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생활환경계열 > 관광학
· ISBN : 9788945685292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08-03-10
목차
CHAPTER 1 관광학의 기본원리
1.1 관광의 기본적인 구성요소 16
1. 관 광 자 17
2. 관광대상 17
3. 관광사업자 18
1.2 관광자들과 관련된 기본원리 20
1. 기본원리 1: 관광자들은 상호교류한다. 20
2. 기본원리 2: 보는 것이 얻는 것이고, 아는 것만큼 보인다. 23
3. 기본원리 3: 관광자들은 끊임없이 진화한다. 25
1.3 관광자를 위해 움직이는 집단들과 관련된 기본원리 27
1. 기본원리 4: 관광자들이 원하는 것을 준다. 27
2. 기본원리 5: 관광자들이 무엇인가 결정을 하게 한다. 28
3. 기본원리 6: 관광경제는 끊임없이 작동한다. 31
1.4 ‘대상’이라 특징지워진 것과 관련된 기본원리 33
1. 기본원리 7: 밝음 속에 관광자들을 머무르게 한다. 33
1.5 결 론 35
CHAPTER 2 관광학적 사고
2.1 과학으로서의 관광학 38
1. 과학적 방법론 38
2. 가정의 역할 39
3. 모 형 40
2.2 정책가로서의 관광학자 41
1. 실증적 분석과 규범적 분석 42
2. 관변관광학자들 46
2.3 왜 관광학자들간에 견해가 다른가? 46
2.4 쟁점사항 48
1. 과학으로서의 요건 48
2. 관광학의 객관성 확보문제 48
2.5 결 론 48
CHAPTER 3 관광과 문화, 그리고 인간
3.1 관광이란 무엇인가? 52
1. 관광의 개략적인 역사 52
2. 관광의 정의 53
3.2 문화란 무엇인가? 55
1. 문화의 정의 55
2. 문화관광의 정의 59
3.3 인간이란 무엇인가? 63
3.4 관광과 문화, 그리고 인간의 관계는? 65
1. 현대사회에서의 문화의 특징 65
2. 모든 것의 문화화 66
3. 하나의 권리와 의무인 문화 72
3.5 결 론 75
CHAPTER 4 놀이와 인간
4.1 놀이란 무엇인가? 77
4.2 놀이정신 79
1. 놀이에서의 ‘적당’ 80
2. 놀이정신의 세 가지 차원 87
4.3 놀이의 중요성 92
4.4 문화생활의 위대한 원동력 94
1. 놀이와 문화의 관계 96
2. 놀이와 문화의 상호의존관계 99
3. 놀이에서의 성스러움 101
4.5 결 론 106
CHAPTER 5 여가와 시간
5.1 여가란 무엇인가? 110
5.2 여가와 시간 112
5.3 여가와 노동 118
1. 노동천시에서 생산적 노동으로 118
2. 생산적 노동과 비생산적 노동 119
3. 여가의 탄생 120
5.4 여가와 종교 121
1. 성서에 나타난 노동과 여가 121
2. 구약성서에 나타난 여가로서의 안식일 122
3. 안식일의 특징 124
4. 그리스도교적 여가로서의 주일 125
5. 기독교관점에서의 여가개념연구의 과제와 시사점 127
5.5 주 5일근무제와 여가 129
1. 주 5일제 사회의 본질과 의미 129
2. 주 5일제 사회에서의 소외된 여가생활 130
3. 주 5일근무를 하면 달라지는 것. 134
4. 주 5일근무의 해외사례 135
5. 주 5일근무제 실시후 휴가활용방안 137
6. 주 5일근무제 실시와 여가 139
5.6 미래 여가산업의 전망 143
1. 여가의미의 변화 144
2. 여가의 새로운 의미 145
5.7 결 론 149
CHAPTER 6 여행과 인간
6.1 여행이란 무엇인가? 152
6.2 여행과 상징적 상호작용 153
6.3 수학여행의 교육적 의미 154
6.4 여행의 참된 의미 157
1. 여행의 즐거움 157
2. 여행의 참된 의미 159
6.5 결 론 162
CHAPTER 7 현대사회에서의 문화관광
7.1 세계 관광경제의 흐름 164
7.2 관광의 현대적 의미 165
7.3 왜 문화관광인가? 166
1. 문화와 관광의 관계 166
2. 문화관광의 중요성 168
3. 문화관광의 분류 169
4. 문화관광의 특징 170
7.4 현대사회에서의 문화관광 171
7.5 역사문화관광자원과 체험학습 174
1. 역사문화관광자원의 필요성 174
2. 역사문화관광자원 체험학습의 개념 177
3. 역사문화관광자원 체험학습의 기대효과와 현대적 의의 186
4. 역사문화관광자원의 관광적 가치기준 설정 198
7.6 결 론 202
CHAPTER 8 관광의 효과
