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학 일반
· ISBN : 9788942608447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15-11-02
목차
머리말
PART 01 교육의 개념적·역사적 이해
제1장 교육이란 무엇인가
1. 교육의 개념
2. 교육의 기능
1) 교육의 필요성
2) 교육의 기능
3. 교육의 유형
1) 비형식적 교육과 형식적 교육
2) 교육의 수평적 유형과 수직적 유형
제2장 근대까지의 교육
1. 고대의 교육
1) 교육의 목적
2) 고대 서양의 교육내용
3) 고대 동양의 교육내용
2. 중세의 교육
3. 근대의 교육
제3장 현대의 교육
1. 20세기 전반기의 교육
1) 진보주의 교육
2) 경험중심 교육과정
2. 20세기 후반기의 교육
1) 진보주의 교육의 퇴조
2) 학문중심 교육과정
3) 교육의 인간화와 인간중심 교육과정
PART 02 교육의 심리적 이해
제4장 교육과 심리
1. 현대 심리학의 등장
2. 행동주의 심리학
3. 정신분석학
4. 인본주의 심리학
제5장 발달심리
1. 발달의 개념
2. 발달의 원리
3. 발달과업
1) 태아기
2) 신생아기
3) 영아기
4) 유아기
5) 아동기
6) 청소년기
7) 성인 초기
8) 성인 중기·후기
9) 노년기
4. 발달 이론
1)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cognitive development) 이론
2) 프로이드(Freud)의 심리성적(psychosexual) 발달 이론
3) 에릭슨(Erikson)의 심리사회적(psycho-social) 발달 이론
5. 발달 이론의 교육적 시사점
1) 준비성(readiness)
2) 결정적 시기(critical period)
3) 문화 실조(cultural deprivation)
제6장 학습심리
1. 학습의 이해
1)학습의 개념
2. 학습 이론
1) 행동주의 학습 이론
2) 인지주의 학습 이론
3) 구성주의 학습 이론
제7장 학습의 심리적 요인
1. 지능
1) 지능의 개념
2) 지능의 구조
3) 지능의 발달
4) 지능과 학업 성취
2. 학습동기
1) 동기의 의미
2) 동기 이론
PART 03 교육의 과정적 기초
제8장 수업의 과정
1. 교수설계
1) 교수설계의 개념
2) 교수설계의 과정
2. 수업계획서와 학습지도안의 작성
1) 수업계획서의 작성
2) 학습지도안의 작성
3. 교수-학습방법
1) 일반적인 수업의 과정
2) 교수-학습방법의 단계
4. 효과적인 수업 기술
1) 신뢰감 형성 기술
2) 학습의욕 제고 기술
3) 수업반응 제고 기술
4) 효과적인 설명 기술
5) 효과적인 판서 기술
6) 학습자료 제시 기술
7) 시범 기술
제9장 교수-학습방법
1. 강의식 수업방법
1) 강의식 수업의 특징
2) 강의식 수업의 과정
3) 강의식 수업과 질문법
2. 토의식 수업방법
1) 토의식 수업의 특징
2) 토의식 수업의 유형
3) 토의식 수업의 과정
3. 문제해결학습
1) 문제해결학습의 특징
2) 문제해결학습의 단계
3) 문제해결학습의 과정
4. 협동학습
1) 협동학습의 특징
2) 협동학습의 과정
PART 04 교육의 사회적 이해
제10장 교육과 사회
1. 교육사회학의 형성
1) 교육사회학의 등장
2) 교육사회학의 특성
2. 교육사회학 연구
1) 교육사회학의 탐구 문제
2) 교육사회학의 연구 분야
제11장 교육의 사회학적 접근방법
1. 구조 기능주의적 접근방법
1) 구조 기능주의적 교육사회학의 발전 과정
2) 구조 기능주의적 교육사회학의 기본 입장
3) 구조 기능주의적 교육사회학의 주요 관점
2. 갈등 이론적 접근방법
1) 갈등 이론적 교육사회학의 발전 과정
2) 갈등 이론적 교육사회학의 기본 입장
3) 갈등 이론적 교육사회학의 주요 관점
3. 신교육사회학의 해석적 접근방법
1) 신교육사회학의 발전 과정
2) 신교육사회학의 기본 입장
3) 신교육사회학의 주요 논제
4) 신교육사회학의 의의
제12장 교육의 사회적 쟁점
1. 교육 경쟁과 교육열
1) 교육 선발 제도와 교육 경쟁
2) 교육열
2. 교육 불평등
1) 교육 기회의 허용적 평등
2) 교육 기회의 보장적 평등
3) 교육 조건의 평등
4) 교육 결과의 평등
3. 교육의 사회적 측면들
1) 정치 이념의 변화와 교육과정
2) 지식의 계층화 및 성 차별화
PART 05 교육의 행정적 이해
제13장 교육과 행정
1. 교육행정의 개념
1) 국가공권력설
2) 조건정비설
3) 정책달성설
4) 행정행위설
5) 종합설
2. 교육행정의 성격
1) 수단적·봉사적 성격
2) 전문적 성격
3) 민주적 성격
4) 장기적 성격
3. 교육행정 이론
1) 고전적 조직론
2) 인간관계론
3) 행동과학 이론
4) 체제이론
5) 다원적 이론
제14장 교육행정의 조직과 체계
1. 교육행정의 조직
1) 조직의 정의
2. 조직의 종류
1) 공식조직과 비공식조직
2) 계선조직과 참모조직
3. 교육행정의 체계
1) 중앙 교육행정
2) 지방 교육행정
제15장 교육과 교사
1. 교직의 전문성
1) 장기간의 교육과 훈련
2) 직무의 자율성
3) 책임감
4) 봉사
5) 자치단체 조직
6) 직업윤리의 강조
2. 교사의 자질
3. 교사와 인간애
1) 종교에서의 사랑
2) 교사의 사랑 : 교육애
4. 교사와 윤리
1) 사도헌장
2) 사도강령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