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88941299318
· 쪽수 : 424쪽
· 출판일 : 2020-05-30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I. 성서의 히브리어 본문
1. 언어, 문자 그리고 필기도구
1.1 성서 히브리어
1.2 문자
1.3 필기도구
1.4 두루마리와 코덱스
1.5 필기도구들과 잉크
1.6 참고 문헌
2. 마소라 본문
2.1 자음 본문
2.2 전승과 수정
2.3 마소라 학파의 모음 표기
2.4 본문 단락 나누기와 악센트 체계
2.5 소마소라와 대마소라
2.6 중세 시대의 성서 필사본들
2.7 인쇄된 본문 판본들
2.8 학술적인 본문 편집본들
2.9 참고 문헌
3. 쿰란에서 나온 두루마리 문서들
3.1 주거지를 둘러싼 논의
3.2 사해에서 나온 성서 필사본들
3.3 성서 책들의 개별 문서 두루마리들
3.4 본문 역사의 초기 단계 개관
3.5 초기 성서 필사본 분류
3.6 학술적인 본문 편집본들
3.7 참고 문헌
4. 사마리아 본문
4.1 사마리아 사람들의 역사에 관하여
4.2 사마리아 오경
4.3 전 사마리아 오경 본문
4.4 학술적인 본문 편집본들
4.5 참고 문헌
Ⅱ. 고대 번역본들
5. 칠십인역
5.1 칠십인역 기원 설화
5.2. 초기 본문의 역사
5.3 유대 개정본
5.4 오리게네스의 헥사플라
5.5 안티오키아 본문(루키안 개정본)
5.6 주요 코덱스
5.7 칠십인역과 히브리어 본문
5.8 학술적인 본문 편집본
5.9 참고 문헌
6. 다른 번역본들
6.1 아람어 타르굼
6.2 시리아 번역본(페쉬타)
6.3 불가타(히에로니무스)
6.4 고대 라틴어 단편들(베투스 라티나)
6.5 그 밖의 번역본들
6.6 참고 문헌
Ⅲ. 본문비평
7. 본문비평의 목표와 과제
7.1 원본문과 최종본문
7.2 문헌비평과의 경계
7.3 본문비평의 정의
7.4 판독(判讀, Konjekturen)
8. 본문 훼손, 본문 변경, 이형태
8.1 독서 오류와 필사 오류
8.2 의도적 변경
8.3 대체 독법
8.4 참고 문헌
9. 본문비평 방법
9.1 비블리아 헤브라이카의 비평장치 해독
9.2 외적인 본문비평(외적 기준들)
9.3 내적인 본문비평(내적 기준들)
9.4 본문비평의 결정
9.5 본문비평의 개별 보기들
9.6 본문비평의 의미
9.7 참고 문헌
Ⅳ. 도판들
Ⅴ. 부록
본문비평 용어 색인
BHS 비평장치의 라틴어 줄임말
BHQ 비평장치의 영어 줄임말
참고 문헌 목록
자료 출처
주제어 색인
감사의 말씀
책속에서
“감사의 말씀 - 역자 후기를 갈음하여 -” 중에서
“이 책은 알렉산더 아킬레스 피셔가 2009년에 쓴 『구약성서 본문: 역사와 본문비평』(Der Text des Alten Testaments)의 번역서입니다. 이 책에 앞서, 반세기가 넘도록 히브리어 성서의 입문서로서 구약학 수업에서 널리 사용되어 온 책은, 에른스트 뷔르트바인(Ernst W?rthwein)의 『구약성서 본문』(Der Text des Alten Testaments)입니다. 이 책은 1952년에 초판이 나왔고 1988년의 5판이 나오기까지 거듭 개정 증보되었습니다. 피셔는 이 전통을 존중하면서도 그 뒤로 20여 년 동안 발전해 온 구약학 연구의 열매를 담아 완전히 새로운 입문서를 내 놓았습니다.”
“서문” 중에서
“에른스트 뷔르트바인(Ernst Wurthwein)의 입문서의 마지막 판이 출간된 뒤로 지금까지 20년이 넘는 시간이 흘렀다. 그동안에 쿰란 본문들의 총서가 전반적으로 완료되었을 뿐 아니라, 비블리아 헤브라이카 퀸타(Biblia Hebraica Quinta)라는 이름을 가진 새로운 비블리아 헤브라이카가 출간되기 시작하였다. 이 밖에도 괴팅겐 칠십인역 연구소(G?ttinger Septuaginta-Unternehmen)의 새로운 단행본들, <사무엘>, <열왕기> 그리고 <역대기>의 안티오키아 본문의 판본 등 더 많은 판본이 등장했다. ... 기존 본문 부분이 완전히 새롭게 작성되었고, 쿰란에서 발견된 본문들을 다루는 새로운 또 다른 한 장(Kapitel)이 덧붙여졌다. ... 새롭게 개정된 이 교과서는 구약성서 주석 방법론 초급 세미나(Proseminar)에서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본문비평 안내서의 구실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