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TESAT
· ISBN : 9788947248457
· 쪽수 : 423쪽
· 출판일 : 2011-04-20
책 소개
목차
제1부 미시경제학 이해하기
제1장 경제학의 기초
제1절 경제학의 본질과 연구대상
제2절 경제이론의 분석방법과 경제학의 구분
제2장 수요와 공급의 원리(시장 이해하기)
제1절 시장의 정의와 역할
제2절 수요와 공급의 원리시장의 작동원리
제3절 시장과 경제적 후생수요와 공급의 재해석
제4절 수요의 공급의 탄력성
제5절 수요·공급의 원리의 현실적 적용
제3장 가계의 합리적인 소비활동
제1절 한계효용이론과 합리적 소비
제2절 무차별곡선이론과 합리적 소비
제3절 소비자이론의 응용
제4장 기업의 합리적인 생산활동
제1절 기업과 생산함수
제2절 생산과 비용이론
제3절 진화 및 행동경제학과 기업이론
제4절 기업경영활동과 회계정보의 활용
제5장 시장구조의 이해
제1절 완전경쟁시장의 가격과 생산
제2절 독점시장의 가격과 생산
제3절 독점적 경쟁시장의 가격과 생산
제4절 과점시장의 가격과 생산
제5절 기업들의 전략적 행동과 게임이론 분석
제6장 소득분배와 소득불평등이론
제1절 노동시장의 임금결정
제2절 자본시장과 이자율의 결정
제3절 지대와 이윤
제4절 소득불평등과 재분배정책
제7장 자원배분의 효율성과 시장실패(시장이냐? 정부냐?)
제1절 효율성과 시장성과
제2절 독과점과 공공재에 의한 시장실패
제3절 외부성과 환경정책
제4절 비대칭적 정보의 경제분석
제8장 공공경제학
제1절 후생명제와 정부의 기능
제2절 공공선택이론(⇒ 투표의 경제학적 분석)
제3절 조세이론
제2부 거시경제학 이해하기
제1장 거시경제학의 기초
제1절 거시경제학의 등장배경
제2절 국민소득의 정의 및 측정
제3절 생계비의 측정(⇒ 물가)
제4절 거시경제학의 주요 논점
제2장 국민소득수준의 결정(총수요측면 Ⅰ)
제1절 국민소득결정이론의 기초
제2절 고전학파의 국민소득결정
제3절 케인스파의 국민소득결정
제4절 총수요의 구성요소 : 소비함수론
제5절 총수요의 구성요소 : 투자와 정부지출과 순수출
제3장 화폐와 금융의 이론(총수요측면 Ⅱ)
제1절 화폐와 경제생활
제2절 화폐의 공급
제3절 화폐의 수요
제4절 금융시장과 신용
제4장 총수요와 총공급 및 경제안정화정책
제1절 총수요와 총공급의 모형
제2절 재정정책과 유효성 논쟁
제3절 금융정책과 유효성 논쟁
제4절 경제안정화정책과 유효성 논쟁
제5장 인플레이션과 실업
제1절 인플레이션이론
제2절 실업이론
제3절 인플레이션과 실업의 동시분석 : 필립스곡선
제6장 동태적 경제변동(경기변동과 경제성장)
제1절 경기변동
제2절 경제성장과 생활수준
제3절 여러 나라의 경제성장전략
제7장 국제경제이론
제1절 국제무역이론
제2절 무역정책
제3절 환율이론
제4절 국제수지이론
제8장 경제학의 발달
제1절 자본주의 초기의 경제사조
제2절 주류경제학의 등장과 고전적 비주류경제학
제3절 신고전학파의 등장
제4절 케인스경제학의 도전과 등장
제5절 케인스 반혁명
제6절 최근의 경제학의 발전 : 복잡계경제학, 행동경제학, 진화경제학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