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복지학
· ISBN : 9788947283908
· 쪽수 : 316쪽
· 출판일 : 2020-02-28
책 소개
목차
제1편 사회복지이론
제1장 사회복지의 개념 / 15
1. 사회복지의 의의 / 15
2. 사회복지의 목적개념 / 16
3. 사회복지의 실제개념 / 17
4. 사회복지의 기능에 따른 개념 / 18
5. 사회복지와 사회사업의 개념적 이해 / 21
제2장 사회복지의 구성체계 및 가치이념 / 26
1. 사회복지 구성체계의 개념 / 26
2. 사회복지의 목적 / 27
3. 사회복지의 주체 / 31
4. 사회복지의 가치 / 41
5. 우리나라의 사회복지 모형 / 45
제3장 사회복지의 동기와 사회지표 / 46
1. 사회복지의 동기 / 46
제4장 사회복지의 기능과 모형 / 49
1. 일반적 기능 / 49
2. 사회복지의 기능 / 50
3. 사회복지의 모형 / 52
제5장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 / 62
1. 프로그램의 정의 / 62
2. 프로그램 개발의 배경 / 62
3. 프로그램개발의 구성요소 / 63
4. 프로그램개발의 과정 / 64
5. 프로그램개발의 기획기법 / 66
6. 프로그램개발 평가 / 67
제2편 사회복지방법론
제6장 사회복지실천론 / 93
1. 현대사회와 인간관계 / 93
2. 복지윤리로서의 정상화원리 / 94
3. 인간과 환경과의 상호작용 / 100
제7장 사회복지실천기술론 / 102
1. 사회복지실천의 개념 / 102
2. 사회복지실천기술론 / 103
3. 사회복지실천의 기법 / 105
제8장 사회복지행정론 / 112
1. 사회복지행정의 개념 / 112
2. 사회복지행정의 특징 / 115
3. 사회복지행정의 영역 / 116
4. 사회복지행정의 원칙 / 123
5. 사회복지의 자원구조 / 126
제9장 사회복지정책 / 142
1. 생존권과 사회복지 / 142
2. 사회이슈 / 145
3. 사회복지정책의 과정 / 151
제10장 지역사회조직론 / 172
1. 지역사회의 개요 / 172
2. 지역사회조직의 개요 / 173
3. 지역사회조직의 발달 / 175
4. 지역사회조직의 실천모형 / 176
5. 지역사회조직의 실천원칙 / 178
제11장 사회복지의 조사 / 180
1. 사회복지조사의 목적 / 180
2. 사회복지조사의 유형 / 182
3. 사회복지조사의 범위 / 184
4. 사회복지조사의 역사 / 185
5. 사회복지조사의 절차 / 186
제12장 사회복지법 / 189
1. 사회복지법의 형성 / 189
2. 사회복지법의 개념 / 190
3. 다른 나라의 사회복지법 체계 / 191
4. 우리나라의 사회복지법 체계 / 192
5. 노동조합의 의의 / 194
제3편 사회복지분야론
제13장 아동복지 / 199
1. 아동복지의 개념 / 199
2. 아동복지의 이념 / 200
3. 아동복지서비스의 유형 / 203
4. 아동복지의 원칙 / 204
5. 아동복지의 과제와 전망 / 206
제14장 청소년 복지 / 207
1. 청소년 복지의 개념 / 207
2. 청소년 복지의 특성 / 209
3. 청소년 문제 / 210
4. 청소년 복지의 과제와 전망 / 211
제15장 노인복지 / 212
1. 노인복지의 개념 / 212
2. 노인복지의 기능 / 213
3. 노인복지의 원칙 / 214
4. 노인복지의 접근 방향 / 216
5. 노인복지의 과제와 전망 / 217
제16장 가족복지 / 219
1. 가족복지의 개념 / 219
2. 가족복지의 기능 / 221
3. 가족복지의 프로그램 / 224
4. 가족치료의 모델 / 225
5. 한국 가족복지의 과제와 전망 / 227
제17장 여성복지 / 228
1. 여성복지의 개념 / 228
2. 여성복지 정책 / 229
3. 여성복지 서비스의 유형 / 230
4. 여성복지 서비스의 원칙 / 231
5. 여성복지의 과제와 전망 / 233
제18장 장애인 복지 / 235
1. 장애인 복지의 개념 / 235
2. 장애인 복지의 이념 / 237
3. 장애인의 재활 / 238
4. 장애인의 유형 / 240
5. 장애인 복지의 과제와 전망 / 244
제19장 교정복지 / 246
1. 교정복지의 개념 / 246
2. 교정복지의 기능 / 247
3. 교정복지 처우 모델 / 248
4. 교정복지의 과제와 전망 / 249
제20장 의료사회복지 / 250
1. 의료사회사업의 개념 / 250
2. 의료사회사업의 기능과 역할 / 251
3. 의료사회사업의 실천 영역 / 254
4. 의료사회사업의 과제와 전망/ 255
제21장 정신보건사회복지 / 256
1. 정신보건사회복지의 개념 / 256
2. 정신보건사회복지의 기능 / 257
3.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역할 / 258
4. 정신보건사회복지의 과제와 전망 / 259
제22장 학교사회복지 / 261
1. 학교사회복지의 개념 / 261
2. 학교사회복지의 기능 / 262
3. 학교사회복지의 실천모델 / 264
4. 학교사회복지의 과제와 전망 / 265
제23장 자원봉사론 / 266
1. 자원봉사의 개념 / 266
2. 자원봉사활동의 특성 / 267
3. 자원봉사활동의 기능 / 268
4. 자원봉사의 과제와 전망 / 269
제24장 재가복지 / 271
1. 재가복지의 개념 / 271
2. 재가복지서비스의 종류 / 272
3. 재가복지사업의 원칙 / 273
4. 재가복지의 과제와 전망 / 274
제25장 정보복지 / 276
1. 정보복지의 개념 / 276
2. 정보복지의 과제와 전망 / 277
제4편 복지국가와 사회복지의 과제와 전망
제26장 다문화 사회복지 / 281
1. 다문화 사회복지의 개념 / 281
2. 다문화 가족의 실태 / 282
3. 다문화 사회의 제도 / 284
4. 다문화 사회복지의 과제와 전망 / 286
제27장 복지국가와 복지사회 전망 / 287
1. 복지국가의 개념 / 287
2. 복지사회의 개념 / 288
3. 사회변화와 사회복지 / 289
4. 사회변화와 과제 / 290
5. 사회복지의 전망 / 291
제28장 북한의 사회 환경 / 293
1. 한민족의 전통과 민족의식 / 293
2. 한민족의 분단 과정 / 295
3. 북한의 도시 분포 / 298
4. 향후 전망 / 301
5. 시사점 / 302
참고문헌 / 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