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치학 일반
· ISBN : 9788932474762
· 쪽수 : 632쪽
· 출판일 : 2022-08-30
책 소개
목차
서문
『세계정치론』에 대한 찬사들
감사의 말
새로운 개정판에서 달라진 점
서론 국제 정치에서 세계 정치로
국제 정치에서 세계 정치로 | 국제관계학 연구 | 세계 정치에 관한 이론들 | 이론과 지구화 | 지구화: 신화인가, 현실인가?
제1장 지구화와 지구 정치
머리말 | 지구화의 이해 | 지구화와 자유주의 세계 질서의 위기 | 지구화와 세계 정치의 변천 | 맺음말
제1부 국제 관계의 기초
제2장 근대 국제 질서의 등장
머리말 | 국제 질서의 역사 | 근대적인 국제 질서는 어떻게 출현했는가? | 지구적 변천의 결과 | 맺음말
제3장 20세기 국제 관계의 역사
머리말 | 현대 총력전 | 제국의 종말 | 냉전 | 맺음말
제4장 냉전의 종식에서 새로운 무질서 세계로?
머리말 | 미국: 단극의 순간 관리 | 소련의 붕괴 이후: 옐친에서 푸틴으로 | 유럽: 부상과 쇠퇴? | 새로운 아시아 세기? | 새로운 지구 남반구 | 9·11에서 아랍의 봄으로 | 오바마에서 트럼프로 | 맺음말
제5장 부상하는 국가들과 신흥 지구 질서
머리말 | 탈냉전 질서 | 도전에 직면한 미국 중심의 질서 | 부상하는 국가들의 권력에 대한 세 가지 질문 | 국제 관계에서 부상하는 국가들의 영향력에 대한 논쟁 | 브릭스를 넘어 | 맺음말: 부상하는 국가들과 세계 정치의 지구화
제6장 현실주의
머리말 | 맥락으로 본 현실주의 | 하나 또는 여러 현실주의? | 현실주의의 핵심 | 맺음말
제7장 자유주의적 국제주의
머리말 및 맥락 | 19세기 자유주의적 국제주의의 기초 사상 | 국제주의와 제도주의: 법을 통한 평화 | 자유주의적 국제주의가 직면한 도전 | 맺음말: 불완전하지만 필수 불가결한 국제주의
제8장 마르크스주의 국제관계이론
머리말 | 마르크스주의 세계정치론의 핵심 요소들 | 국제화된 마르크스: 제국주의부터 세계체제론까지 | 그람시주의 | 비판 이론 | 신마르크스주의 | 맺음말
제9장 사회구성주의
머리말 | 구성주의의 부상 | 구성주의 | 구성주의와 지구적 변화 | 맺음말
제10장 후기식민주의와 탈식민주의 접근
머리말 | 후기식민주의와 탈식민주의 접근이란 무엇인가? | 후기식민주의와 탈식민주의 개념들은 어디에서 왔나? | 후기식민주의와 탈식민주의 사상을 밑받침하는 주된 개념은 무엇인가? | 세계 정치 연구를 위한 후기식민주의와 탈식민주의 접근 | 탈식민화: 투쟁은 계속되는가? | 맺음말
제11장 페미니즘
머리말 | 페미니즘이란 무엇인가? | 페미니스트 국제관계이론은 무엇인가? | 젠더와 권력 | 네 가지 페미니스트 국제관계이론 | 맺음말
제2부지구 구조와 과정
제12장 전쟁과 세계 정치
머리말 | 전쟁에 대한 정의 | 전쟁: 국제적 측면과 지구적 측면 | 클라우제비츠의 전쟁 철학 | 서양의 전쟁·국가·사회 | 지구 남반구의 전쟁·국가·사회 | 맺음말
제13장 지구 정치 경제
머리말 | 국제 정치 경제에 대한 접근 | 지구화의 동인 | 지구화의 승자와 패자는 누구인가? | 지구화의 미래 | 맺음말
제14장 국제 안보와 지구 안보
머리말 | 안보의 개념은 무엇인가? | 국가 안보의 전통적 접근 | 대안적 접근 | 지구화와 지정학의 부활 | 맺음말
제15장 국제법
머리말 | 질서와 제도 | 근대 국제법 제도 | 국제법에서 초국가법으로? | 전쟁법 | 국제법의 이론적 접근 | 맺음말
제16장 세계 정치 속의 국제기구
머리말 | 국제기구란 무엇인가? | 국제기구는 왜 중요한가? | 국가들은 왜 국제기구를 만드는가? | 국제기구의 행동을 어떻게 분석할 수 있는가? | 맺음말
제17장 국제연합
머리말 | 국제연합의 약사와 주요 기구들 | 국제연합과 국제 평화 및 안보의 유지 | 국제연합과 경제·사회 문제 | 맺음말
