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경제학
· ISBN : 9788944501562
· 쪽수 : 598쪽
· 출판일 : 2009-08-20
목차
1편 경제학과 경제사상
제1장 경제학이란 무엇인가-
1.1 경제학의 기초 개념 20
1.1.1 경제학의 정의 20
(1) 경제주체 20
(2) 자원 20
(3) 재화 21
Q & A 21
1.1.2 경제학의 3대 과제 22
(1) 무엇을 생산할까- 22
(2) 어떤 생산방법으로 생산할까- 23
(3) 어떻게 분배할까- 23
1.1.3 경제학이 추구할 3대 가치 23
(1) 효율 23
(2) 공평 26
(3) 자유 26
Q & A 28
1.2 시장과 정부 29
1.2.1 시장경제의 효율성 29
1.2.2 명령경제 30
1.2.3 정부의 역할 30
1.3 경제학의 분류 31
1.3.1 미시경제학과 거시경제학 31
1.3.2 실증경제학과 규범경제학 31
1.3.3 경제학은 규칙성을 띤 학문인가- 32
복습과 연습 35
제2장 경제사상의 흐름
2.1 고전학파 이전 40
2.1.1 중세의 경제관 40
2.1.2 중상주의 40
읽을 거리-Tulipmania 42
2.1.3 중농주의 43
2.2 고전학파 43
2.2.1 아담 스미스(Adam Smith, 1723~90) 44
(1) 스미스의 국부론 44
(2) 스미스가 본 인간본성 44
(3) 스미스의 자동발전과정 45
2.2.2 맬서스 45
2.2.3 리카도 46
(1) 리카도의 지적(知的)비관론 46
(2) 차액지대설 47
(3) 지주의 승리와 자본주의 정체론 48
2.2.4 밀 48
2.3 산업사회의 대안(代案)들 50
2.3.1 공상적 사회주의 50
2.3.2 마르크스 50
(1) 마르크스의 자본주의 붕괴론 51
Q & A 53
(2) 자본주의 붕괴론에 대한 평가 54
2.3.3 역사학파 55
2.4 근대경제학의 성립과 발전 55
2.4.1 한계혁명 55
2.4.2 신고전학파 56
2.4.3 신고전학파 비판: 제도학파 57
2.4.4 20세기 경제 사상 57
(1) 케인스, 케인스학파, 새케인스학파 57
(2) 비개입주의: 자유주의 58
Q & A 59
복습과 연습 60
2편 시장의 수요와 공급
제3장 수요와 공급, 균형
3.1 수요 66
3.1.1 수요의 정의 66
3.1.2 수요의 결정요인 66
- 쉬어가는 코너 67
Q & A 68
3.1.3 수요곡선 69
(1) 개별 수요곡선 69
(2) 시장 수요곡선 71
3.2 공급 72
3.2.1 공급의 정의 72
3.2.2 공급의 결정요인 73
3.2.3 공급곡선 74
(1) 개별 공급곡선 74
(2) 시장 공급곡선 75
3.3 균형 76
3.3.1 균형의 정의 76
Q & A 77
3.3.2 균형의 이탈과 복귀 78
읽을 거리-상품값 할인제, 전기료 누진제 왜 하죠- 80
3.3.3 균형과 안정 81
Q & A 83
복습과 연습 84
제4장 탄력성과 그 응용
4.1 수요의 가격탄력성 88
4.1.1 수요의 가격탄력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 88
4.1.2 수요의 가격탄력성 계산 89
(1) 호탄력성 89
(2) 점탄력성 90
4.1.3 수요곡선의 기울기와 탄력성 91
4.1.4 수요의 가격탄력성과 총수입 93
Q & A 94
4.1.5 직선인 수요곡선의 점탄력성 95
4.2 수요의 소득탄력성과 교차탄력성 96
4.2.1 수요의 소득탄력성 96
4.2.2 수요의 교차탄력성 97
4.3 공급의 가격탄력성 98
