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자도서] 동양고전에서 교육을 묻다](/img_thumb2/9791169832892.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 일반
· ISBN : 9791169832892
· 쪽수 : 396쪽
· 출판일 : 2023-04-30
책 소개
목차
제1부 동양고전의 교육사상
≪논어≫
1. 개요
1) 공자의 생애
2) 공자사상의 기본성격
3) 논어의 체재
4) 논어의 주요 내용
2. 원전해석
≪맹자≫
1. 개요
1) 맹자의 생애
2) 배경
3) 맹자의 사상
4) 맹자의 저서 탐독
5) 맹자의 원본과 내용
2. 원전해석
≪중용≫
1. 개요
1) 중용의 저자와 저작 연대에 대한 논란
2) 자사의 중용 저작 의도
3) 선유(先儒)들이 논(論)하는 ??중용??의 특징
4) 중용장구서에서 보이는 도통계보
5) 중용의 체계
6) 중용의 중요 내용
2. 원전해석
≪대학≫
1. 개요 / 180
1) 소학 ‘몸 만들기 프로젝트
2) 대학 ‘힘 만들기 프로젝트
2. 원전해석
≪학기≫
1. 개요 / 237
≪도덕경≫
1. 개요
1) 노자(老子) 이야기
2) 도덕경(道德經)의 유래
3) 도(道)의 의미
4) 도(道)의 작용
2. 원전해석
제2부 동양사상의 교육적 탐구
논어의 교육학적 이해
1. 서론
2. 공자의 교육방법
3. 결론
참고문헌
맹자의 교육사상
1. 서론
2. 배경
3. 교육사상
4. 결론
참고문헌
중용의 교육사상 탐구
1. 서론
2. 중용의 의미와 특징
3. 공자사상과 유학사상의 중용적 구조와 특성
4. 중용의 교육관
5. 결론
참고문헌
대학:진정한 지식으로 안내하는 주자의 격물치지(格物致知)
1. 서론
2. 격물치지를 보완한 주자의 의도
3. 격물치지의 내용
4. ‘격물치지’가 ‘우리나라 교육’에게 묻다
참고문헌
학기를 통해 교육을 묻다
1. 서론
2. 교학상장(敎學相長)의 의미
3. 교육이론으로서의 학기
4. 결론
참고문헌
도덕경에 나타난 생명교육
1. 서론
2. 도덕경과 생명교육
3.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