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교육학개론

교육학개론

(AI시대 MZ세대를 위한)

손승남, 이정금, 김신곤 (지은이)
창지사
1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000원 -0% 0원
570원
18,430원 >
19,000원 -0% 0원
카드할인 10%
1,900원
17,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9,000원 -10% 950원 16,150원 >

책 이미지

교육학개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교육학개론 (AI시대 MZ세대를 위한)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학 일반
· ISBN : 9788942618781
· 쪽수 : 248쪽
· 출판일 : 2024-03-11

책 소개

교육은 ‘인간을 인간답게 기르는 과업’이라고 할 수 있다. 동물적인 차원을 넘어 이성의 존재로 만들어 가는 과정이 교육이다. 교육학개론은 이와 같은 교육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교육 현상을 깊고, 넓게 탐구하는 분야이다.

목차

제1장 교육이란 무엇인가

제1절 교육 16
1. 어원 16
2. 정의 18
3. 목적 20
4. 요소 23
5. 구분 24

제2절 교육학 28
1. 성격 28
2. 영역 29

제3절 교사 30
1. 교직관 30
2. 교사의 자질 32
3. 인공지능 시대의 교사의 역할 34

제2장 한국교육사

제1절 고조선의 교육 39

제2절 삼국시대의 교육 40
1. 고구려 40
2. 백제 41
3. 신라 42

제3절 고려시대의 교육 43
1. 관학 44
2. 사학 45
3. 교육사상가 46

제4절 조선시대의 교육 47
1. 관학 47
2. 사학 48
3. 실학의 교육사상 49
4. 교육사상가 50

제5절 근대의 교육 51
1. 개화기의 교육 51
2. 일제강점기의 교육 52
3. 해방 이후의 교육 54

제3장 교육철학

제1절 철학과 교육철학 56
1. 철학 56
2. 교육철학 59

제2절 삶의 목적과 교육의 목적 61
1. 삶의 목적 61
2. 교육의 목적 64

제3절 대전환기의 교육철학 66
1. 기후 위기와 교육 66
2. 인공지능과 교육 67
3. 인구문제와 교육 69

제4장 교육사회학

제1절 교육사회학의 의미와 성격 72

제2절 교육사회학 이론 73
1. 기능이론 74
2. 갈등이론 75
3. 해석론 76

제3절 교육사회학의 쟁점 77
1. 교육과 평등 77
2. 국가와 교육 78

제4절 교육사회학의 탐구 주제 79
1. 교육제도 79
2. 교육과정 80
3. 교육평가와 시험 81
4. 교육격차 82
5. 학교문화 83

제5장 교육심리학

제1절 인간 발달과 교육 86
1.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87
2. 비고츠키의 인지발달이론 89
3. 프로이트의 성격 발달이론 90
4.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 91
5.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93

제2절 학습이론 94
1. 파블로프의 고전적 조건화 이론 94
2. 손다이크의 도구적 조건화 이론 96
3.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화 이론 97
4. 반두라의 관찰학습이론 98
5. 인지주의 학습이론 99

제3절 지능 및 창의성 관련 이론 100
1. 전통 지능이론 101
2. 최신 지능이론 101
3. 창의성의 개념과 구성 요소 102
4. 창의적 사고기법 103

제4절 동기이론 104

제6장 교육상담

제1절 상담의 개념 108

제2절 상담의 특징과 원리 109

제3절 주요 상담기법 110

제4절 주요 상담이론 111
1. 정신분석 상담 111
2. 행동주의 상담 114
3. 인본주의적 상담 117
4. 합리적 정서행동 치료 119
5. 현실치료 상담 122

제7장 교육과정

제1절 교육과정의 이해 126
1. 교육과정의 개념 126
2. 교육과정 구성요소 127
3. 교육과정 의미에 따른 분류 127

제2절 교육과정의 유형 128
1. 교과중심 교육과정 129
2. 경험중심 교육과정 130
3. 학문중심 교육과정 131
4. 인간중심 교육과정 132

제3절 교육과정 개발 모형 134
1. 타일러(Tyler)의 합리적 목표 모형 134
2. 니콜스와 니콜스(Nichoils & Nichoils)의 순환적 개발모형 135
3. 월커(Walker)의 숙의 모형 137

