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자본주의.사회주의.민주주의

자본주의.사회주의.민주주의

조지프 슘페터 (지은이), 변상진 (옮긴이)
한길사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1,500원 -10% 0원
1,750원
29,7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9개 17,8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자본주의.사회주의.민주주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자본주의.사회주의.민주주의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 사회주의/공산주의
· ISBN : 9788935664153
· 쪽수 : 739쪽
· 출판일 : 2011-07-31

책 소개

미국의 이론경제학자 슘페터가 자본주의·사회주의의 본질과 그 전망을 조망한 책. 슘페터는 20세기 전반의 세계적인 이론경제학자이다. 경제·사회 전반의 문제를 40여 년에 걸쳐 사색한 그의 결정체가 이 책이다. 여기서 그는 마르크스 이론의 비판 및 자본주의의 운명, 민주주의 여러 모순들을 순수경제학의 범주를 넘어서 정치·사회적인 입장에서 광범위하고도 깊은 통찰력으로 분석하고 있다.

목차

자본주의는 생존할 수 있는가|변상진 15

제1판 서문 41
제2판 서문 45

제1부 마르크스 학설
서언 53
제1장 예언자 마르크스 57
제2장 사회학자 마르크스 63
제3장 경제학자 마르크스 83
제4장 스승 마르크스 123

제2부 자본주의는 생존할 수 있는가
서언 149
제5장 총생산량의 증가율 153
제6장 그럴듯한 자본주의 167
제7장 창조적 파괴과정 181
제8장 독점적 실행 189
제9장 수렵금지 계절 221
제10장 투자기회의 소멸 227
제11장 자본주의 문명 243
제12장 분쇄되는 성벽 259
1. 기업가 기능의 무용화 259
2. 옹호계층의 파괴 265
3. 자본주의 사회의 제도적 골조의 파괴 272
제13장 차차 커지는 적의 277
1. 자본주의의 사회적 분위기 277
2. 지식인의 사회학 282
제14장 해체 299

제3부 사회주의는 작동할 수 있는가
제15장 준비작업 315
제16장 사회주의 청사진 325
제17장 청사진들의 비교 349
1. 예비적 논점 349
2. 비교능률에 관한 논의 352
3. 사회주의 청사진의 우월성의 논거 360
제18장 인간적 요소 369
경고 369
1. 논의의 역사적 상대성 370
2. 반신반인과 대천사 373
3. 관료에 의한 관리의 문제 377
4. 저축과 규율 385
5. 사회주의에서의 권위에 의한 규율?러시아의 교훈 388
제19장 변이 399
1. 구별되는 두 가지 다른 문제 399
2. 성숙한 상태에서의 사회화 402
3. 미성숙한 상태에서의 사회화 406
4. 법령제정 이전의 사회주의 정책?영국의 실례 414

제4부 사회주의와 민주주의
제20장 문제의 배경 423
1. 프롤레타리아트 독재 423
2. 사회주의 정당들의 경력 427
3. 사고적 실험 433
4. 정의의 탐색 437
제21장 고전적 민주주의 학설 449
1. 공공선과 인민의 의지 449
2. 인민의 의지와 개인 의사 453
3. 정치에서의 인간성 459
4. 고전적 학설의 존속이유 473
제22장 또 다른 민주주의 이론 479
1. 정치적 리더십을 위한 경쟁 479
2. 원리의 적용 485
제23장 결론 503
1. 위의 분석의 몇 가지 내포 503
2. 민주주의적 방법의 성공조건 512
3. 사회주의 질서에서의 민주주의 523

제5부 사회주의 정당들의 역사적 스케치
서언 535
제24장 유년기 537
제25장 마르크스가 직면했던 상황 547
제26장 1875년에서 1914년까지 561
1. 영국의 발전과 페이비언주의 정신 561
2. 스웨덴과 러시아 569
3. 미국의 사회주의자 그룹들 579
4. 프랑스의 경우, 생디칼리슴의 분석 587
5. 독일의 정당과 수정주의, 오스트리아의 사회주의자 595
6. 제2인터내셔널 610
제27장 제1차 세계대전에서 제2차 세계대전까지 615
1. “엄청난 낭비” 615
2. 유럽 사회주의 정당들의 기회에 미친 제1차 세계대전의 영향 619
3. 공산주의와 러시아적 요소 624
4. 자본주의를 관리하고 있지 않은가 633
5. 제2차 세계대전과 사회주의 정당들의 장래 647
제28장 제2차 세계대전의 귀결 653
1. 영국과 정통파적 사회주의 654
2. 미국의 경제적 가능성들 660
3. 러시아 제국주의와 공산주의 686

