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35016181
· 쪽수 : 646쪽
· 출판일 : 2019-03-25
목차
서문 - 총회장 유영식 목사 • 4
1장. 조직신학 방법론 - 조동선 • 11
I. 서론 • 13
Ⅱ. 기독교 신학에 대한 정의 • 15
Ⅲ. 기독교 신학에 대한 바람직한 접근법 • 16
Ⅳ. 조직신학의 본질 • 25
Ⅴ. 조직신학이 필요한 이유들 • 28
Ⅵ. 조직신학의 자료들 • 34
Ⅶ. 조직신학의 과정에서 필요한 소양들 • 40
Ⅷ. 고유한 신학적 체계로서의 침례교 조직신학 • 44
2장. 계시론 - 조용수 • 61
I. 서론 • 63
Ⅱ. 두 가지 방식의 계시 • 69
Ⅲ. 구속 계시로서 성경 • 81
3장. 신론(하나님의 존재와 활동) - 조용수 • 99
I. 전체 개요 • 101
Ⅱ. 하나님의 존재와 본성 • 102
Ⅲ. 삼위일체 하나님 • 118
Ⅳ. 하나님의 사역 • 135
Ⅴ. 특별한 피조물: 천사 • 142
Ⅵ. 창조세계에 대한 하나님의 섭리 • 146
Ⅶ. 실천적 적용 • 153
4장. 인간론 - 김인허 • 159
Ⅰ. 인간론의 중요성 • 161
II. 하나님의 형상으로서 인간 • 173
Ⅲ. 하나님의 형상 교리의 교회적 교훈과 적용들 • 205
5장. 기독론 - 조용수 • 217
Ⅰ. 연구 방법 • 220
Ⅱ. 그리스도와 하나님의 관계 • 227
Ⅲ. 그리스도와 사람의 관계 • 233
Ⅳ. 성육신적 연합 • 240
Ⅴ. 그리스도의 사역 • 241
VI. 실천적 적용 • 262
6장. 성령론 - 조동선 • 265
I. 서론 • 267
II. 구약과 신약에 나타난 성령론의 관계 • 269
III. 성령의 본성 • 274
IV. 성령과 예수 그리스도 • 286
V. 성령과 그리스도인의 삶 • 290
VI. 성령과 교회 • 296
Ⅶ. 실천적 적용 • 307
7장. 구원론 - 조동선 • 317
Ⅰ. 서론 • 319
Ⅱ. 구원의 예비 • 320
Ⅲ. 구원의 시작 • 332
IV. 구원의 지속과 완성 • 351
Ⅴ. 실천적 적용 • 360
8장. 교회론 - 조동선 • 369
Ⅰ. 교회론의 중요성 • 371
Ⅱ. 교회의 본질 • 372
Ⅲ. 교회의 직분과 정치 구조 • 390
Ⅳ. 교회의 의식 • 410
Ⅴ. 실천적 적용 • 424
9장. 종말론 - 김인허 • 431
Ⅰ. 종말론의 중요성 • 433
Ⅱ. 기독교 종말론 • 445
Ⅲ. 종말론 교리의 교회를 위한 적용 • 479
10장. 침례교회의 신학적 정체성 - 조동선 • 485
Ⅰ. 성경의 권위 • 487
Ⅱ. 신앙고백주의 • 498
Ⅲ. 언약 공동체로서의 교회 • 514
Ⅳ. 교회의 능력과 전신자 제사장 직분 • 525
Ⅴ. 지역 교회의 자치성과 협력주의 • 536
11장. 침례교회의 기원과
영미한 침례교회 역사 - 김승진 • 549
Ⅰ. 프롤로그 • 551
Ⅱ. 침례교 기원에 관한 학설들 • 552
Ⅲ. 자유교회 전통 속에 있는 침례교회 • 566
Ⅳ. 영국침례교회 약사• 575
Ⅴ. 미국침례교회 약사• 588
Ⅵ. 한국침례교회 약사 • 603
Ⅶ. 에필로그• 637
저자소개
책속에서
기독교 신학은 교리, 감정, 윤리와 모두 연관되어 있지만 특별히 조직신학은 교리적 측면을 다룬다.26) 비록 조직신학이 개인이나 교단의 신학자들에 의해 쓰여진다 하더라도 저자 개인의 신앙고백이나 신학자들의 사적인 종교 활동으로만 이해될 수는 없다.
성경은 하나님을 아는 신비한 즐거움이 우리 자신에게서 기원하지 않고 하나님께로부터 왔다고 증언한다. 물론 믿음으로 하나님을 안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진리이나, 성경은 믿음에 선행하는 하나님의 행위가 있음도 알려준다.
하나님의 감동으로 된 성경은 만민을 위한 모든 시대의 진리라는 자증성을 갖고 있다. 성경은 하나님의 참되심을 반영한다(요 14:6). 하나님은 거짓이 없으신 진리의 하나님이시며 윤리와 약속, 형이상학적인 진리의 기초에 대해서도 역시 참된 분이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