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유아교육학
· ISBN : 9788942614141
· 쪽수 : 295쪽
· 출판일 : 2020-12-20
목차
머리말 2
제1부 예술교육의 이해
chapter 1 예술이란 12
1. 예술의 의미와 정의 13
2. 예술의 기능 19
chapter 2 예술교육 22
1. 예술교육의 의미 22
2. 예술교육의 목적 27
3. 예술교육의 효과 28
4. 예술교육의 시대적 흐름 30
chapter 3 유아 예술교육 43
1. 유아 예술교육의 가치 44
2. 유아 예술교육의 중요성 47
3. 유아 예술교육의 효과 49
제2부 창의성교육의 이해
chapter 4 창의성의 기초 54
1. 창의성교육의 필요성 54
2. 창의성의 개념 56
1) 창의성 56
2) 창의성 개념에 대한 학자들의 관점 59
3) 창의성 이론의 관점 61
4) 유아 창의성교육 66
3. 창의성의 유형 67
1) 민감성(Sensitivity) 67
2) 상상력(Imagination) 69
3) 유창성(Fluency) 71
4) 융통성(Flexibility) 73
5) 독창성(Originality) 75
6) 정교성(Elaboration) 77
4. 유아 창의성의 영역 80
1) 소리 창의성(Sound Creativity) 80
2) 도형 창의성(Figural Creativity) 82
3) 동작 창의성(Movement Creativity) 83
4) 언어 창의성(Linguistic Creativity) 85
5) 조작 창의성(Manipulative Creativity) 86
chapter 5 영유아 창의성 발달 89
1. 영유아 창의성 발달 단계 89
1) 영아기 90
2) 유아기 94
2. 유아기 창의성 발달 특징 96
1) 특징의 종류 97
2) 특징에 대한 학자들의 관점 99
3. 영유아기 창의성 교육원리 100
4. 창의성교육을 위한 교사의 역할 103
1) 물리적 환경의 지원자로서의 역할 103
2) 심리적 지원자로서의 역할 105
3) 열린 학습자로서의 역할 106
4)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한 역할 106
5) 탐구와 발견학습을 위한 역할 107
5. 창의성을 저해하는 요인 및 경감 방법 108
6. 창의성 발달을 위한 교사의 발문 117
1) 교사의 발문 117
2) 발문의 유형 118
3) 교사의 창의적 발문법 121
제3부 창의적 예술교육
chapter 6 예술교육과 창의성의 관계 128
1. 예술경험 128
1) 예술경험의 가치 128
2) 예술경험의 이론 130
2. 예술교육과 창의성의 관계 132
3. 예술통합교육 135
4. 예술교육과 창의성교육을 위한 교사 역할 137
chapter 7 예술교육 영역 141
1. 음악 142
1) 음악적 요소 및 개념 143
2) 음악교육의 활동 146
3) 음악 활동의 내용 147
2. 미술 148
1) 미술의 요소와 구성원리 148
2) 미술교육의 활동 151
3) 미술 감상 방법 152
3. 동작 159
1) 동작의 구성 요소 160
2) 동작교육의 활동 161
4. 문학 162
1) 언어의 구성 요소 163
2) 언어의 형태 164
3) 문학적 요소 164
4) 문학교육의 활동 165
5. 극놀이 167
1) 동극의 요소 168
2) 음악극의 요소 169
3) 극놀이의 진행 과정 169
4) 극놀이의 활동 170
chapter 8 창의예술 프로그램 172
1. 창의예술 프로그램의 예시 172
1) 명화감상 173
2) 음악감상 175
3) 명화와 음악감상 176
2. 창의예술 프로그램 현장에 적용하기 178
1) 창의성 영역별 활동 178
2) 교사의 자기 성찰(평가) 183
제4부 영유아를 위한 창의예술교육의 실제
chapter 9 명화와 명곡감상 186
참고 문헌 2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