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중국법문화론연구서설

중국법문화론연구서설

(개정판)

이종길 (지은이)
동아대학교출판부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중국법문화론연구서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중국법문화론연구서설 (개정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법학계열 > 각국법
· ISBN : 9788944900051
· 쪽수 : 343쪽
· 출판일 : 2023-01-31

목차

제Ⅰ장 중국법문화론 서장序章 / 17
Ⅰ. 서 언 19
Ⅱ. 문화文化에 대한 이해 24
1. 문화文化의 어원語源과 의미 24
2. 문화文化의 특성 28
Ⅲ. 법문화론法文化論에 대한 이해 32
1. 법문화론과 창조적 법발전 32
2. 법문화론의 특성 34
Ⅳ. 중국 전통법사상傳統?思想에 대한 이해 38
1. 중국 전통법사상傳統‘?’思想 서언 38
2. 유가사상儒家思想의 이해 41
3. 묵가墨家 및 도가사상道家思想의 이해 49
4. 법가사상法家思想의 이해 54
제Ⅱ장 중국전통사회의 민사법 발전경과 / 59
Ⅰ. 서 언 61
Ⅱ. 중국전통사회에 있어 민사법民事法의 발전과 그 주요내용 66
1. 주왕조周王朝를 중심으로 한 초기사회의 민사관계民事關係 68
2. 진秦ㆍ한漢에서 당대唐代까지의 민사법民事法 확립단계 76
3. 송宋ㆍ명明ㆍ청대淸代시기 민사법民事法의 발달 91
Ⅲ. 결 어 106
제Ⅲ장 중국법제사상 토지소유관계의 변천 / 113
Ⅰ. 서 언 115
Ⅱ.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개관 118
1. 춘추전국시대의 사회상 118
2. 상앙商?의 변법개혁變法改革과 사회변화 122
Ⅲ. 진한秦漢시대의 토지소유관계 124
1. 진한시대 토지소유관계의 형성 124
2. 진한시대의 사전私田 126
3. 한대의 〈전율田律〉과 〈호율戶律〉 128
4. 한대漢代 토지침점에 대한 제재방안 132
Ⅳ. 수당隋唐시대의 토지소유관계 133
1. 수당대의 토지소유양태 133
2. 수당대의 사유토지 135
3. 당왕조의 토지소유상황 143
Ⅴ. 결 어 152
제Ⅳ장 중국물권법사에 있어 ‘전권典權’제도의 변천 / 157
Ⅰ. 서 언 159
Ⅱ. 전권典權제도와 관련하는 ‘전당典當’과 ‘저압권抵押權’ 162
1. 전언前言 162
2. ‘전당典當’의 기원과 그 변화 163
3. ‘저압권抵押權’에 대한 이해 167
Ⅲ. 청대의 ‘전권典權’규정과 ‘전권계약典權契約’실제 169
1. ‘전典’과 ‘매賣’의 의미 169
2. ‘회속回贖’과 ‘조첩?貼’, 그리고 ‘두절조가계약杜絶?價契約’ 172
3. 전권계약典權契約과 전전계약轉典契約에 기한 당사자의 권리의무 178
4. 출전인出典人의 회속권回贖權과 전권인典權人의 권리 182
Ⅳ. ‘전권典權’에 대한 물권법적 논의와 ‘저압권抵押權’의 설정 185
1. 전언前言 185
2. ‘전권典權’개념에 대한 물권법적 이해 186
3. ‘전권典權’에 대한 존폐논의와 물권법상 ‘저압권抵押權’의 설정 189
Ⅴ. 결 어 193
제Ⅴ장 중국근대법사에 있어‘대청민율초안大淸民律草案’과민국시기民國時期의 민사관습법 / 197
Ⅰ. 서 언 199
Ⅱ. 중국사회의 관습법이해와 관습법의 법문화사적 응축凝縮 201
1. 중국사회에 있어 관습법慣習法의 이해 201
2. 관습법의 연원과 법문화사적 응축凝縮 205
Ⅲ. 중국법의 근대화과정에 있어 민사관습조사 208
1. 청조말기의 관습조사 경과 208
2. 중화민국시기의 관습조사 경과 215
Ⅳ. 중국법제 근대화과정에 있어 관습법에 대한 기본관점과 그 수용 219
1. ‘수율修律’과정에 있어 각지의 민정풍속民情風俗과 예교민정禮敎民情 219
2. ‘대청민율초안大淸民律草案’에 반영된 관습민정慣習民情 222
3. 중화민국시기 관습법에 대한 기본태도와 ‘민국민법전 民國民法典’의 편찬 225
Ⅴ. 결 어 230
제Ⅵ장‘조해調解’의 법문화와 중국의 이혼법제 / 233
Ⅰ. 서 언 235
Ⅱ. ‘조해調解’제도의 법문화성法文化性과 그 경과 237
1. 조해調解제도의 역사연원과 법문화성 237
2. 종법적 가족질서와 숙인사회熟人社會 240
3. 소송비용과 관련한 조해調解제도 243
Ⅲ. 조해調解제도에 대한 개관 245
1. 소송조해訴訟調解 247
2. 인민조해人民調解 249
3. 민간조해民間調解와 행정조해行政調解 등 252
Ⅳ. 조해調解와 판결判決의 차이 254
1. 제도근원에 기한 차이 255
2. 분쟁해결과정에 있어 ‘자원自愿’의 차이 256
3. 해결범위의 차이 257
4. 구제방법상의 차이 257
5. 조해의 기한 258
Ⅴ. 이혼법규를 중심으로 가사사건에 대한 조해調解제도의 적용검토 259
1. 가사사건에 대한 조해제도의 적용원칙 259
2. 이혼법규에 대한 검토 263
3. 가사조해家事調解제도의 특징과 문제점 272
Ⅵ. 결 어 278
제Ⅶ장‘효孝’윤리의 법문화와 현대사회에서의 재흥再興 / 281
Ⅰ. 서 언 283
Ⅱ. 유학사상儒學思想에 있어 ‘효孝’윤리의 본질 289
1. ‘효윤리孝倫理’에 대한 기본적 이해 289
2. 유학사상에 담겨있는 ‘효윤리孝倫理’의 핵심 내용 297
Ⅲ. 한국 전통사회에 있어 ‘효孝’윤리의 정착경과 312
1. 삼국 및 고려조의 ‘효윤리孝倫理’ 정착 312
2. 조선조의 ‘효윤리孝倫理’ 확산 및 법제화 경과 316
3. 유학사상儒學思想의 사회적 수용과 ‘효윤리孝倫理’의 정착 320
Ⅳ. 맺음말 324

