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유아교육학
· ISBN : 9788942606474
· 쪽수 : 316쪽
· 출판일 : 2011-12-29
목차
머리말
제1부 영유아 프로그램의 기초
제1장 영유아 프로그램의 이론적 배경
1. 영유아 프로그램의 개념 및 필요성
-1) 개념
-2) 필요성
2. 철학적 배경
-1) Platon
-2) Aristoteeles
-3) Comenius
-4) Loke
-5) Rousseau
-6) Frobel
-7) Montessori
3. 심리학적 배경
-1) 성숙주의 이론
-2) 정신분석 이론
-3) 행동주의 이론
-4) 인지발달 이론
4. 사회·문화적 배경
-1) 가족 구조 및 기능의 변화
-2) 여성의 사회 참여
-3) 21세기 정보화·세계화 사회
제2장 영유아 발달의 특성
1. 발달의 이해
2. 영아기 발달
-1) 신체 및 운동기능 발달의 특징
-2) 인지발달
-3) 언어발달
-4) 정서 및 사회성 발달
3. 유아기 발달
-1) 신체 및 운동기능 발달
-2) 인지발달
-3) 언어발달
-4) 정서발달
-5) 사회성발달
제3장 영유아 프로그램 개발
1. 영유아 프로그램 개발의 개념
2. 영유아 프로그램 개발의 기본 원리
-1) 창조성의 원리
-2) 현실성의 원리
-3) 논리성의 원리
3. 영유아 프로그램의 유형
-1) 구성주의 프로그램
-2) 개방주의 프로그램
-3) 행동주의 교육 프로그램
-4) 현장 적용 프로그램
제4장 영유아 프로그램의 운영
1. 영유아 프로그램 운영 시 고려 사항
2. 영유아 프로그램 운영 시 교사의 역할
-1) 양육자로서의 역할
-2) 관찰자 및 평가자로서의 역할
3. 영유아 프로그램의 계획 및 운영
-1) 영아 프로그램
-2) 유아 프로그램
4. 영유아를 위한 교육 환경
-1) 영아를 위한 환경
-2) 유아를 위한 환경
제2부 영유아 프로그램의 실제
제5장 몬테소리 프로그램
1. 몬테소리 프로그램의 배경
2. 몬테소리 프로그램의 목적
3. 몬테소리의 기본 개념
-1) 민감기
-2) 흡수정신
-3) 자동교육
-4) 정상화
-5) 준비된 환경
4. 몬테소리 프로그램의 운영
-1) 교육과정
-2) 교수 방법
-3) 평가
-4) 몬테소리의 교사관
5. 몬테소리 프로그램의 실제
-1) 일상생활 영역
-2) 감각교육 영역
-3) 수학교육 영역
-4) 언어교육 영역
-5) 문화교육 영역
제6장 프로젝트 접근법
1. 프로젝트 접근법의 배경
2. 프로젝트 접근법의 목적 및 특성
-1) 프로젝트 접근법의 목적
-2) 프로젝트 접근법의 특성
3. 프로젝트 접근법의 운영
-1) 1단계 : 준비 단계
-2) 2단계 : 시작 단계
-3) 3단계 : 전개 단계
-4) 4단계 : 마무리 단계
4. 프로젝트 접근법의 실제
제7장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
1.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의 배경
-1) 역사적 배경
-2) 이론적 배경
2.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의 기본 원리
-1) 아동관
-2) 체제의 관계성
-3) 부모의 역할
-4) 공간은 제3의 교사이다
-5) 소집단 내에서의 상호작용
-6) 시간의 역할과 연속성의 중요성
3. 레지오 에밀리아의 교육과정 운영
-1) 교수·학습 방법
-2) 레지오 에밀리아 수업의 진행
-3) 교사의 역할
-4)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과 프로젝트 접근법의 차이점
4.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의 실제
제8장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
1. 생태유아교육의 배경
2.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의 목적 및 특성
-1) 생태유아교육의 목적
-2) 생태유아교육의 특성
3.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 운영
-1) 프로그램 내용
-2) 생태유아교사의 역할
4.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실제
-1) 주기적 체험형 숲유치원
-2) 매일 운영하는 숲유치원
제9장 장애통합교육 프로그램
1. 장애통합교육의 배경
2. 장애통합교육의 개념
3. 장애통합교육의 운영
-1) 장애통합교육의 법적 근거
-2) 장애아통합 보육과정
-3) 가족-교사 간 협력
4. 개별화 보육 프로그램(IEP)의 실제
-1) 개별화 보육 프로그램
-2) IEP의 의미
5. 장애통합교육 프로그램의 실제
제10장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1.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배경
2.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기본 개념
3.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1) 다문화교육 내용 및 활동
-2) 우리나라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내용 및 방법
-3) 다문화교육 환경 구성
-4) 교사의 역할
-5) 교육계획안
4.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실제
-1) 일본 히라노의 다문화교육 활동 사례
-2) 호주의 다문화교육 활동 사례
-3) 한국의 다문화교육 활동 사례
-4) 평가
제11장 종일반 프로그램
1. 종일반 프로그램의 배경
2. 종일반 프로그램의 개념
3. 종일반 프로그램의 운영
-1) 운영의 과제
-2) 종일반 프로그램 운영 시 고려해야 할 점
4. 종일반 프로그램의 운영의 실제
-1) 교육과정
-2) 일과 운영
-3) 운영 계획
-4) 교육 내용 및 활동 계획
-5) 종일반 연간 교육계획
-6) 종일반주간교육계획안
-7) 종일반 프로그램의 하루 일과
-8) 종일반 특성 프로그램
-9) 종일반 프로그램 사례
제3부 영유아 프로그램의 평가
제12장 영유아 프로그램의 평가
1. 평가의 개념
2. 평가의 목적 및 필요성
3. 평가 방법 및 유형
-1) 영유아 평가 방법
-2) 교사 평가 방법
-3) 교육 프로그램 및 기관 평가 방법
제13장 우리나라의 영유아 프로그램 평가
1. 어린이집 평가인증제
-1) 평가인증제의 개념 및 필요성
-2) 평가인증제의 목적
-3) 평가인증 진행 절차
-4) 평가 결과의 활용 방안
2. 유치원 평가
-1) 평가 목적
-2) 기본 방침
-3) 평가 영역 및 내용
-4) 평가 방법
-5) 평가 결과 처리 및 활용
-6) 유치원 평가 결과서 작성
3. 외국의 평가 사례
-1) 미국
-2) 호주
-3) 뉴질랜드
-4) 영국
-5) 일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