제4절 교육내용 선정과 조직 138
1. 교육내용의 선정 138
2. 교육내용 조직원리 139

제5절 우리나라 교육과정 변천 140
1. 광복이후부터 교수요목기(1945~1954) 140
2. 제1차 교육과정(1954~1963) 141
3. 제2차 교육과정(1963~1973) 141
4. 제3차 교육과정(1973~1981) 142
5. 제4차 교육과정(1981~1987) 142
6. 제5차 교육과정(1987~1992) 143
7. 제6차 교육과정(1992~1997) 143
8. 제7차 교육과정(1997~2007) 144
9. 2007년 개정 교육과정(2007~2010) 144
10. 2009년 개정 교육과정(2011~2014) 145
11. 2015년 개정 교육과정(2015~) 145

제8장 교육방법

제1절 교육방법의 개념 148

제2절 교수-학습 방법 148
1. 설명식 수업 149
2. 완전학습 150
3. 협동학습 151
4. 토론학습 153
5. 문제 중심 학습 154
6. ICT 활용수업 156
7.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157
8. 거꾸로 학습(Flipped Learning) 158
9. MOOC 활용 학습 159

제3절 교수매체 선정 161
1. 수업매체 선정 방법 161
2. 수업매체의 활용 162

제9장 교육공학

제1절 교육공학의 개념과 영역 166
1. 교육공학의 개념 166
2. 교육공학의 영역 168

제2절 교수설계 모형 169
1. 교수설계 개념 169
2. ADDIE 모형 170
3. 딕과 캐리의 체계적 교수설계모형 171
4. 켈러의 ARCS 동기 설계모형 173

제3절 교육공학의 미래 174
1. 미래사회 학습자 핵심역량 174
2. 2022개정교육과정 176
3. 미래사회 교육공학 방향 177

제10장 교육평가

제1절 교육평가의 개념 180
1. 교육평가의 의미 180
2. 교육평가의 관점 181
3. 교육평가의 목적 182
4. 교육평가의 기능 182
5. 교육평가 관련 용어 183

제2절 교육평가의 유형 184
1. 교수-학습 과정에 따른 분류 184
2. 판단기준에 따른 분류 186

제3절 교육평가의 도구 188
1. 평가도구의 개발 188
2. 이원분류표 188
3. 문항 제작 189
4. 평가도구의 양호도 191

제4절 수행평가 195
1. 수행평가의 특징 196
2. 수행평가의 단점 196

제11장 교육행정

제1절 교육행정학의 이해 200
1. 교육행정의 개념 200
2. 교육행정학의 원리 및 특성 200

제2절 교육행정이론의 발달 210
1. 고전이론(1910~1930년대) 202
2. 인간관계론(1930~1950년대) 203
3. 행동과학론(1950년대~현재) 204
4. 다원론(1980년대~현재) 205

제3절 교육조직 및 학교조직 210
1. 조직의 개념 210
2. 우리나라 교육조직 210
3. 교육제도 212

제4절 우리나라 교육재정 215
1. 교육재정의 의미 215
2. 지방교육재정의 구조와 현황 215

제5절 장학 219
1. 장학의 개념 219
2. 장학의 유형과 형태 219

제12장 평생교육

제1절 평생교육의 개념과 특성 224
1. 평생교육의 개념과 특성 224
2. 평생교육의 등장 225
3. 평생교육의 필요성 226
4. 성인학습의 개념과 특성 228

제2절 평생교육 국제 동향 229
1. 유네스코와 OECD 229
2. 주요 선진국의 평생교육 230

제3절 인적자원개발(HRD)과 평생교육 프로그램 232
1. 인적자원개발 232
2.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233

제4절 평생학습 235
1. 평생교육에서 평생학습으로 패러다임 전환 235
2. 인공지능 시대의 평생학습 236
3. 우리나라 평생교육의 과제와 전망 237

참고문헌 239

저자소개 247

저자소개

손승남 (지은이)    정보 더보기
순천대학교 교직과 교수snson@scnu.ac.kr 독일 Westf?lisch-Wilhelms Universit?t zu M?nster Ph.D.(교육철학) 한독교육학회장 역임. (현)잘삶교육연구소 소장 주요 저서 및 논문 삶의 힘을 키워주는 잘삶 수업(공저, 2020) 교육철학 및 교육사(공저, 2019) 교육학개론(공저, 2018)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진로선택(공저, 2018) 교원의 잘삶을 위한 전인통합치유(2017) ... 고등교육에서의 역량기반 교육과 핵심역량(공동, 2021) AI 시대 교양기초교육의 교수학적 재음미(2020) 엔그램 뷰어를 활용한 교양교육 개념 분석(2020) 유럽 리버럴아츠 대학의 최근 동향(2019) 혜강 최한기의 『인정(人政)』에 관한 교육해석학적 고찰(2018) 그 외 다수 논문
펼치기
이정금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김신곤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426971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