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88945693174
· 쪽수 : 356쪽
· 출판일 : 2025-03-05
책 소개
목차
제1장 도시재생의 개념 및 도시 변화
제1절 도시의 변화와 성공 요인
1. 도시의 변화
2. 도시 발전의 성공 요인
제2절 도시재생의 개념 및 중요성
1. 도시재생의 개념
2. 도시재생의 필요성
3. 도시재생의 추진 방향
제3절 도시재생 발전 관련 동향
1. 세계 도시재생 발전 동향
2. 국내 도시재생 발전 동향
제2장 국내 도시재생 정책 추진 현황분석
제1절 정부 부처 도시재생 정책 추진 현황분석
1. 국토교통부 정책 추진 현황
2. 농림축산식품부 정책 추진 현황
3. 행정안전부 정책 추진 현황
4. 해양수산부 정책 추진 현황
제2절 지자체 도시재생 관련 정책 추진 현황분석
제3절 도시재생 정책 추진상의 문제점과 시사점
1. 도시재생 정책 추진상의 문제점
2. 도시재생 정책 추진에 따른 시사점 도출
제3장 주요 국가의 도시재생 정책 추진사례 분석
제1절 일본
1. 추진 배경
2. 일본 정부의 도시재생 관련 정책
3. 지자체의 도시재생 사례
제2절 싱가포르
1. 추진 배경
2. 싱가포르 정부의 도시재생 관련 정책
3. 지자체의 도시재생 사례
제3절 영국
1. 추진 배경
2. 영국 정부의 도시재생 관련 정책
3. 지자체의 도시재생 사례
제4장 도시재생과 관광의 관계 분석
제1절 도시재생에서 관광의 도입배경 및 역할
1. 도시재생에서의 관광 도입배경
2. 도시재생에서의 관광의 역할
제2절 도시재생에서의 관광의 관점 이해
1. 경제적 관점의 도시재생 이해
2. 문화적 관점의 도시재생 이해
3. 사회적 관점의 도시재생 이해
4. 환경적 관점의 도시재생 이해
5. 정책적 관점의 도시재생 이해
6. 관광지 관점의 도시재생 이해
제3절 도시재생을 통한 도시관광 발전방안
1. 도시재생을 통한 도시관광 활성화 전략
2. 공공기관 참여 확대 방안 필요
제5장 도시재생 프로젝트에서의 이해관계자 참여와 협력
제1절 도시재생 과정에서의 이해관계자의 역할
1. 지방자치단체(정부)
2. 주민 및 지역 사회
3. 민간 기업
4. 전문가 및 연구기관
5. 비영리 단체 및 사회적 기업
6. 기타 이해관계자
제2절 도시재생 과정에서의 갈등 해결과 합의 형성
1. 이해관계자 간 갈등의 원인
2. 갈등 해결 전략
3. 합의 형성을 위한 전략
제3절 도시재생 과정에서의 사회적 포용과 커뮤니티 참여
1. 사회적 포용의 개념과 중요성
2. 커뮤니티 참여의 개념과 중요성
3. 사회적 포용과 커뮤니티 참여를 위한 전략
제6장 도시관광을 위한 도시재생방안
제1절 도시재생을 통한 도시관광의 역사적 발전배경
1. 도시관광의 기원과 초기 발전
2. 도시재생과 도시관광의 결합: 20세기 초반의 변화
3. 도시관광과 도시재생의 본격적인 융합: 20세기 후반
4. 21세기 도시관광의 발전과 도시재생의 역할
5. 결론: 도시관광의 미래와 도시재생의 역할
제2절 도시재생을 통한 도시관광의 특징과 현대적 의미
1. 도시재생과 도시관광의 관계
2. 도시관광의 주요 특징
3. 현대적 의미
제3절 도시관광과 도시재생방안
1. 도시관광을 위한 도시재생의 중요성
2. 전략적 접근: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도시재생
3. 문화와 역사 자원의 활용
4. 지속가능한 개발과 환경적 고려
5. 사회적 포용과 주민 참여
6. 관광 인프라와 서비스 개선
제7장 관광 중심형 도시재생
제1절 도시 발전을 위한 관광 중심 사업의 이해
1. 도시재생의 개념과 관광 중심형 도시재생
2. 관광 중심형 도시재생의 필요성
3. 관광 중심형 도시재생의 주요 전략
4. 한국의 주요 관광 중심형 도시재생 사례
제2절 관광 중심 개발에 따른 도시재생
1. 관광 중심 개발의 개념
2. 관광 중심 개발의 필요성
3. 관광 중심 개발을 위한 전략
제3절 관광 중심형 도시재생사업 추진에 따른 성공 및 실패 사례
1. 성공 사례: 해외 사례 중심
2. 실패 사례: 한국 사례 중심
3. 실패 사례: 해외 사례 중심