4.3.1 공급의 가격탄력성과 결정요인 98
4.3.2 공급의 가격탄력성 계산 99
4.3.3 공급곡선과 탄력성 99
4.3.4 직선인 공급곡선의 탄력성 101
4.4 탄력성의 응용 103
4.4.1 농산물 생산의 경우 103
Q & A 104
4.4.2 조세부담의 귀착 105
Q & A 105
(1) 물품세 귀착 I: 탄력적 수요와 비탄력적 공급 106
(2) 물품세 귀착 II: 비탄력적 수요와 탄력적 공급 107
복습과 연습 108
3편 소비자 선택이론
제5장 한계효용이론과 소비자 선택
5.1 효 용 114
5.1.1 효용의 정의 114
5.1.2 기수적 효용과 서수적 효용 114
5.2 한계효용 115
5.2.1 한계효용의 정의 115
5.2.2 한계효용 체감의 법칙 116
5.2.3 한계효용과 총효용 116
5.3 한계효용이론과 소비자 균형 117
5.3.1. 예산제약 118
5.3.2 한계효용균등의 법칙 118
Q & A 119
Q & A 122
5.3.3 한계효용균등의 법칙 비판 122
5.4 한계효용이론의 응용 123
5.4.1 수요곡선의 도출 123
Q & A 124
5.4.2 가치의 역설 124
5.4.3 성 페테스브르그의 역설 125
5.4.4 음료수자판기와 신문자판기 126
5.4.5 기대효용이론과 보험 127
복습과 연습 129
제6장 무차별곡선이론과 소비자 선택
6.1 무차별곡선이론 132
6.1.1 무차별곡선의 정의 132
6.1.2 무차별곡선의 성질 133
6.1.3 특수한 무차별곡선 136
6.2 예산선 137
6.2.1 예산선의 도출 137
6.2.2 예산선의 이동 139
6.3 소비자 균형 141
6.3.1 소비자 균형조건 141
6.3.2 한계효용이론과 무차별곡선이론 간의 관계 142
6.3.3 모서리 해 143
6.4 무차별곡선이론의 응용 144
6.4.1 대체효과 144
6.4.2 소득효과 145
6.4.3 가격효과와 소득, 대체효과의 관계 146
6.4.4 두 가지 사례연구 148
(1) 임금과 노동공급: 후방굴절 노동공급곡선 148
(2) 금리와 저축 간의 관계 149
6.5 신고전학파 소비자 균형이론의 한계 150
복습과 연습 152
4편 시장경제의 효율성
제7장 교환경제의 이득
7.1 자급자족 경제 158
7.2 교역의 이득 160
7.2.1 절대우위 160
7.2.2 비교우위 161
7.2.3 기회비용으로 나타낸 비교우위 161
7.2.4 교역의 이득 162
7.3 교환비율의 범위 164
Q & A 164
7.4 자유무역과 보호주의 165
7.4.1 자유무역의 효율성 165
7.4.2 보호주의의 논리 166
- 쉬어가는 코너-카르타고와 리비아의 교역 167
7.4.3. 최근 국제무역의 양상 167
복습과 연습 169
제8장 시장의 효율성과 응용
8.1 소비자 잉여 174
8.2 생산자잉여 177
8.3 시장의 효율성 180
8.4 정부의 시장개입과 후생감소 183
8.4.1 가격상한제의 경우 183
8.4.2 최저임금제의 경우 184
Q & A 185, 186
8.4.3 조세와 보조금지급의 경우 186
(1) 조세부과의 경제적 효과 186
Q & A 188
(2) 보조금 지급의 문제 188
8.4.4 국제무역에의 응용 190
국제무역과 관세부과의 효과 190
복습과 연습 192
5편 시장실패와 정부개입
제9장 외부효과
9.1 외부효과의 정의 198
9.2 외부효과와 사회적 후생 199
9.2.1 생산의 외부효과 199
(1) 생산의 외부불경제 199
(2) 생산의 외부경제 201
9.2.2 소비의 외부효과 203
