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철학
· ISBN : 9788952132109
· 쪽수 : 548쪽
· 출판일 : 2025-09-01
책 소개
이 책은 갑오개혁(1894) 즈음부터 1980년 교육개혁까지, 격동의 시기 한국인이 우리글로 사유한 철학의 역사를 총망라한다. 기존의 인물 중심이나 형이상학·인식론 위주의 철학사 서술에서 과감히 벗어나, 방법론, 논리학, 윤리학 등 일반 부문은 물론 과학철학, 교육철학, 유학, 불학 등 다양한 분과철학과 주요 담론(이기론, 사단칠정론, 자유의지, 정의 등)을 기준으로 방대한 자료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서술했다. 이 책은 독자들이 관심 분야의 지적 계보를 한눈에 파악하고 한국 현대철학의 전체 발자취를 더듬어 볼 수 있게 하는 가장 확실한 지도가 되어줄 것으로 기대된다.
책은 1945년 광복을 기준으로 제I부와 제II부로 나누어 관련된 자료들을 모으고 그것에 근거해 서술했다. 제I부에서는 시기적으로 갑오개혁 즈음부터 해방 전까지의 내용을 다룬다. 독립협회와 대한제국 성립에서 일제강점기까지다. 그러니 조선이 저무는 시기와 일제강점기에 해당하는 철학이다. 주권 회복을 위한 투쟁과 함께 새로운 사조를 향한 계몽운동이 싹트던 때부터다. 철학이란 말이 우리나라에 등장한 때이기도 하다. 제II부는 광복 후에서 1980년 7월 30일 교육개혁 때까지를 다룬다. 해방 이후 사회적 혼란, 남북 분단, 6·25전쟁, 4·19혁명, 유신 등을 거치는 과정에서 학자들이 발표한 논문이나 출간된 책들을 다룬다. 이 시기에는 국내 주요 대학교에 철학과가 창설되고, 『철학』(한국철학회), 『철학연구』(철학연구회), 『哲學硏究』(대한철학회) 등 학회에서 발행한 학술지뿐만 아니라 몇몇 대학교 철학과에서 펴낸 학술지가 모습을 드러냈다.
목차
머리말
제I부 갑오개혁 무렵에서 해방까지
1장 간추린 철학사(1)
1. ‘비록소비아(斐錄所費亞, Philosophia)’란 낱말과 뜻의 유래
2. 한국현대철학의 싹과 그 전개
2장 방법론
1. 변증법적인 방법
2. 직각론적인 방법
3장 형이상학과 인식론
1. 형이상학(존재론/우주론): 무엇이 존재하는가?
2. 인식론(지식론): 지식의 특성과 범위
4장 논리학과 가치론
1. 논리학(진)
2. 윤리학(선)
3. 미학(미)
5장 분과철학
1. 과학철학/자연철학
2. 교육철학/교육사상
3. 불교철학(불학)
4. 비교철학
5. 사회철학/정치철학
6. 생철학/실존철학
7. 심리철학
8. 역사철학/역사관
9. 유학
10. 현상학
요약 및 시사점: 새 학문 유입과 철학하는 자세 158
제II부 해방에서 1980년 교육개혁까지
6 간추린 철학사(2)
1. 해방과 분단 상황
2. 철학회들의 창립과 이어지는 출판물들
3. 확대되는 철학영역
4. 담론의 활성화
7장 방법론
1. 합리적인 사고와 추리에 의한 방법
2. 변증법적인 방법
3. 직각(관)론적인 방법
4. 현상학적인 방법
5. 방법론적 일원론과 다원론
8장 형이상학과 인식론
1. 형이상학(존재론/우주론)
2. 인식론(지식론)
9장 논리학과 가치론
1. 논리학(진)
2. 윤리학(선)
3. 미학(미)
10장 분과철학
1. 과학철학/자연철학
2. 교육철학
3. 기독교철학
4. 노장철학
5. 문화철학
6. 법철학
7. 불교철학(불학)
8. 비교철학
9. 사회철학/정치철학
10. 생철학/실존철학
11. 수리철학
12. 실학
13. 심리철학
14. 언어/분석철학
15. 역사철학/역사관
16. 유학
17. 종교철학
18. 철학적 인간학
19. 해석학
20. 현상학
11장 주요 담론
1. 기술(記述)/설명
2.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
3. ‘부정(否定)’의 적극적인 면
4. 생명
5. 성(誠)과 경(敬)
6. 시간과 공간
7. 심신동일론
8. 유교공죄론(功罪論) 논박
9. 이기론/사단칠정론
10. 이해
11. 인과성
12. 인물성동이론
13. 자아동일론
14. 자유/자유의지
15. 정의/공정
16. 진리
17. 천(天)과 도(道)
18. 학문의 보편성과 특수성
요약 및 시사점: 학풍과 창의적인 모습
정리 및 맺음말
연표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