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88934126980
· 쪽수 : 676쪽
· 출판일 : 2024-06-14
책 소개
목차
추천사 (이한영 박사/아신대학교 구약학 교수) 5
시리즈 서문 7
저자 서문 9
역자 서문 11
약어표 14
용어 설명 18
참고 문헌 20
◆ 서론
1. 이사야서의 성격 34
2. 기원, 연대 및 특징 35
3. 역사적 배경 및 상황 37
4. 신학 및 목적 44
5. 정경적 상황 47
6. 문학적 이슈 49
7. 구조 50
8. 양식 70
9. 통일성/저자 71
10. 텍스트 이슈 85
◆ 본문 주석
I. 정죄(1:1-39:8) 98
1. 도입(1:1-31) 99
1) 이스라엘, 이유를 들음(1:1-9) 100
2) 하나님은 그들의 인위적 예배를 경멸하심(1:10-15) 105
3) 하나님은 참된 회개를 요구하심(1:16-20) 108
4) 시온이 구속받을 것임; ‘신실한 성읍’ 중심교차대구법(1:21-26) 110
5) 남은 자가 구원받을 것임; 이음새(1:27-31) 112
2. 유다와 이스라엘에 대한 신탁(2:1-12:6) 116
1) 예루살렘의 현재와 미래의 대조(2:1-4:6) 117
2) 그분의 백성을 회복하기 위한 하나님의 계획(5:1-12:6) 142
3. 심판과 회복의 신탁(13:1-39:8) 214
1) 이방 나라들에 대한 신탁 215
2) 심판에 대한 하나님의 목적(소위 ‘작은 묵시’, 24:1-27:13) 290
3) 유다에 관한 예언들: 심판과 회복 신탁들(28:1-33:24) 321
4) 다가오는 심판과 회복(34:1-35:10) 382
5) 이사야 서사; 이음새(36:1-39:8) 393
II. 위로(40:1-66:24) 433
1. 구원의 약속(40:1-48:22) 433
1) 포로들을 위한 위로의 메시지(40:1-31) 434
2) 하나님이 행하신 구원의 예(41:1-29) 446
3) 하나님이 그분의 구원 계획을 설명하심(42:1-44:5) 458
4) 참하나님은 사람들에 의해 창조될 수 없음(44:6-23) 481
5) 여호와가 주권자이심(44:24-45:7) 488
6) 참하나님은 창조주이심(45:8-17) 495
7) 하나님이 자신의 계획을 더 자세히 설명하심(45:18-25) 500
8) 하나님이 징벌하신 예: 바벨론의 신들 vs 이스라엘의 하나님(46:1-47:15) 505
9) 신실하지 못한 이스라엘을 꾸중하시지만, 그래도 구원을 약속하심(48:1-22) 515
2. 시온이 여호와의 종을 통해 회복된다(49:1-57:21) 525
1) 시온을 회복하실 하나님(49:1-26) 526
2) 이스라엘의 불순종(50:1-11) 537
3) 하나님이 구원을 가져오심(51:1-53:12) 542
4) 시온의 영광스러운 미래(54:1–17) 571
5) 하나님의 은혜로우신 자비(55:1-56:8) 577
6) 악한 지도자들에게는 희망이 없음(56:9-57:21) 588
3. 시온의 영광(58:1-66:24) 598
1) 참회개의 요청(58:1-14) 599
2) 하나님이 구원을 가져오실 것임(59:1-21) 605
3) 시온의 구속(60:1-62:12) 615
4) 열방에 대한 여호와의 보복의 날(63:1-6) 635
5) 공동 애가: 하나님이 큰 자비를 베풀어 주시길 구함(63:7-64:12) 639
6) 하나님의 궁극적 계획이 그 자신에게 영광을 가져올 것임; 이음새(65:1-66:24) 650
책속에서
특별한 예언을 위해 가시적 상징(visible signs)으로서 자녀들을 출산하도록 하나님이 이사야의 아내를 사용하셨다는 의미에서 그녀는 여선지자(8:3)라고 불렸다. 이사야에게는 적어도 두 자녀가 있었는데, 스알-야숩(“남은 자가 돌아올 것이다”, 7:3)과 마헬-살랄-하스-바스(“노략이 곧 있을 것이다, 약탈자가 속히 온다”, 8:1-4)이다. 어떤 학자는 임마누엘(“하나님이 우리와 함께”, 7:14)이 또 다른 아들의 이름이었다고 주장한다(Gottwald 1958:36-37).
현대의 많은 학자가 일반적으로 성경의 예언이 그것을 처음 받은 사람들의 행동을 교정하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것이 예언의 목적 중 하나라는 데는 동의하지만(즉, ‘앞서 말하기’, 신 18:18-22), 우리는 예언을 그렇게 좁게 제한하지 않는다.
하박국 2:2-3과 이사야 30:8은 예언의 또 다른 목적이 미래의 사건들에 대해 증인이 되는 것이라고 제안한다. 우리는 예측 예언(predictive prophecy)이 한 나라와도 중요한 관련성을 가질 수 있다고 믿는다.
희생 제물에 관한 하나님의 율법들은 그분과 그분의 백성들의 밀접한 관계를 가로막는 죄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에 있는 표현과 이미지는 사람들로부터 분노와 불신을 불러일으켰을 것이다. 분명히 그들은 수치스러운 소돔과 고모라와 비교되어서는 안 되었다. 역사적으로 이사야는 이스라엘의 부패와 사악함의 측면에서 그들을 소돔과 고모라와 동등하게 생각한 최초의 선지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