(1) 소비의 외부불경제 203
(2) 소비의 외부경제 204
9.3 외부효과의 내부화 205
9.3.1 사적대응 206
(1) 정서적 대응 206
(2) 사업영역의 다각화 206
(3) 이해당사자 간의 협상 206
9.3.2 정부개입 208
(1) 직접규제 208
(2) 간접규제 I: 피구세 208
(3) 간접규제 II: 오염배출권 판매 209
읽을 거리-세계온실가스 거래시장 급성장…이산화탄소 배출권 값 폭등 211
복습과 연습 212
제10장 공공재,공용(유)자원,비대칭적 정보
10.1 공공재 216
10.1.1 공공재란 무엇인가- 216
(1) 공공재의 두 가지 성질 216
(2) 정부가 공급한다고 모두 공공재는 아니다. 217
10.1.2 공공재의 가격 217
(1) 무임승차문제 217
(2) 후생경제학적 관점 218
10.1.3 적정 공공재 공급량과 비효율 219
10.2 공용(유)자원 220
10.2.1 공용(유)자원의 정의 220
10.2.2 공용자원의 문제점 220
10.2.3 공용자원 문제의 해결방안 221
(1) 재산권 설정 222
- 쉬어가는 코너-동물원 역사 222
(2) 사용료 부과 223
(3) 법적 규제 223
- 알아두세요 223
10.3 비대칭적 정보 224
10.3.1 정보란 무엇인가- 224
10.3.2 비대칭적 정보와 역선택 225
(1) 역선택의 정의와 사례 225
(2) 역선택에 대한 대책 226
Q & A 228
10.3.3 비대칭적 정보와 도덕적해이 228
(1) 주인-대리인 문제 228
(2) 도덕적 해이 229
(3) 도덕적 해이 사례 229
Q & A 230
(4) 도덕적 해이에 대한 해결책 231
Q & A 232
10.3.4 비대칭적 정보와 효율임금 233
(1) 효율임금의 정의 233
(2) 효율임금과 이윤극대화 233
(3) 효율임금과 실업이론 235
Q & A 235
복습과 연습 236
6편 기업행동과 산업조직
제11장 기업의 생산과 비용
11.1 기업과 산업 244
11.1.1 산업의 분류 244
11.1.2 산업과 기업 244
11.2 생산 245
11.2.1 생산이란- 245
(1) 생산의 정의 245
(2) 기업의 생산동기 245
11.2.2 생산함수 245
(1) 생산함수란- 245
(2) 단기와 장기 246
11.2.3 한계생산량과 평균생산량 247
(1) 노동의 한계생산량과 평균생산량 247
(2) 기술진보 249
11.3 비용이론 249
11.3.1 비용이란- 249
회계적비용과 경제적비용 249
11.3.2 단기비용과 단기비용곡선 251
(1) 총비용과 총비용곡선 251
(2) 단기 평균비용과 한계비용 253
(3) 고정비용은 매몰비용인가- 255
11.3.3 장기비용과 장기비용곡선 255
11.3.4 기술진보와 비용곡선 257
11.4 시장형태와 이윤극대화 원리 간의 관계 258
복습과 연습 259
제12장 완전경쟁시장과 독점적경쟁시장
12.1 완전경쟁시장의 기본원리 264
12.1.1 완전경쟁시장의 정의 264
12.1.2 완전경쟁시장의 가격결정 264
12.1.3 완전경쟁기업의 수입과 한계수입 265
12.2 완전경쟁기업의 단기균형 266
12.2.1 단기 초과이윤과 단기균형 266
12.2.2 단기 손실최소화 268
12.2.3 완전경쟁기업의 수요, 공급곡선 270
(1) 완전경쟁기업이 직면하는 수요곡선 270
(2) 완전경쟁기업의 단기공급곡선 271
Q & A 272
12.3 완전경쟁시장의 장기균형 272
(1) 장기균형 272
(2) 장기와 장기균형의 차이점 273