8.1 관광의 사회적 영향 205
8.2 관광의 문화적 영향 207
8.3 관광의 경제적 영향 208
1. 국제수지의 개선 208
2. 경제활동의 활성화 209
3. 지역경제에 대한 효과 209
4. 고용효과 209
8.4 관광의 정치적 영향 210
8.5 관광의 부정적 영향 210
1. 지역주민의 일상생활에 혼란을 초래 210
2. 관광자 증가에 의한 범죄의 증가 211
3. 지역문화의 해체 및 왜곡 211
4. 관광산업의 경기불안 211
5. 관광개발이익의 편중배분 212
8.6 결 론 212
CHAPTER 9 관광자의 심리
9.1 현대인의 스트레스와 심리 214
9.2 관광욕구와 관광동기 216
9.3 이제마와 프로그의 성격구조 217
1. 이제마의 성격구조 217
2. 프로그의 성격구조 223
9.4 관광 이미지의 창조 225
9.5 학습과 태도 및 사회심리학 227
9.6 결 론 228
CHAPTER 10 관광기업의 기업문화
10.1 관광기업의 환경 229
10.2 관광기업의 문화 232
10.3 이문화전략 234
1. 이문화의 이해 234
2. 각국의 문화 235
3. 이문화전략 254
10.4 결 론 255
CHAPTER 11 한국문화의 관광상품화
11.1 한국문화의 관광적 가치 257
1. 경제적 관점 258
2. 사회?문화적 관점 258
3. 환경적 관점 259
11.2 한국의 문화유산현황 260
11.3 세계문화유산 현황 262
1. 세계문화유산의 정의 및 개념 262
2. 주요국 세계문화유산 보유현황 264
11.4 한국문화의 관광상품화 265
1. 문화유산 관광상품화를 위한 전제조건 265
2. 관리 및 운영방안 268
3. 홍보 및 마케팅 방안 271
11.5 결 론 274
CHAPTER 12 대통령과 관광
12.1 관광과 정치 277
1. 관광의 정치적 이익 277
2. 대통령중심제의 특징 279
12.2 역대 대통령과 관광 281
1. 이승만 대통령의 관광관련정책 281
2. 박정희 대통령의 관광관련정책 282
3. 전두환 대통령의 관광관련정책 283
4. 노태우 대통령의 관광관련정책 284
5. 김영삼 대통령의 관광관련정책 286
6. 김대중 대통령의 관광관련정책 287
7. 노무현 대통령의 관광관련정책 289
8. 총 괄 291
12.3 외국의 대통령 292
12.4 결 론 294
CHAPTER 13 한국 관광정책의 역사
13.1 관광정책의 흐름 296
13.2 관광정책의 시대별 개관 298
1. 제1공화국: 이승만 대통령 298
2. 과도정부 제2공화국: 장면 정권 299
3. 제3?제4공화국: 박정희 대통령 299
4. 제5공화국: 전두환 대통령 303
5. 제6공화국: 노태우 대통령 304
6. 문민정부: 김영삼 대통령 305
7. 국민의 정부: 김대중 대통령 305
8. 참여정부: 노무현 대통령 308
9. 관광정책방향의 총괄분석 314
13.3 21세기 관광정책의 환경변화 315
1. 21세기 관광환경의 총체적 변화상 316
2. 새로운 관광정책적 요구 317
13.4 효율적 관광정책 추진을 위한 관광발전전략 319
1. 세계화에 대응하는 한국관광의 정체성 확립 320
2. 한민족공동체 형성을 위한 관광교류의 활성화 321
3. 관광복지환경 개선을 위한 여가공간 및 시설의 확충 322
4. 관광산업 육성을 위한 특별조치로 관광경쟁력 강화 323
5. 관광정책 추진체계 구축을 위한 기구혁신 및 구조조정 324
13.5 결 론 325
CHAPTER 14 건전한 관광문화
14.1 몰입의 즐거움 330
14.2 느림의 즐거움 332
14.3 비움의 즐거움 341
1. 연잎이 말하는 ‘비움의 미학’ 341
2. 버리지 못해 생기는 병 343
3. 버리고 비우기, 채움보다 비움이 아름답다. 344
4. 희망을 꿈꾸며, 과거를 버리고 비우며 346
5. 여행자들이 꿈꾼 것은 영혼과 육체의 자유이다. 346
6. 익숙함이 주는 짧은 행복에서 벗어나라. 347
7. 버리고 비우기, 집착보다 버림이 아름답다. 348
8. 버림의 미학을 실천하자. 348
9. 버리고 비움의 극치, 무소유 349
10. 세상에 여백을 주다. 350
11. 탐(耽)과 탐(貪)을 벗어나 탐(探)으로 정진하자. 351
14.4 생활의 안정과 삶의 질 향상 352
▷▶참고문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