제18장 국제 관계의 지역주의
머리말 | 지역 협력과 지역 통합 | 지구적 맥락에서의 지역 협력 | 유럽 통합 과정 | 맺음말
제19장 젠더
머리말 | 국제 정치적인 관점에서 본 성과 젠더 | 지구의 젠더 관계 | 지구 정치의 젠더화 | 지구 안보의 젠더화 | 지구 경제의 젠더화 | 맺음말
제20장 세계 정치에서 인종의 문제
머리말 | 세계 정치에서 인종의 역사 | 인종을 통해 사고하기 | 현대 세계 정치에서 드러나는 인종 문제 | 맺음말
제3부 21세기의 도전
제21장 빈곤, 기아 그리고 발전
머리말 | 빈곤 | 기아 | 발전 | 맺음말
제22장 지구 무역과 지구 금융
머리말 | 무역과 금융의 지구화 | 지구 무역의 규제 | 지구 금융의 규제 | 맺음말
제23장 환경 문제
머리말 | 국제 의제로서의 환경 문제: 역사적 개관 | 국제 환경 협력의 기능 | 기후 변화 | 환경과 국제관계이론 | 맺음말
제24장 난민과 강제 이주
머리말 | 개념 생산과 국제적 보호의 정치학 | 강제 이주의 유형 | 국제 난민 레짐과 제도화된 인종 차별 | 맺음말
제25장 인권
머리말 | 지구 인권 구조 | 인권의 핵심 가정 | 인권 옹호의 실천 | 맺음말
제26장 민족주의, 민족 자결주의, 국제 관계
머리말 | 민족주의, 민족국가, 지구 정치 | 1918년 이래 민족 자결주의의 변화하는 의미들 | 맺음말
제27장 테러리즘과 지구화
머리말 | 정의 | 초국가 현상에서 지구적 현상으로(1968~2001) | 지구화의 영향 | 지구화, 기술, 그리고 테러리즘 | 테러리즘과의 전투 | 맺음말
집필진 소개
제8판 번역의 말
제7판 번역의 말
제6판 번역의 말
제5판 번역의 말
제4판 번역의 말
제3판 번역의 말
제2판 번역의 말
참고문헌
용어 해설
찾아보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역사가 모든 지식의 바탕이라면, 이론은 어떤 사실이 중요하고 어떤 사실은 그렇지 않은지를 우리가 결정할 수 있게 만들어 주는 일종의 단순화 장치다. 이론은 색깔이 다른 렌즈를 끼운 색안경에 비유될 수 있다. 세상은 빨간색 안경을 쓰면 빨갛게 보이고, 노란색 안경을 쓰면 노랗게 보인다. 세상은 전혀 다르지 않은데 달라 보일 뿐이다. 이론도 마찬가지다. 우리는 세계 정치 연구를 지배하는 이론의 견해를 요약할 것이다. 따라서 독자들은 그 이론들이 어떤 ‘색깔’로 세계 정치를 그려 내는지 알게 될 것이다.
―「서론」
모든 역사에서 전쟁의 존재는 기록되어 있다. 전쟁은 세계화의 세계뿐만 아니라 주권국가의 세계보다 앞선 것이다. 전쟁은 상당히 오래되었으며, 매우 일반적인 현상이라 할 수 있다. 전쟁은 앞으로도 계속 우리 곁에 있게 될 것이다. 전쟁이 어떤 면에서 역사적인 상수라면, 다른 면에서는 끝없이 변한다. 전쟁은 지방의 종족 간의 격렬한 반목에서부터 20세기 세계대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를 취한다.
―「제12장 전쟁과 세계 정치」
국제연합 난민고등판무관사무소에 따르면 난민 지위는 선언적인 것이다. 난민 자격을 갖춘 사람은 그 사실 자체로 인해 난민임을 의미하며, 이는 이들을 수용한 국가의 공식 인정 여부와 상관없다. 그러나 이 책의 다른 곳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국가 주권이 너무나도 중요하게 여겨지는 세상의 현실은 국제연합의 이상과 전혀 다르다. 현실에서 망명 신청자들은 본인들의 국가가 인종·민족·국적·종교·정치적 견해·특정 사회집단 소속 등으로 인한 정치적 박해로부터 자신들을 보호할 능력이나 의지가 없음을 자신들을 수용할 국가의 망명 담당 판사나 관리에게 입증해야만 비로소 난민으로 인정받고 관련 권리를 얻게 된다.
―「제24장 난민과 강제 이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