12.4 독점적 경쟁시장 274
12.4.1 독점적 경쟁이란- 274
12.4.2 독점적 경쟁기업의 수요곡선과 한계수입 275
(1) 독점적 경쟁기업의 수요곡선 275
(2) 독점적 경쟁기업의 한계수입곡선 275
12.4.3 독점적 경쟁기업의 장- 단기균형 276
(1) 단기균형 276
(2) 장기균형 277
12.4.4 독점적 경쟁시장의 특징 278
읽을 거리-주유소는 왜 화려하나- 279
복습과 연습 280
제13장 독 점
13.1 독점이란- 286
13.1.1 독점의 정의 286
13.1.2 독점의 생성원인 286
(1) 생산요소의 지배 286
(2) 특허권이나 정부의 허가권 287
(3) 자연독점 287
13.1.3 독점의 수요곡선과 한계수입곡선 288
(1) 수요곡선 288
Q & A 288
(2) 한계수입곡선 289
Q & A 289
13.2 독점의 균형 290
13.2.1 단기균형 290
Q & A 291
13.2.2 장기균형 291
13.3 독점의 비효율성 292
13.3.1 사회적 후생의 감소 292
13.3.2 독점과 렌트추구 293
(1) 렌트의 정의 293
(2) 렌트추구와 자원배분의 왜곡 294
13.4 독점규제정책 295
(1) 국유화 295
(2) 가격규제 296
(3) 경쟁유도 297
13.5 가격차별 297
13.5.1 가격차별이란- 297
(1) 가격차별의 정의 297
(2) 가격차별의 조건 298
13.5.2 차별가격 설정원리 298
13.5.3 가격차별의 예 299
(1) 국제무역의 경우 299
(2) 시골의사의 경우 300
(3) 항공권, 극장표, 할인권 300
13.5.4 가격차별의 경제적 효과 301
(1) 소득 재분배 기능 301
(2) 사회후생적 측면 301
Q & A 302
복습과 연습 303
제 14장 과 점
14.1 과점의 정의 및 특징 308
14.2 과점의 형태 308
14.2.1 협조적 과점 308
14.2.2 비협조적 과점 309
(1) 굴절수요곡선과 과점가격의 경직성 310
(2) 쿠르노모형 312
(3) 베르뜨랑모형 314
14.3 게임이론 315
14.3.1 게임의 정의와 분류 315
Q & A 316
14.3.2 게임의 균형 316
(1) 우월전략균형 316
(2) 내쉬균형 318
Q & A 320
14.3.3 협조적 과점의 가능성 321
읽을 거리-분식회계와 기업윤리 321
복습과 연습 323
7편 거시경제론 입문
제15장 거시경제 개관
15.1 거시경제학이란- 332
15.1.1 거시경제학의 연구대상 332
15.1.2 거시경제학의 발전 332
(1) 거시경제학의 출현 332
(2) 고전학파의 거시경제체계 333
(3) 케인스의 거시경제체계 334
15.2 총수요, 총공급과 거시경제균형 335
15.2.1 총수요와 총공급 335
15.2.2 경기침체와 물가상승 336
15.2.3 공급능력의 향상 337
15.3 경제성장과 경기순환 338
15.3.1 경제성장 338
(1) 경제성장의 정의 338
(2) 경제성장의 원동력 338
15.3.2 경기순환 340
(1) 경기순환의 국면 340
(2) 경기순환의 유형 340
- 쉬어가는 코너-알파벳 모양으로 보는 경기 회복 국면 342
15.4 거시경제와 정부 342
15.4.1 거시경제의 기본문제 342
15.4.2 거시경제와 정부의 역할 343
- 쉬어가는 코너-기업과 소비자가 체감하는 경기지표 344
복습과 연습 345
제16장 국민소득의 측정과 소득분배
16.1 국민경제의 생산과 소득 350
16.1.1 국민경제의 생산과 측정 350
