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유아교육학
· ISBN : 9788942607792
· 쪽수 : 335쪽
· 출판일 : 2014-09-10
목차
머리말
프롤로그
제1장 플라톤, 형이상학적 인간학과 교육
플라톤의 인간관
- 영혼 우위의 이원론적 인간관
- 분리된 선분의 비유
- 동굴의 비유
플라톤의 인식론
- 상기설
플라톤의 사유와 교육
제2장 근대 주체중심철학과 교육
데카르트의 이성철학
- 이성 우위의 사유주체
- 오직 스스로 존재하는 실체로서의 사유주체
칸트의 인식론
- 구성주의적 상대주의 인식론
- 자율적 인식주체
- 자유의지에서 출발하는 도덕론
주체중심, 이성중심의 근대교육
제3장 현상학과 생활세계로의 교육
후설의 현상학
- 육체와 정신의 융합체로서의 자아
- 삶의 토대로서의 전인교육을 위하여
- 의식의 지향성
- 상호주관성으로서의 생활세계
- 타자에로의 지향성 개발을 위하여
메를로 퐁티의 ‘몸’ 현상학
- 정신이 육화된 몸
- ‘몸’을 통한 세계에의 존재
- 소통의 장으로서의 몸, 그리고 교육
제4장 포스트모던 철학적 담론과 교육
라캉, 무의식 주체의 발견
- 단계 이론과 유아기 주체형성
- 무의식, 소외와 결핍의 주체
- 자기주체화와 교육
푸코, 자기배려를 통한 미학적 주체로의 가능성
- 지식, 권력, 윤리의 주체화
- 자기배려와 앎
- 자기배려와 실존적 미학에 근거한 교육
해체, 차연, 유령론으로 읽는 데리다
- 해체, 혹은 탈구축
- 차연의 철학
- 차연의 장으로서의 교육
들뢰즈의 존재론과 유목주의
- 차이와 생성의 철학
- 시간론: 현재, 과거, 그리고 미래
- 유목민으로서의 삶을 위한 교육
제5장 포스트모던 교육의 새로운 가능성
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
- 모더니티, 모던교육
- 포스트모던 철학의 사유
-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의 포스트모던 교육
탈주체로서의 포스트모던 주체
- 현상학에서 출발하는 탈주체
- 현상학적 탈주체와 윤리
- 상호주관성으로서의 탈주체
- 수동성으로서의 탈주체
포스트모던 차이 담론과 교육
- 모더니티 해체로서의 차이 담론
- 차이 담론과 다문화
- 다름에 대한 가치 인정과 관용으로서의 교육
상호문화성과 다문화교육
- 상호문화, 상호문화성
- 상호문화성́에 관한 현상학적 이해
- 상호문화교육의 가능성
제6장 유아교육 담론에 대한 포스트모던 해체
포스트모더니즘과 유아교육 재개념화
- 모던 아동, 포스트모던 아동
- 아동중심교육에 대한 포스트모던 해체
- 상호주관성에 근거한 아동중심교육의 이해와 가능성
피아제 이론에 대한 포스트모던 해체
- 칸트, 플라톤, 그리고 피아제
- 유아, 유아기에 대한 피아제 관점 해체하기
- 이성적 사유에 한정된 피아제 이론 비판하기
- 피아제 이론 해체와 현대 유아교육
제7장 포스트모던 유아교육의 대안적 담론을 향하여
포스트모던 유아교육의 대안적 원리
- 서사적, 해석학적 패러다임에 근거한 대안적 원리
- 자아구성의 맥락적 실체성에 근거한 대안적 원리
- 타자에 대한 인정과 수용에 근거한 대안적 원리
상호주관성과 포스트모던 유아교육 담론
- 현상학에서의 상호주관성
- 상호이해, 공유된 이해로서의 상호주관성
- 근대주체의 해체로서의 상호주관성
- 상호주관성으로서의 가르침과 배움
대안적 유아교육 담론으로서의 탈구성주의 가능성
- 구성주의 이해
- 구성주의에 대한 포스트모던 해체
- 탈구성주의 유아교육의 가능성
에필로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