제8장 상권 중심의 도시재생
제1절 상권의 이해
1. 골목상권의 개념
2. 골목상권의 범위
3. 골목상권진흥 관련 계획, 정책 및 법률 검토
4. 상권 활성화 제도와 현황
제2절 상권개발을 통한 도시재생
1. 상권개발의 개념과 필요성
2. 상권개발을 통한 도시재생 추진 전략
3. 상권개발을 통한 도시재생 성공 사례
제3절 상권개발에 따른 도시재생 성공 및 실패 사례
1. 성공사례: 해외 사례 중심
2. 상권개발에 따른 도시재생 실패사례: 한국 사례 중심
3. 상권개발에 따른 도시재생 실패사례: 해외 사례 중심
제9장 도시재생 관광의 매력성과 관광객의 방문 의도
제1절 장소 중심 마을재생의 가치
1. 장소 중심 마을재생의 개념과 특징
2. 도시재생 관광의 매력성과 관광객의 방문 의도
3. 장소 중심 마을재생의 관광적 가치
제2절 관광목적지로서의 도시재생의 매력성
1. 도시재생과 관광목적지 개발의 관계
2. 도시재생의 관광목적지로서의 매력성
3. 관광목적지로서 도시재생의 매력성
제3절 관광객의 방문 의도
1. 도시재생에 의한 관광목적지 개발의 의미
2. 관광객이 도시재생된 관광목적지를 방문하는 주요 의도
3. 도시재생 관광목적지의 매력성
4. 도시재생 관광목적지 개발의 성공 사례
제10장 도시재생 관광의 마케팅과 브랜딩
제1절 재생된 도시 지역을 위한 브랜딩 전략
1. 도시재생 브랜딩의 중요성
2. 브랜딩 전략 수립을 위한 주요 단계
3. 브랜딩 전략의 실현을 위한 실천 방안
제2절 관광객에게 재생된 도시재생 프로젝트 마케팅
1. 도시재생 지역의 관광 자원 활용
2. 타깃 관광객 분석 및 맞춤형 마케팅 전략
3. 이벤트 및 체험 프로그램을 통한 관광객 유치
4. 외래관광객의 방문 의도를 자극하는 요소
제3절 도시재생을 위한 문화적 행사와 축제
1. 도시재생과 문화적 행사 및 축제의 중요성
2. 문화적 행사와 축제의 유형
3. 문화적 행사와 축제를 통한 도시재생 지역 홍보 전략
4. 문화적 행사와 축제의 평가와 개선
제4절 도시재생 마케팅 전략의 효과 평가
1. 도시재생 마케팅 전략의 중요성
2. 마케팅 전략 효과 평가의 필요성
3. 도시재생 마케팅 전략 효과 평가의 방법론
4. 도시재생 마케팅 전략 효과 평가 사례
5. 도시재생 마케팅 전략 개선 방안
제11장 젠트리피케이션의 이해
제1절 젠트리피케이션의 개념
1. 지역 경제의 활력소, 골목 상권
2. 젠트리피케이션의 개념
제2절 젠트리피케이션 현상 분석
1. 젠트리피케이션의 발생 과정
2. 젠트리피케이션이 주목받는 이유는?
3. 비판 및 문제점
제3절 젠트리피케이션 대책과 사례
1. 골목 상권을 보호하기 위한 제도는?
2. 재개발 등 공급량 증대
3. 부동산 가치 상승에 기여한 임차인에 대한 보호법
제12장 오버투어리즘의 이해
제1절 오버투어리즘의 개념
제2절 오버투어리즘의 원인과 현상 분석
1. 오버투어리즘의 원인
2. 오버투어리즘의 현상
제3절 오버투어리즘 대책과 사례
1. 오버투어리즘의 대안과 해결 방안
2. 오버투어리즘의 국내외 사례
제13장 도시재생 및 관광의 미래 전망
제1절 도시재생을 형성하는 기술적 혁신
1. 기술 혁신이 관광 산업에 미친 영향
2. 도시재생과 관광 산업의 융합
3. 도시재생 관광의 미래 전망과 기술적 혁신의 역할
제2절 변화하는 도시의 역학에 대응하는 정책
1. 도시재생의 정의와 관광 산업의 역할
2. 변화하는 도시의 역학에 대응하는 정책의 필요성
3. 도시재생과 관광 산업을 융합한 정책의 주요 요소
4. 효과적인 정책 실행을 위한 협력과 통합
5. 기술 혁신과 스마트 관광
제3절 미래를 위한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실천 방안
1.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의 정의와 중요성
2.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실천 방안
부록: 골목상권 상인들을 위한 지속가능한 리질리언스 교육 프로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