(1) 총산출량 350
(2) 생산된 재화의 처분과 자본축적 350
(3) 국내총생산 352
16.1.2 경제성장률 352
16.1.3 주요 국민소득지표 353
(1) 국민총소득(GNI) 353
(2) 국민소득 3면등가의 법칙 354
(3) 여러 가지 소득지표 355
- 쉬어가는 코너-우리나라 1인당 국민소득 세계 39위 357
16.2 국민소득 개념의 한계 358
- 쉬어가는 코너-‘돈으로 사람을 살 수는 없지만 행복은 살 수 있다.’ 359
16.3 소득분배 360
16.3.1 소득분배의 철학적 기초 360
(1) 극단적 자유주의 360
(2) 공리주의 361
16.3.2 소득불평등의 원인 362
- 쉬어가는 코너-최저생계비와 최저임금액 363
16.3.3 소득불평등의 측정 363
(1) 소득 10분위별 분포 363
(2) 로렌츠곡선과 지니계수 364
16.3.4 우리나라의 소득분배 366
(1) 선성장 후분배 366
(2) 실제 분배상태와 체감 분배상태 간의 괴리 368
(3) 소득분배정책 368
- 쉬어가는 코너-상속, 증여세 완전포괄주의가 뭐예요- 369
복습과 연습 370
제17장 실업과 인플레이션
17.1 실업 376
17.1.1 실업의 정의 376
17.1.2 실업의 종류 378
17.1.3 실업과 경기침체 379
(1) 실질임금 경직성 380
(2) 가격 경직성 381
(3) 조정실패와 경기침체 383
17.1.4 자연실업률 384
(1) 실업의 비용 384
(2) 자연실업률의 정의 384
(3) 국가별 자연실업률수준 385
(4) 최근 자연실업률은 왜 높아지는가- 386
Q & A 386
17.2 인플레이션 387
17.2.1 물가지수 387
(1) 물가지수의 정의와 종류 387
(2) 물가지수 측정의 의의 387
17.2.2 우리나라 물가지수의 측정 388
(1) 소비자물가지수 388
(2) 생산자물가지수 388
(3) GDP디플레이터 389
17.2.3 인플레이션이란- 390
(1) 인플레이션의 정의 390
(2) 인플레이션의 원인 390
(3) 인플레이션의 폐해 391
- 쉬어가는 코너-초인플레이션 이야기 392
17.3 잠재 GDP와 GDP 갭 393
- 쉬어가는 코너-라스파이레스방식과 파셰방식의 물가지수 측정 예 394
복습과 연습 395
8편 거시경제 환경
제18장 재 정
18.1 재정의 기능과 의의 402
18.1.1 정부의 경제활동에 대한 인식변화 402
18.1.2 재정의 기능 403
(1) 자원배분 기능 403
(2) 소득분배 기능 403
(3) 경제안정화 기능 404
18.1.3 재정의 특성 404
18.2 조세 405
18.2.1 조세의 개념과 분류 405
(1) 조세의 정의 405
(2) 직접세와 간접세 405
(3) 소득세와 소비세 406
(4) 평균세율과 한계세율 406
Q & A 408
18.2.2 조세의 원칙 408
(1) 공평원칙 408
(2) 효율원칙 409
(3) 징수편의원칙 409
18.2.3 우리나라의 조세구조 409
(1) 우리나라의 조세체계 409
(2) 조세부담률 410
(3) 직접세와 간접세 비중 411
18.3 정부지출과 정부채무 411
18.3.1 세입과 세출 411
18.3.2 재정적자와 재원조달 413
(1) 재정적자와 흑자 413
(2) 적자재정의 재원조달 413
- 쉬어가는 코너-채권의 종류 413
(3) 재정의 자동 경기안정기능 414
18.3.3 정부채무 414
- 쉬어가는 코너-유가증권 415
읽을 거리-국가신용등급과 국가위험도 416
복습과 연습 418
제19장 화폐와 금융
