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생활환경계열 > 의류학
· ISBN : 9788947228947
· 쪽수 : 276쪽
· 출판일 : 2014-01-17
책 소개
목차
1장 섬유의 분류와 특성
1. 섬유의 분류 / 15
2. 섬유의 특성 / 18
1) 천연섬유소재 / 18
(1) 면과 마 / 18
(2) 모 / 19
(3) 견 / 19
2) 인조섬유소재 / 20
(1) 레이온소재 / 20
(2) 반합성섬유소재 / 20
(3) 합성섬유소재 / 21
3) 섬유 신소재 / 23
2장 염색과 가공을 위한 준비공정
1. 풀빼기 / 28
2. 정 련 / 30
1) 면의 정련 / 31
2) 양모의 정련 / 31
3) 견의 정련 / 32
4) 인조섬유의 정련 / 33
3. 표 백 / 33
1)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표백 / 35
2) 염소계 산화제를 이용한 표백 / 35
3) 표백직물의 백도측정 시험 / 37
4. 열고정 / 40
5. 잔털 태우기 / 42
6. 머서화 / 43
3장 섬유의 염색
1. 색의 이해 / 49
1) 색의 요소 / 49
(1) 빛 / 49
(2) 물체 / 52
(3) 관찰자 / 54
2) 물체에 의한 빛의 흡수 / 55
(1) 투명물체에 의한 빛의 흡수법칙 / 55
(2) 불투명물체에 의한 빛의 흡수법칙 / 57
3) 색의 측정과 표시 / 58
(1) 먼셀 표색계(Munsell color order system) / 60
(2) CIE 표색계 / 61
(3) LAB 색공간 / 64
4) 색의 혼합 / 66
5) 조건등색(條件橙色, Metarmerism) / 68
2. 염색의 기초 / 69
1) 염착이론 / 69
2) 염색현상 / 70
3) 염색과정에서 일어나는 여러 요소들의 상호작용 / 72
(1) 염료와 물의 상호작용 / 73
(2) 섬유와 물의 상호작용 / 73
(3) 염료와 섬유의 상호작용 / 74
4) 염색의 조건 / 77
5) 실제 염색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변수 / 78
3. 염료의 발색원리 / 79
1) 발색단설(Chromophore theory) / 80
2) 퀴노이드설 / 81
3) 분광분석설 / 81
4) 공명설(Resonance theory) / 82
4. 염료의 명칭 / 82
5. 염료의 분류와 특성 / 83
1) 염료의 분류 / 83
(1) 원료에 따른 분류 / 83
(2) 염법에 따른 분류 / 84
(3) 화학구조에 따른 염료의 분류 / 85
(4) 실제 적용에 따른 분류 / 91
2) 천연염료와 염색 / 144
(1) 광물성 염료 / 144
(2) 동물성 염료 / 147
(3) 식물성 염료 / 151
6. 혼방섬유의 염색 / 170
1)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셀룰로오스 섬유의 혼방물 / 170
2)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모섬유의 혼방물 / 171
3) 나일론 섬유와 셀룰로오스 섬유의 혼방물 / 171
4) 나일론 섬유와 모섬유의 혼방직물 / 172
5) 아크릴 섬유와 셀룰로오스 섬유의 혼방물 / 172
6) 아크릴 섬유와 모섬유의 혼방물 / 172
7)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나일론 섬유의 혼방물 / 173
7. 염색공정 / 173
1) 침염 / 174
(1) 선염 / 175
(2) 후염 / 183
(3) 가먼트염색 / 190
(4) 연속염색법 / 192
2) 날염 / 193
(1) 표현기법에 따른 분류 / 194
(2) 인쇄방법에 따른 분류 / 195
3) 특수효과 염색 / 202
(1) 크로스염색(Cross dyeing, 異色染色) / 202
(2) 유니온염색(Union dyeing) / 203
(3) 톤온톤 염색(Tone-on-tone dyeing) / 203
4) 염색견뢰도 / 205
5) 자동 색배합(Computer Color Matching : CCM) / 206
4장 섬유의 가공
1. 섬유의 외관 변화 / 210
1) 광택가공 / 210
2) 워싱가공 / 213
2. 촉감의 변화 / 217
1) 유연가공 / 217
(1) 양이온계 유연제 / 218
(2) 비이온계 유연제 / 218
(3) 음이온계 유연제 / 218
2) 풀먹임(Handbuilding) / 219
3) 기모가공(Raising) / 219
(1) 티즐링(teaseling) / 220
(2) 내핑(napping) / 220
(3) 스웨이딩(sueding) / 221
(4) 쉬어링(shearing) / 222
4) 플로킹(Flocking) / 222
5) 번아웃(Burn out) 가공 / 223
3. 기능성 부여 / 224
1) 방축가공 / 224
(1) 면의 방축가공 / 224
(2) 양모의 방축가공 / 226
(3) 합성섬유의 열고정가공 / 228
2) 수지가공 / 230
(1) 건방추가공(anti-crease) : 건방추성 부여 / 230
(2) W&W(Wash and Wear) 가공 : 건방추성과 습방추성 부여 / 231
(3) DP(Durable Press) 가공 : 건방추성과 습방추성과 형태고정성 부여 / 231
(4) VP(Vapor Phase) 가공 / 232
(5) 수지가공제 / 232
(6) 가공공정 / 235
(7) 수지가공의 문제점 / 237
(8) 방추성의 평가 / 238
3) 영구고정가공(Siro-Set) / 239
4) 방염가공(Flame Retardant Finish) / 239
(1) 섬유의 연소 / 240
(2) 방염가공의 원리 / 242
(3) 방염가공제 / 243
(4) 방염성의 평가 / 244
5) 방수 및 발수가공 / 246
(1) 발수이론 / 247
(2) 발수가공방법 / 248
(3) 평가 / 249
6) 방오가공(Soil-Repellent, Soil Release Finish) / 250
(1) 가공제 / 250
7) 정전기 방지가공 / 251
(1) 일시적 가공 / 252
(2) 영구적 가공 / 252
8) 알칼리 감량가공 / 252
(1) 가공공정 / 255
(2) 처리조건과 가공효과 / 255
9) 항균가공(Antibacterial finish) / 255
(1) 항균가공제 / 256
(2) 항균가공방법 / 260
(3) 항균가공 평가 / 261
참고문헌 / 264
찾아보기 / 2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