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요리/살림 > 패션/뷰티 > 피부미용
· ISBN : 9788936812232
· 쪽수 : 200쪽
· 출판일 : 2023-01-2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부. 피부에 대한 이해
1장. 피부의 구조 및 기능
• 피부의 구조: 표피, 진피, 피하지방층
• 표피층의 세포
• 진피층의 세포와 구조물
• 피하지방층의 지방세포
• 피부의 기능
2장. 피부의 대사
• 표피층의 분화와 지질 대사
• 표피 각질층의 피부 장벽
• 진피층의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대사: 합성과 분해
• 진피층의 기질 생성: 글리코사미노글리칸 및 프로테오글리칸
• 피하지방의 대사
3장. 피부 건강
• 피부 건강의 의미: 피부 보습과 약산성의 산도 유지
• 피부 보습 관련 생체 지표: 피지막, 자연보습인자 및 히알루론산
• 피부 보습 유지 기전: 피지막과 세라마이드
• 표피의 세라마이드 대사: 세라마이드의 생성 및 분해
• 피부 보습 유지 기전: 자연보습인자와 유리 아미노산
• 표피의 유리 아미노산 대사: 필라그린 분해 및 유리 아미노산 생성
• 피부 보습 유지 기전: 히알루론산의 생성 및 분해
• 피부의 약산성 산도 유지 관련 생체 지표
• 피부 건강 생체 지표 측정 기기: 보습 및 산도 측정 기기
• 보습 및 산도 관련 생체 지표 측정의 장단점
4장. 피부 노화
• 피부의 노화: 자연 노화 및 광노화
• 노화 관련 생체 지표
• 표피, 진피 및 피하지방층의 노화
2부. 피부와 영양소
5장. 피부와 탄수화물
• 탄수화물: 젖산과 피부 보습 및 산도
• 탄수화물: 이당류 생성 감소와 피부 노화
6장. 피부와 단백질
• 표피의 유리 아미노산 조성
• 표피의 유리 아미노산: 자연보습인자 및 약산성의 산도 유지 기능
7장. 피부와 지질
• 오메가-6 불포화지방산과 결핍증
• 오메가-6 불포화지방산의 표피 대사 및 생리 활성
• 오메가-3 불포화지방산과 피부 건강
• 포화지방산과 피부 산도
• 포화지방산과 피부 장벽
8장. 피부와 비타민 및 무기질
• 칼슘 및 비타민 C와 표피 분화
• 비타민 D와 피부 건강
• 비타민 C, 실리콘 및 철분과 콜라겐 합성
• 비타민 A, 베타카로틴, 비타민 C 및 비타민 E: 항산화 기능과 피부 노화 방지
• 비타민 A: 피부 점막 유지 및 피지 분비 조절 기능
9장. 피부와 물
• 물 섭취와 피부 보습
3부. 피부 건강과 식품 영양
10장. 여드름과 식품 영양
• 여드름의 생성 원인
• 여드름의 생성 기전
• 피지 분비를 자극하는 호르몬 및 관련 신호 전달 체계
• 여드름을 악화시키는 영양소와 식품 소재
• 여드름과 피지 분비를 개선하는 기존 치료법
• 여드름과 피지 분비를 개선하는 영양소와 식품 소재
11장. 아토피 피부염과 식품 영양
• 아토피 피부염의 생성 기전
• 아토피 피부염을 개선하는 영양소와 식품의 효능 및 기전: 유산균(프로바이오틱스, 프리바이오틱스)
• 아토피 피부염을 개선하는 영양소와 식품의 효능 및 기전: 감마리놀렌산
• 아토피 피부염을 개선하는 영양소와 식품의 효능 및 기전: 비타민 D
• 아토피 피부염을 개선하는 영양소와 식품의 효능 및 기전: 항산화 비타민과 무기질
12장. 건강한 피부를 위한 식사 패턴
• 식사 패턴의 개념
• 피부 보습과 피지를 악화하는 식사 패턴
• 피부 산도를 개선하는 식사 패턴
4부. 피부 건강을 위한 건강기능식품의 이해
13장. 피부 건강을 위한 고시형 건강기능식품의 이해
• 피부 건강을 위한 영양소 및 고시형 기능성 원료
• 고시형 기능성 원료들의 피부 기능성 연구 보고
14장. 피부 건강을 위한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의 이해
• 피부 건강을 위한 개별인정형 기능성 원료
• 식물성 세라마이드 함유 개별인정형 기능성 원료들의 피부 기능성 연구 보고
• 콜라겐펩타이드 함유 개별인정형 기능성 원료들의 피부 기능성 연구 보고
• 항산화 성분 함유 개별인정형 기능성 원료들의 피부 기능성 연구 보고
• 유산균 함유 개별인정형 기능성 원료의 피부 기능성 연구 보고
• 그 외 개별인정형 기능성 원료들의 피부 기능성 연구 보고
15장. 면역과민반응에 의한 피부 상태 개선에 도움을 주는 고시형 및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의 이해
• 면역과민반응에 의한 피부 상태 개선에 도움을 주는 고시형 기능성 원료
• 면역과민반응에 의한 피부 상태 개선에 도움을 주는 개별인정형 기능성 원료
• 개별인정형 기능성 원료들의 면역과민반응에 의한 피부 상태 개선에 도움을 주는 기능성 연구 보고
책속에서

멜라닌세포는 피부색을 결정하는 멜라닌이라는 색소를 만드는 세포이다. 멜라닌세포는 기저층에서 4~10개의 각질형성세포를 기준으로 1개씩 존재한다. 자외선의 자극을 받아 멜라닌세포에서 생성된 멜라닌은 주변의 각질형성세포로 전달되고, 핵 위에 우산처럼 위치하여 자외선을 흡수하거나 산란시켜 각질형성세포를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한다. 우리는 하얀 피부를 선호하지만, 피부색을 검게 보이게 하는 멜라닌은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생성되는 물질이다. 인종 간 멜라닌세포의 수는 큰 차이가 없으나, 멜라닌 생성능에서 차이가 난다. 흑인은 백인보다 멜라닌 생성능이 높아서 피부암 등에 걸릴 위험도가 더 낮다.
- 표피층의 세포 중
피부는 외부의 여러 위험 인자들로부터 우리 몸을 보호하는데, 일차적으로 표피의 각질층에서 피부 장벽 기능이 이루어진다. 각질층에는 핵이 없고 납작하게 된 죽은 각질세포(corneocyte)가 여러 겹으로 쌓여 있고, 각질세포에서 분비되는 지질들이 각질세포 사이사이를 채우고 있다.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유리 지방산으로 이루어진 각질층의 지질은 일반적인 생체막의 지질 구성과 상이하다. 인지질이나 스핑고미엘린(sphingomyelin), 콜레스테롤을 함유하는 생체막은 분자량이 작은 수용성 물질이 쉽게 투과되는 반면, 각질층의 지질은 각질세포에서 분비된 후 각질세포 사이에서 층상 구조(lamellar structure)를 이루어 수용성 물질의 투과가 어려운 피부 장벽 기능을 수행한다.
- 표피 각질층의 피부 장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