19.1 화폐금융 개관 422
19.1.1 화폐와 화폐경제 422
(1) 화폐의 정의 422
(2) 화폐경제의 효율성 422
(3) 화폐의 기능 423
- 쉬어가는 코너-세계에서 화폐액면이 가장 큰 화폐 423
19.1.2 화폐의 역사 423
Q & A 425
19.1.3 은행과 금융 425
(1) 은행의 기원 425
(2) 금융이란- 426
(3) 우리나라의 금융기관 426
19.2 은행의 예금통화 창출 428
19.2.1 지급준비제도 428
(1) 지급준비율 428
(2) 초과지급준비액 429
(3) 민간의 현금보유 430
19.2.2 은행의 대차대조표 430
19.2.3 예금통화 창출과 통화승수 431
(1) 예금통화 창출과정 431
(2) 통화승수 433
19.3 화폐공급 434
19.3.1 한국은행의 화폐공급 434
- 쉬어가는 코너-‘화폐단위 너무 커’ 디노미네이션 해야 하나- 435
19.3.2 예금통화 창출과 통화 및 유동성 지표 436
(1) 통화 및 유동성 지표란- 436
(2) 통화 및 유동성 지표 간의 관계 436
19.3.3 통화량 조절정책 437
(1) 간접규제 438
Q & A 439
읽을 거리-어음은 왜 생겼을까- 440
(2) 직접규제 441
19.3.4 화폐공급곡선 441
- 쉬어가는 코너-2006년 중 우리나라의 화폐수급 동향 및 특징 442
19.4 화폐수요 443
19.4.1 왜 화폐를 수요하는가- 443
19.4.2 화폐수요곡선과 유동성함정 443
19.5 금리이론 444
19.5.1 금리란 무엇인가- 444
(1) 금리의 정의와 종류 444
(2) 명목금리와 인플레이션 간의 관계 445
(3) 채권수익률은 전형적인 시장금리 445
(4) 채권가격과 채권수익률은 역관계 446
19.5.2 금리결정이론 446
(1) 유동성 선호설 446
(2) 정부지출과 금리 간의 관계 448
19.5.3 우리나라의 금리와 통화량 간의 관계 448
복습과 연습 449
9편 거시경제의 균형과 정책효과
제20장 총수요와 구성요소
20.1 소비 456
20.1.1 소비의 개념정리 456
(1) 소비와 소비지출 456
(2) 국내소비와 해외소비 456
(3) 민간소비와 정부소비 456
(4) 내구재 소비와 비내구재 소비 457
20.1.2 소비이론 457
(1) 케인스의 절대소득가설 457
(2) 생애주기가설 458
(3) 항상소득가설 459
(4) 소비이론에 대한 평가 460
Q & A 461
20.1.3 기타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461
(1) 금리 461
(2) 물가 462
(3) 재산 462
(4) 미래 소득 463
20.1.4 소비지출곡선 463
20.2 투자 464
20.2.1 투자란 무엇인가- 464
(1) 투자의 정의 464
(2) 투자의 구분 464
(3) 투자와 자본량 465
20.2.2 투자의 결정요인 466
(1) 투자와 불확실성 466
(2) 개별기업의 투자결정: 투자의 한계효율 467
20.2.3 투자곡선 도출과 이동 469
20.2.4 소득증가와 투자: 가속도원리 470
20.3 정부지출 471
20.4 순수출 471
20.4.1 순수출의 결정요인 472
(1) 국민소득과 수입 472
(2) 상대가격과 순수출 472
20.4.2 평가절하와 무역수지 473
(1) 마셜-러너조건 473
(2) 장단기 탄력성 변화와 J곡선 474
복습과 연습 476
제21장 단순한 소득결정모형과 승수
21.1 폐쇄경제의 소득과 승수 482
21.1.1 폐쇄경제의 소득결정 482
