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과교육론 > 교과교육론/기타 전공
· ISBN : 9788941443858
· 쪽수 : 213쪽
· 출판일 : 2005-09-15
목차
제1부 제7차 교육 과정의 이해
01. 제7차 교육 과정 총론
1. 제7차 교육 과정의 성격
2. 개정의 중점
3. 수준별 교육 과정
02. 제7차 사회과 교육 과정 각론
1. 사회과 교육 과정 개정의 배경 및 중점
2. 사회과의 성격
3. 사회과의 목표
4. 사회과의 내용
5. 사회과의 교수-학습 방법
6. 사회과의 평가
제2부 역사 교육의 개관
01. 역사 교육의 의의
1. 역사 교육의 의미
2. 역사 교과학
02. 역사학과 역사 교육
1. 역사학과 역사 교육
2. 역사학과 사회 과학
3. 역사 교육의 연구 대상 및 범위
4. 역사 교육학의 연구 방법
5. 역사 철학과 역사 교육
6. 관념론과 실증론
03. 역사 교육의 목표
1. 역사 교육 목표론
2. 역사 교육의 행동 영역별 목표
3. 역사과 교육 목표의 위계화와 상세화
04. 역사 교육의 내용
1. 역사과 내용의 구성 요소
2. 역사 교육의 내용 선정
3. 역사 교육의 내용 조직
4. 역사 교육의 내용 조직의 방법
5. 역사 교육의 내용 조직의 진술
05. 역사 수업의 교재
1. 역사 교재의 의의
2. 역사 교재의 종류
06. 역사 수업의 방법
1. 역사 수업의 설계
2. 역사 수업 모형
07. 역사 수업의 평가
1. 역사 학습 평가의 원리
08. 인지 발달과 역사 이해
1. 피아제의 인지 발달 이론과 역사 학습
2. 역사 이해에 대한 새로운 인지 이론
09. 역사 교육의 연구 방법론
1. 역사 교육 연구와 의미
2. 역사 교육의 연구 방법
제3부 역사 교육의 이론적 쟁점
01. 역사 교과 교육 이론의 가능성과 문제점
1. 역사 교과 교육 이론의 성격과 교수 내용 지식
2. 역사 수업에서 교수 내용 지식의 역할
3. 교수 내용 지식과 교사 교육
02. 탐구식 역사 수업 모형의 재인식
1. 탐구식 역사 교수 이론
2. 탐구식 교수 이론에 대한 비판
3. 이해와 재미를 중시하는 역사 수업
03. 역사 교육에서의 내용 선정
1. 전통적인 내용 선정의 문제
2. 중요성의 원리에 따른 내용 선정
3. 교육적인 내용 선정 기준의 정립
04. 교실 역사 지식의 내용과 형식
1. 학교 지식의 개념과 기능
2. 교실에서의 역사 지식
05. 역사 수업에서 과학적 설명 논리의 적용
1. 과학적 역사 설명의 논리
2. 역사 수업에서 설명상의 문제와 개선 방향
3. 과학적 설명 논리에 따른 역사의 수업 방식
06. 역사 학습에서 총괄의 이용
1. 총괄의 특성
2. 총괄과 역사 학습
07. 역사 철학의 행위 설명 이론과 역사 교육에의 적용
1. 역사학의 행위 설명 이론
2. 행위 설명 이론과 역사 교육
08. 역사 교육에 있어서 역사적 맥락을 통한 이해의 문제
1. 역사적 맥락을 통한 역사 이해
2. 수업에의 활용 방안
09. 역사 학습에서 상상적 이해의 방안
1. 상상적 역사 이해의 논리
2. 상상적 역사 이해의 방식
3. 역사 학습에서 상상적 이해의 단계
10. 역사적 사고력의 개념과 그 교육적 의미
1. 역사적 사고력의 개념
2. 피아제의 인지 이론과 역사적 사고력
3. 역사적 사고력의 영역
제4부 역사 인식의 변화와 역사 교육
01. 역사 교사의 전문성 제고
1. 역사과 교육 이론의 성격
02. 포스트모던과 역사 인식, 그리고 역사 교육
1. 포스트모던 역사 인식과 역사 학습
2. 포스트모더니즘 하에서의 역사, 역사 교육, 세계사 교육
3. 역사 서술의 주체와 관점
4. 역사 표현의 의미와 역사 교과서
5. 역사 표현의 방식
6. 비판적 역사 읽기와 역사 쓰기
03. 내러티브와 역사 교육
1. 내러티브의 특성과 역사 학습에서의 활용
2. 내러티브의 수업 모델
04. 인지 발달과 역사적 사고력
1. Piaget의 인지 발달 이론
2. 역사적 사고력
3. 역사적 사고력의 하위 범주
4. 역사과 내용 구성 원리
5. 중·고등 학교 국사 교육 내용의 계열화
6. 탐구식 수업
7. 추체험을 활용한 역사 학습 방안
05. 역사과 교재론
1. 사료
2. 국사 교과서 국정 제도의 검코
부록 - 사회과 교육의 흐름
1. 사회과
2. 역사과
3. 지리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