그 후의 전후전개에 관한 논평
영국판 제3판(1949) 서문 701
사회주의를 향한 행진 711

슘페터 연보 727
옮긴이의 말 729
찾아보기·사항 733
찾아보기·인명 737

저자소개

조지프 슘페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슘페터는 옛 합스부르크 제국 모라비아 지방의 트리시(현 체코공화국에 속함)에서 태어났으며, 빈 대학교에서 뵘-바베르크와 비저(F. von Wieser) 아래에서 경제학과 법학을 전공했다. 그는 체르노비치 대학교를 필두로 그라츠 대학교의 교수를 거쳐 1919년 오스트리아 연립내각의 재무장관을 역임했다. 슘페터는 전후의 오스트리아 경제의 전면적인 사회화를 추진하려는 사회주의자들의 계획을 반대하고, 사회화는 제1차 세계대전으로 피폐된 오스트리아의 경제를 복구하고, 시장경제의 재건을 통해 자본주의를 완전히 발전시켜 사물과 정신이 사회화된 다음에 추진되어야 한다는 것을 주장했다. 이러한 견해 차이로 다른 각료와 겪은 불화로 말미암아 재무장관직은 단기간에 끝나고 말았다. 그 후 민간은행의 은행장을 맡았으나 이 은행의 파산으로 은행장도 사임했다. 정계와 비즈니스계에서 뚜렷한 성공을 거두지 못한 그는 독일의 본 대학교를 거쳐 1932년 미국의 하버드 대학교 교수로 부임하여 타계할 때까지 경제이론과 경제학설사를 강의했다. 그는 경제학·사회학·역사 및 정치학을 아우르는 종합적인 사회과학을 발전시키기 위해 사회학자 파슨스(Talcott Persons)와 긴밀히 협력하기도 했다. 주요 저서로는 『이론경제학의 본질과 주요 내용』 『경제발전의 이론』 『경기순환』 『10대 경제학자----마르크스에서 케인스까지』와 사후에 출판된 『경제분석의 역사』가 있다. 그는 자본주의는 하부구조의 안정성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성공이 만들어낸 상부구조의 불안정성으로 말미암아 사멸하고, 사회주의에 의해서 불가피하게 대체될 것이라고 보고 이를『자본주의·사회주의·민주주의』(1942)에서 상세히 논의했다. 「조세국가의 위기」 「인종적으로 동질적인 환경에서의 사회계급」 「제국주의들의 사회학」 「오늘날의 사회주의적 가능성」과 「자본주의의 불안정성」 외에도 수백 편의 논문을 남겼다.
펼치기
변상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상과대학을 졸업했다. 하와이 대학교(University of Hawaii)에서 석사과정을 이수하고, 서던 메소디스트 대학교(Southern Methodist University)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아이다호 주립 대학교(Idaho State University)의 경제학 교수를 거쳐 성균관대학교 무역학과 교수와 같은 대학교 무역대학원장을 지냈다. 지금은 성균관대학교 명예교수로 있으면서 슘페터의 경제사회학을 연구하고 있다. 슘페터에 관한 주요 논문으로는 「슘페터의 이자이론에 관한 연구---그의 『경제발전의 이론』을 중심으로」 「슘페터의 기업가·혁신·경제발전의 이론에 관한 연구」 등이 있다. 옮긴 책으로는 슘페터의 『경제발전의 이론---기업가 이윤, 자본, 신용, 이자 및 경기순환에 관한 연구』(공역)와 보토모어(Tom Bottomore)의 『한계주의와 마르크스주의 사이에서---J.A. 슘페터의 경제사회학』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