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성경 속의 민주주의

성경 속의 민주주의

이형우 (지은이)
기독교문서선교회(CLC)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10% 2,500원
750원
15,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4개 9,8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성경 속의 민주주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성경 속의 민주주의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성경의 이해
· ISBN : 9788934124849
· 쪽수 : 308쪽
· 출판일 : 2022-09-13

책 소개

성경에 근거한 민주주의 이념을 고찰하고 역사 속에서 민주주의 이념이 어떻게 태동, 발전했는지 그리고 국가 운영의 원리로서 나아가야 하는지를 제시한다. 우선 성경에 나타난 역사적 사건과 하나님께서 인간에게 하신 말씀들을 분석한다.

목차

추천사 1
양형주 목사|대전도안교회 담임
윤석구 박사|고려대학교 기계공학부 교수
강인성 박사|숭실대학교 행정학부 교수
김윤희 박사|캐나다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교수

저자 서문 8

제1장 서론 11

제2장 성경과 민주주의 15

1. 역사책으로서의 성경 15
2. 인간을 창조하신 목적 18
3. 에덴동산과 선악과 22
4. 실수인가, 반역인가? 25
5. 자유의 한계 30
6. 방종의 결과 35
7. 하나님의 심판 41
8. 이스라엘 국가의 발생: 율법 공동체 49
9. 사사 시대: 민주주의의 기원 55
10. 왕정 시대: 권력자의 책무성 62
11. 메시아 예수 64
12. 성경적 유토피아 76

제3장 교회사와 민주주의 83
1. 교회의 시작 83
2. 로마가톨릭 87
3. 현대 교회의 민주주의 94

제4장 기독교와 근대 철학, 그리고 민주주의 101
1. 성경적 인간관과 근대적 정부관 101
2. 신앙과 이성 108
3. 신앙과 다양성 117
4. 계몽주의와 민주주의 121
5. 합리주의와 민주주의 124
6. 사회계약론과 민주주의 132
7. 법치주의와 민주주의 138

제5장 현대 민주주의의 역사 141
1. 이념인가, 이익인가? 141
2. 양대 정치 이념의 역사적 개관 148
3. 보수주의의 본질 161
4. 보수주의의 정책 노선 177
5. 자본주의 198
6. 진보주의 213
7. 사회주의 265

제6장 결론 283
1. 정교 분리 283
2. 기독교와 진보주의 286
3. 기독교와 보수주의 298
4. 보수주의의 재발견 303

저자소개

이형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 행정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미국 남가주대학교(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USC)에서 행정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2011년 한남대학교 행정학과에 부임한 이후 행정 윤리와 행정 철학, 그리고 행정조직 내 공무원의 심리와 행동에 관해 연구했다. 2022년 현재 Review of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등 행정학 분야 국제 저명 학술지에 18편의 논문을 게재한 것을 포함해 총 56편의 논문을 출판했다. 2019년에는 한남대학교 연구 업적 최우수 교수로 선정된 바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반면, 성경에 나오는 여러 가지 이야기들은 고대라는 시대적 배경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우리가 믿고 있는 민주주의 이념(개인의 자유와 인권이 신분이나 지위와 무관하게 모두에게 평등하게 주어지는 것)의 기원을 찾기에 충분한 단서를 제공해 주고 있다. 본서의 저술 목적 중 하나는 민주주의 이념의 역사적 뿌리를 성경에서 찾는 것이다. 물론 여호와 하나님께서 민주주의라는 이름의 정치제도를 운영하라고 직접 명령하신 바는 전혀 없다. 하지만 창세기부터 요한계시록에 걸쳐 성경에 나오는 다양한 이야기를 통하여 인간사회를 향한 하나님의 숨겨진 의도를 가장 가깝게 실현하는 정치제도가 오늘날의 민주주의 체제라는 것은 충분히 유추할 수 있다.


이처럼 공직자의 책임을 묻는 것을 ‘책무성(accountability)’이라고 한다. 책무성은 민주주의의 핵심 원리 중 하나로서, 공직자에 대한 시민들의 권한 양도가 영구적인 것이 아니라 특정 조건이 충족되어야만 유지되는 한시적 ‘계약’이라는 점을 명확히 보여 주는 개념이다.
이스라엘에서 통치자인 왕과 피지배자인 백성들의 관계는 계약관계였다. 이는 어느 일방에 대하여만 의무를 부과하는 것이 아니라 쌍방이 일정한 의무를 동시에 갖는 것을 의미한다. 사무엘상 10장에는 사울을 이스라엘의 초대 왕으로 임명하는 장면이 묘사되어 있는데, 25절을 살펴보면 하나님의 명령에 따라 사울을 왕으로 임명한 사무엘이 백성들 앞에서 왕을 중심으로 하는 새로운 정치제도에 대하여 설명한 후 책에 기록하여 여호와 앞에 두었다고 적고 있다.


그러므로 기독교인들이 세속의 삶 가운데 지향해야 하는 개인윤리를 정의하는 핵심적인 단어는 ‘경계심’이다. 경계심은 낙관론도 비관론도 아니다. 이 둘 간의 갈등으로 인한 심리적 긴장 상태이다. 성경이 신자의 내면에서 일어나는 선과 악의 싸움을 전쟁으로 비유하는 만큼, 신자들은 전쟁터에 나간 군인에 자주 비유된다(빌립보서 2:25). 군인이 경계심을 늦추면 전사할 수 있듯이, 그리스도인이 늘 ‘영’의 소리에 귀 기울여 따르지 않으면 ‘육신’의 소리가 지배하는 악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신자들은 늘 자신의 행위에 대하여 경계심을 늦출 수 없다(고린도후서 7:10; 13:5).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