저자소개

이종길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민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졸업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대학원 졸업, 법학박사 중국 북경대학 법학원 교환교수 동아대학교 법과대학 및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장 석당인재학부장 현) 동아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명예교수 주요논저 朝鮮社會法史攷(개정증보 제2판), 동아대학교출판부, 2020 中國法文化論硏究緖說(개정판), 동아대학교출판부, 2023 한국근현대의 법사와 법사상(한국법사학회엮음, 민속원, 2008. 공저) 東北亞區域法文化的比較硏究, 中國政法大學出版社, 2014 조선시대의 사회와 사상(조선사회연구회, 1998) 어촌사회의 법률관계?관습법조사연구(한국법제연구원, 1997) 갯바위를 둘러싼 공동체와 어업(해양수산부, 2021, 공저) 한국경제 선진화와 법치(백산서당, 2004. 공저), 인터넷윤리(이한출판사, 2006. 공저) 조선시대생활사(한국고문서학회간, 역사비평사, 1996. 공저) 소고 이항녕교수의 인생과 학문사상 연원(동아법학74호, 2017) 법학전문대학원의 교육목표 및 방법에 대한 비판적 검토, 2015 전통법사상 중국법문화의 수용과 조선조의 법발달(저스티스, 2009.12) 중국전통사회의 민사법 발전과정에 대한 일고찰(중국사연구, 2007.06) 중국사회의 토지소유관계에 대한 법제사적 검토(토지법학, 2006.12) 조선후기 경상도지방 목장리폐 일고(한국고문서학회, 2006.02) 조선시대 입법자의 법관과 법제정경과 일고(인권과정의, 2005.08) 경상도지방 어촌사회의 소유관습과 소유실태에 대한 법제사적 일연구 (역사민속학, 2003.12) 일제의 대한제국 지배과정 소고(법제연구, 2002) 한말 목장토의 소유관계변화와 일제의 토지조사사업(법사학연구, 2002.04) 법의식과 법생활에 있어 일제유산의 극복(한국학술진흥재단, 1995) 이혼에 있어 친권 및 양육책임문제에 대한 새로운 접근(가족법연구, 2015.12) 동성동본금혼규정의 개정을 위한 기초과제의 검토(가족법연구, 1998) 아동학대와 친권 및 양육자문제에 대한 일고(아세아여성법학, 2002) 호적자료를 통해 본 조선후기 어촌사회의 가족관계, 2012 중국의 조해제도와 이혼법규에 대한 검토(동아법학, 2010.5) 외 논문 다수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