21.1.2 폐쇄경제의 승수 484
21.1.3 균형예산승수 487
21.2 개방경제의 소득과 승수 488
21.2.1 개방경제의 소득결정 488
21.2.2 개방경제의 승수 490
21.3 디플레이션 갭과 인플레이션 갭 491
21.3.1 완전고용 국민소득 491
21.3.2 디플레이션 갭과 인플레이션 갭 재론 492
- 쉬어가는 코너-우리나라와 미국의 주가지수 소개 493
복습과 연습 494
제22장 총수요- 총공급모형과 정책효과
22.1 총수요, 총공급 모형 498
22.1.1 총수요곡선 498
(1) 총수요곡선의 기울기 498
(2) 총수요곡선의 이동 499
Q & A 501
22.1.2 총공급곡선 501
(1) 총공급곡선의 기울기 501
(2) 총공급곡선의 이동 502
22.2 거시경제의 균형과 정부의 역할 504
22.2.1 3가지 형태의 단기균형 504
22.2.2 개입주의와 비개입주의 505
22.3 통화금융정책 506
22.3.1 통화정책 506
(1) 통화량 조절방식 506
(2) 통화정책의 전달경로 506
(3) 통화정책의 단기효과 507
22.3.2 금리정책 509
(1) 한국은행 기준금리 509
(2) 금리정책의 효과 510
22.3.3 최근 통화금융정책의 변화 510
(1) 통화정책 vs 금리정책 510
(2) 통화량과 거시경제지표 간의 관계 변화 511
(3) 금리정책을 보완하는 통화량조절 511
22.4 재정정책 512
22.4.1 정부지출정책 512
(1) 정부지출정책의 소득효과 513
(2) 구축효과 514
(3) 리카도의 등치성정리 515
Q & A 516
22.4.2 감세정책 516
(1) 감세정책의 효과 516
(2) 래퍼곡선 517
Q & A 518
- 쉬어가는 코너-오바마 경기대책 519
22.5 장기균형 519
복습과 연습 521
제23장 거시경제학파 간 논쟁
23.1 고전학파체계: 완전고용경제 526
23.1.1 가정 526
23.1.2 고전학파의 거시균형 526
(1) 노동시장: 완전고용 526
(2) 총공급, 총수요곡선 528
(3) 고전학파의 거시균형과 수요정책 무용론 529
23.1.3 화폐수량설 529
Q & A 530
23.2 케인스학파 531
23.2.1 케인스학파의 정책효과 531
23.2.2 통화금융정책 vs 재정정책 532
23.2.3 케인스학파의 총수요관리정책의 한계 533
23.3 통화주의 534
23.3.1 통화주의의 기본명제 534
23.3.2 통화정책의 장단기 효과 535
(1) 필립스곡선과 자연실업률 가설 535
(2) 통화정책의 단기효과 535
(3) 통화정책의 장기조정 536
(4) 반인플레이션 정책과 희생비율 537
23.3.3 준칙에 따른 통화정책 537
(1) 재량 vs 준칙 537
(2) 왜 준칙주의인가- 538
23.3.4 통화주의의 현재 위상 539
23.4 새고전학파 539
23.4.1 합리적 기대 539
23.4.2 새고전학파의 정책무용론 540
(1) 새고전학파의 등장 540
(2) 체계적 정책 540
(3) 체계적인 총수요정책의 무용론 541
23.4.3 새고전학파의 현실적응력 취약 542
23.5 새케인스학파 543
23.5.1. 임금과 가격경직성의 미시적 기초 543
23.5.2. 총수요외부성과 정부개입 544
23.6 신자유주의 사상의 실험과 좌절 544
23.7 결 론 545
복습과 연습 546
□주요 용어해설 549
□연습문제 해답 565
□한글색인 585
□영문색인 5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