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유아교육학
· ISBN : 9788942607846
· 쪽수 : 323쪽
· 출판일 : 2014-11-07
목차
머리말
제1장 몬테소리의 과학적 교육학과 관찰의 중요성
1. 몬테소리 교육학과 관찰의 중요성
2. 어린이를 위한 관찰의 원천인 사랑
3. 몬테소리의 과학적 교육학의 원리
4. 몬테소리의 영성적 교육학의 원리
5. 몬테소리 교사의 관찰 준비를 위한 예비지식
제2장 몬테소리 교실에서 관찰자로서 역할
1. 몬테소리 교실에서 필요한 관찰의 본질
2. 관찰에 미치는 요인
3. 교사의 관찰을 위한 시간 만들기
4. 관찰을 위한 교사의 헌신적 노력과 자기희생
5. 교사의 관찰을 위한 능력 평가
-1) 몬테소리 교사의 물리적 환경 구성 능력
-2) 전통 교구와 창의적 교구, 부교구, 교재에 대한 개발과 활용 능력
-3) 물리적·인적 환경과 상호작용
-4) 교사의 운영 관리 능력
-5) 교사의 관찰 기술과 자신을 반영하는 능력
-6) 교사로서 배움을 갈망하는 능력
-7) 교사로서 감독 능력
-8) 교사로서 가지는 욕구, 발전할 수 있는 능력
-9) 교사로서 자기 능력을 발전시킬 수 있는 능력
-10) 교사로서 자신의 비전을 예견하는 능력
6. 몬테소리 모델과 몬테소리 어린이
-1) 활동과 인지의 관계
-2) 어린이의 자유 선택
-3) 어린이의 흥미와 관심
-4) 외적 보상의 부정적인 요인들
-5) 친구와 함께 배우고 친구로부터 배우는 협력 관계
-6) 상황 속에서 배우기
-7) 교사의 방향과 어린이의 방향
-8) 환경과 정신에 대한 질서
7. 어린이의 집중력을 강화하는 몬테소리 환경
-1) 손 운동과 함께 하는 흥미로운 교구 작업
-2) 집중력과 3시간 동안 작업 순환 주기를 활용하기
-3) 흥미와 학습에 관한 연구
제3장 교사의 관찰 노트와 어린이를 위한 관찰 기록
1. 관찰 기록과 보고의 중요성
2. 교사를 위한 관찰 노트와 어린이를 위한 관찰 기록
3. 교사 자신에게 반영하기
제4장 관찰 과정으로써 연결, 수집, 반영, 참여에 대한 효과
1. 몬테소리 교실에서 관찰을 위한 연결, 수집, 반영, 참여의 과정
-1) 연결하기
-2) 참여하기
-3) 반영하기
2. 관찰에 있어서 연결, 수집, 반영, 참여 과정의 관계
제5장 연결하기: 작업과 학습을 위해 무엇과 연결하여야 하는가?
1. 교사가 관찰하여 자기의 정체성을 만들어 가기 위해 요청하는 질문
2. 교사가 알기 원하는 질문이 자신이 관찰한 것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3. 가장 중심이 되는 이야기와 연결하기
4. 교사 자신과 연결하기
5. 어린이와 연결하기
6. 사회 시스템을 교실과 연결하기
7. 몬테소리 철학과 연결하기
8. 교사의 질문을 처음 연결하기
제6장 관찰한 정보를 수집하기
1. 교사는 어떤 방법으로 기록할 것인가?
2. 관찰을 위한 교사의 개인적인 준비
3. 정보를 수집하기
4. 일기 혹은 저널
5. 몬테소리 교실에서 물리적 환경 지도 만들기
6. 일화 기록을 활용하기
7. 실행 기록을 활용하기
8. 행동목록법 : 체크리스트 기록하기
9. 평정척도법
-1) 기술 평정척도 관찰 기록 양식
-2) 도식 평정척도 관찰 기록 양식
-3) 숫자 평정척도 관찰 기록 양식
10. 시간표집법
11. 교사가 관찰한 것을 관리하기
12. 추가적인 제안
13. 교사의 관찰 계획
제7장 교사 자신을 반영하기: 교사가 수집한 정보가 무엇인가를 어떻게 이해하기를 원하는가?
1. 교사가 정확하게 보고 정확하게 이해하기
2. 교사가 관찰한 것을 반영하는 과정
3. 배타적인 친구들과 관계 형성에 문제는 없는가?
4. 과연 어린이는 준비된 환경에서 무엇/어떤 활동으로 작업하기 원하는가?
5. 어린이는 어떻게 또래 친구들과 사회적 관계, 친구 관계를 형성하는가?
6. 교사가 관찰하고 반영한 것이 경험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7. 관찰 목표는 교사가 관찰하고 반영하는 데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8. 믿는 것과 보는 것은 믿는 것을 보는 것이다
9. 관계의 틀
10. 사회적이고 역사적인 영향
11. 교사의 개인적 경험
12. 몬테소리 철학과 전통 교육학
13. 몬테소리의 발달 단계와 수준
14. 수집한 정보를 반영하기
제8장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1. 새롭게 이해한 것을 근거로 교사가 무엇을 하기 원하는가?
2. 교사가 개인적인 자기성장에 참여하고 촉진하기
3. 영적 성장에 어린이를 몰입시키기
4. 목적의식을 가지고 계획하기
5. 어린이의 활동을 확장하기 : 연구 활동
6. 민속방법론적 연구 절차
7. 면담하기
8. 상담할 질문을 준비하기
9. 상담한 내용을 기록하기
10. 관심을 이해하기 : 확장 기능
11. 집중과 초점을 공유하는 사항
제9장 몬테소리 교육과 내일의 정체성에 대한 연구
1. 내일을 위한 한국 몬테소리 교육의 과업
2. 몬테소리 교육은 기술이 아니라 어린이의 영성과 인격 형성을 돕는 교육이다
3. 몬테소리 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변화
4. 어린이의 집중력과 내재적 동기부여는 몬테소리 교실의 심장부 역할을 해야 한다
5. 어린이의 삶을 위한 기술을 만들어 주기
6. 새로운 백 년을 위한 새로운 연구 방향과 새로운 이해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