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북녘 선교 연구 방법론

북녘 선교 연구 방법론

(근거 이론을 중심으로 한 북한이탈주민의 기독교 목회자로의 헌신 연구)

주성종 (지은이)
기독교문서선교회(CLC)
1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1,700원 -10% 2,500원
650원
13,5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3개 11,5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9,000원 -10% 450원 7,650원 >

책 이미지

북녘 선교 연구 방법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북녘 선교 연구 방법론 (근거 이론을 중심으로 한 북한이탈주민의 기독교 목회자로의 헌신 연구)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선교/전도
· ISBN : 9788934124467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22-06-30

책 소개

북한이탈주민과 선교방법론으로서의 북한이탈주민 선교, 헌신에 대한 성경적 이해, 회심 이론, 질적 연구 방법론과 근거 이론을 고찰하고, 연구 결과를 심층 면담의 사례들과 함께 보여 준다.

목차

추천사 1추천사 1 김 성 태 박사 | 총신대학교 명예 교수 1
추천사 2추천사 2 이 반 석 목사 | 모퉁이돌선교회 사역총괄 3
추천사 3추천사 3 이 빌 립 목사 | 통일소망선교회 대표, 탈북민 목회자 5

약어표 12
그림 및 도표 목록 13

저자 서문 15

감사의 글 17
제1부 서론 19
제1장 왜 이 연구를 해야 하나? 20
제2장 무엇을 연구할 것인가? 22
제3장 연구 및 심층 면담 질문 23
제4장 연구의 중요성 25
제5장 연구상의 제한 27
제6장 연구 방법론 29
제7장 용어 설명 30
제2부 선행 연구 35
제1장 북한이탈주민 (北韓離脫住民) 38
제2장 선교 방법론으로의 북한이탈주민 선교 43
제3장 목회자의 소명(召命)과 헌신에 대한 성경적 이해 50
제4장 루이스 람보의 회심 이론에 나타난 헌신의 개념 53
제5장 북한이탈주민 목회자의 헌신과 목회 58
제6장 질적 연구 방법론, 근거 이론 66
제7장 북녘 연구 방법론으로의 질적 연구 71
제8장 결론 75
제3부 연구 방법론 76
제1장 연구 참여자 78
제2장 자료 수집 80
제3장 연구 참여자 모집과 면담 절차 81
제4장 자료 분석 83
제4부 연구 결과 91
제1장 회심과 회심 이후의 삶 92
제2장 헌신 결심에 영향을 준 요인 106
제3장 헌신 과정에 영향을 받은 요인 119
제4장 헌신 과정의 어려움 125
제5장 헌신 과정의 어려움 극복 요인 149
제6장 헌신 과정의 어려움 극복을 돕는 사람들 159
제7장 헌신 이후의 변화 164
제8장 헌신의 핵심 181
제9장 헌신 후 비전 189
제10장 주요 범주들의 비교 분석 200
제11장 어려움을 중심으로 하는 분석 211
제12장 이론적 코딩 218
제5부 결론 225
제1장 연구의 과정 요약 226
제2장 본 연구를 통해 생성된 헌신 이론 228
제3장 논의 230
제4장 연구의 적용 241
제5장 연구의 제언
249

참고 문헌 251

저자소개

주성종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05년 GMS 선교사로 파송을 받아 2017년까지 북한 선교 현장에서 사역하다가 현재는 대만으로 사역지 를 변경하여 사역하고 있다. ■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양학부 영어과(B.A.) ■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M.Div.) ■ 미국 Faith International University(D.I.S. 문화인류학 박사)
펼치기

책속에서

그러나 2005년 통일부는 탈북자라는 용어가 부정적인 인식을 심어줄 수 있다는 이유로 새로운 명칭인 ‘새터민’으로 바꾸어 사용하였다. 그러나 몇몇 탈북 단체들이 새터민이라는 용어에 관해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자, 2008년 11월에 통일부는 가급적 새터민이라는 용어를 쓰지 않겠다고 발표했으며, 그 이후 ‘북한이탈주민’이 탈북자의 공식적인 명칭으로 사용되고 있다.


북한인권정보센터(NKDB)가 발간한 『2017 북한 종교자유백서』에 따르면 북한이탈주민의 종교 비율은 기독교가 41.7퍼센트로 가장 많았다. 그 과정을 분석해 보면, 북녘에서나 탈북 이후 중국에서 종교생활을 시작한 자들이 37.1퍼센트, 남녘 조사 기관에서 33.9퍼센트 그리고 정착기관인 하나원에서부터 종교 활동을 시작한 자들이 29.0퍼센트인 것으로 나타났다.7
이러한 결과로 남녘으로 입국 후 종교 활동을 한 사람이 북녘이나 중국에서 보다 훨씬 많았음을 알 수 있다. 아래 그림 3은 북한이탈주민의 종교에 관하여 조사한 내용으로, 북한이탈주민을 향한 종교적 접근은 기독교가 가장 적극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별히 남녘의 조사 기관이나 하나원 등에서도 교회의 섬김과 지원을 받는 것이 주 원인으로 북한이탈주민들의 기독교에 대한 반응이 가장 많다고 나타났다.


북한이탈주민을 디아스포라로 인식하는 관점은 현상적이 아닌, 사회학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북한이탈주민 공동체는 한족, 조선족, 동남아시아인 그리고 고려인을 포괄하는 다문화 가정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면에서 북한이탈주민 디아스포라 공동체는 점점 확대되면서 자신들만의 사회적 자산과 네트워크를 가지게 되고 하부 문화를 지탱하게 하는 사회적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디아스포라 관점은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341247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