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시론
· ISBN : 9788944901386
· 쪽수 : 246쪽
· 출판일 : 2003-08-30
목차
1. 시의 본성 9 1) 사람의 본성과 시 9 2) 시의 창조성 10 3) 시의 상징성 15 4) 시의 사회성 192. 정지용 시와 현실 23 1) 현실적응의 지수(exponent) 23 2) 지용의 시적 체험 26 3) '도시'의 스트레스 29 4) 현실 적응적 탐색 38 5) 자아실현의 지수 63 6) 현실적 성향 693. 청록집의 색채 상징 73 1) 색채어의 의미 73 2) 비애의 극복 75 3) 정결과 안정 80 4) 소극적 침정(沈靜) 83 5) 불가사의한 전통적 미학 88 6) 고결한 이상향에의 의지 93 7) 청록집의 색채어 994. 윤동주 시의 상징적 모티프(motifs) 101 1) 상징적 모티프 101 2) 양친 동시상징 '하늘' 102 3) 생명력의 전령 '바람' 110 4) 현실적 행동과 위안 '별' 115 5) 윤동주 시의 본질 1215. 한국전쟁 시의 언술적 의의 125 1) 시적 언술과 전쟁 125 2) 시어의 변화와 문체적 분방성 129 3) 전방시의 환유와 도덕적 문체 138 4) 후방시의 은유와 복합적 문체 146 5) 남·북 시의 차이 1536. 조향 시의 현대성 157 1) 조향의 시 157 2) 현대성의 모색 158 3) 현대성의 구축 165 4) 병치적 언어와 순수언어 169 5) 조향 시의 현대성 1767. 김수영 시의 놀이정신 179 1) 다채로운 몸짓 179 2) 김수영과 놀이정신 181 3) 사랑과 자유의 의식(儀式) 186 4) 투쟁성·민첩성 그리고 여유 191 5) 김수영 시의 본성 2008. 김춘수의 무의미 시 203 1) 시어의 성질 203 2) 무의미시 204 3) 김춘수 시의 비법 209 4) 무의미시의 반성 2149. D.M.Z. 황무지성 - 그 시학적 의미 217 1) 황무지 D.M.Z, 그 문학적 인식 217 2) 시학적 의미의 실천 219 3) 무장의 해제와 본래적 삶의 시 223 4) 새로운 삶, 진솔한 언어 22710. 21세기 우리 시의 전개 양상 231 1) 통일 대비 231 2) 제1기 : 고통과 고발의 우의 233 3) 제2기 : 민요적 양식의 화해 지향 235 4) 제3기 : 참 모습, 참 삶에의 새로운 도전 237찾아보기 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