 강해 설교” 101
제4장 로이드 존스의 설교신학에 관한 목회학적 고찰 104
1. 로이드 존스의 남웨일스 지역에서의 목회 106
2. 로이드 존스의 런던에서의 목회 122
3. 소결론 142
제5장 로이드 존스의 설교신학에 관한 설교학적 고찰 145
1. 설교 구성 요소들을 중심으로 148
2. 하이델베르크 설교 분석을 중심으로 187
제6장 결론 211
참고 문헌 217
저자소개
책속에서
그러나 급격한 시대 변화 속에서도 설교자로서 모범이 된 로이드 존스는 자신의 설교신학에 방점을 찍고 목회적 부흥을 일으켰을 뿐 아니라 그의 설교신학에 나타난 설교와 성령에 관한 설교학적 연관성은 수많은 설교자에게 영향을 미쳤다. 그러므로 존 스토트(John Stott, 1921-2011)는 로이드 존스를 1950-60년대 영국 교회에서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한 설교자라 평했으며, 엘리자베스 캐서우드(Elizabeth Catherwood, 1954-현재)와 크리스토퍼 캐서우드(Christopher Catherwood, 1955-현재)는 로이드 존스를 가리켜 20세기의 가장 위대한 설교자 중 한 사람으로 칭한다.
그러나 로이드 존스는 쉽게 결정하지 못했다. 그리고 목회 사역의 길을 놓고 엄청난 고민을 거듭했다. 그의 고백에 따르면 하나님의 부르심에 관한 갈등 때문에 몸무게가 9킬로그램이나 줄었다고 고백한다. 그러나 그는 의사로서 질병을 치료하지만, 근본적으로 하나님과 화목하지 않으면 누구나 형벌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분명히 인식했다. 그리고 자신이 막연하게 꿈꾸었던 상류층 생활에 대한 실망감과 세상의 화려함에 대한 공허감을 느끼게 된다. 그는 의학계 스승이었던 호더 경의 초청으로 상류층 사람들을 많이 만나게 된다.
로이드 존스도 1930년대부터 지역 교회 목사로서 자신의 교회에서 설교할 뿐 아니라, 순회 설교자로서 교파를 초월해 영국 각지에 걸쳐 설교했기에, 당시 영국 교회의 영적 상황을 자세히 알 수 있었으며, 영국 교회에 심각한 쇠퇴기에 들어섰다는 것을 직감했다.
그리고 로이드 존스가 생각할 때 영국 교회는 쇠퇴하는 것을 막기 위해 은사주의를 자연스럽게 목회 현장에 도입했다. 그러나 성령의 은사주의는 영국 교회의 수적 감소 현장을 일시적으로 막을 수 있지만 올바른 해결책은 아니었다. 왜냐하면, 은사주의는 언제나 감정주의로 전환되기 때문이다. 또한, 은사주의는 성령의 역사를 인간이 주도적으로 나타나게 할 수 있다는 교만함을 드러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