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정치사상
· ISBN : 9788944534010
· 쪽수 : 556쪽
· 출판일 : 1999-08-25
책 소개
목차
제 1 부 이론적 배경
제 1 장 민주주의와 그 영역
공고화된 민주주의의 5가지 영역
제 2 장 "국가성"과 민족주의와 민주화
민주주의의 필요조건으로서의 주권국가/국가와 국가형성, 국민과 국민형성/국민국가와 민주화: 불편한 사항/다민족국가와 민주주의화: 갈등의 논리를 초월하여
제 3 장 현대의 비민주주의 정권
민주주의/전체주의/후기전체주의/술탄주의
제 4 장 이행과정과 공고화 업무를 위해 우선되는 정권형태가 갖는 의미
제 5 장 행위자들과 환경요인들
제도적 구성과 이전의 비민주적 정의 리더십/이행의 시작: 누가 시작하고 누가 통제하는가?/국제적 영향/합법성과 강제성의 정치경제/헌법제정환경
제 2 부 남부유럽: 완성된 공고화
제 6 장 개정협정-결렬협정: 스페인
스페인의 이행작업/공산당의 합법화: 포괄적인 선택에 대한 부과설명/국가성 문제와 민주주의의 재구조화/폭력과 민주화에 대한 부과설명/민주적 공고화
제 7 장 임시정부로부터의 이행과 공고화: 포르투갈
혁명적인 비위계적 군부에 의해 시작된 이행/임시정부와 선거/군사적 위계질서의 재확인/헌법제정환경: 1976년 비민주적 헌법/이행의 완수와 민주적 공고화의 동시성
제 8 장 비위계적 군부정권의 위기: 그리스
제 9 장 남부유럽: 결론적인 의견
과거 비민주적 정권에 대한 부정적 평가가 민주적 공고화를 위한 필요조건이 아닌 이유에 관한 소론
제 3 부 남아메리카: 강제적인 이행
제 10 장 위기일발의 공고화된 민주주의: 우루과이
제 11 장 효능, 정당성, 그리고 민주적 국가 "존재"의 위기: 브라질
장기간의 강제적인 이행/헌법적, 정치적, 그리고 경제적 분열의 결합/민주주의에 대한 양면적 태도/브라질 민주주의의 장: 가능성있는 재구성?/1994 1995년의 브라질: 민주적 비공고화로부터의 탈출
제 12 장 불가능한 민주정치 게임으로부터 가능한 민주정치 게임으로: 아르헨티나
불가능한 게임을 넘어서?/아르헨티나 민주주의의 질적 문제
제 13 장 미완성의 민주적 이행/근접한 민주적 공고화? 칠레
제 14 장 남아메리카: 결론적인 의견
부록: 시민들이 민주주의를 어떻게 생각하는가?
제 4 부 후기공산주의 유럽: 가장 복잡한 경로와 과제
제 15 장 후기공산주의 이전의 역사
국제적 영향력과 이행/소련에서의 강압과 정통성의 정치경제의 변화와 그것의 국제적 결과/공산주의식 전체주의와 후기전체주의의 유산이 민주주의의 공고화에 미친 영향/후기공산주의의 다양한 경로
제 16 장 권위주의적 공산주의, 윤리적 시민사회, 양면적 정치사회: 폴란드
전체주의 도입의 불가능/반대세력 헤게모니의 등장과 공산당의 침식/협약에 의한 이행/정치사회와 민주주의 공고화의 문제점
제 17 장 후기전체주의체제의 다양성: 헝가리,체코슬로바키아, 불가리아
헝가리: 성숙한 후기전체주의로부터의 협상에 의한 이행/체코슬로바키아: 동결된 후기전체주의의 붕괴에 의한 이행/국가성과 조용한 결별: 신제도주의적 분석/불가리아: 초기의 후기전체주의로부터 체제가 통제한 이행
제 18 장 전체주의 겸 술탄주의가 민주적 이행에 미치는 영향: 루마니아
루마니아 예외주의의 분석/전체주의: 반소 스탈린주의와 후기전체주의로의 전환의 무산/술탄주의적 경향의 증가/"협약에 의한 이행"을 위한 행위자의 부족/술탄주의로부터의 탈출: 폭력과 국제적 영향력의 특수한 역할/혁명의 "포획": 술탄주의의 역할/과도체제의 비민주적 담론/술탄주의가 가미된 전체주의 그리고 민족주의: 다루기 힘든 유산
제 19 장 '국가성'의 문제와 민주화: 소련과 러시아
민족주의의 모순적 구조화/소비에트 국가의 해체: 중앙정부의 민주화가 결여된 자유화/소련의 해체: 민주적 전환과 공고화에 남긴 유산
제 20 장 민주주의와 민족국가의 갈등적 논리: 에스토니아와 라트비아
발틱국가들이 물려받은 장애/독립과 민주주의를 향한 변화: 보완과 긴장의 요소/발틱의 러시아인들: 문화적 동화의 문제점과 정치적 통합의 가능성/정책대안의 선택: 포용론 對 "차별화"론/실질적 민주주의에 대한 반응/발틱의 미래: 다민족 민주주의? 아니면 미회복영토?/민족형성, 국가형성, 민주주의 형성: 유형 분류/유형의 적용: 발틱의 선택
제 21 장 공산주의 몰락 이후의 유럽: 나타난 모습을 비교한 결론
정통성 피라미드의 반전/결과의 동시성 對 보류된 만족의 비교정치/민주주의와 공산주의의 복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