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세계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88947541671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16-12-16
책 소개
목차
머리말_ 브렉시트, 어떻게 대비할 것인가
1장 왜 영국은 브렉시트를 선택했나
1 브렉시트의 시작
2 잔류와 탈퇴, 치열한 논쟁들
3 언론의 편파적 보도
4 국민투표로 드러난 계층 갈등
5 정체성 위기, 영국인은 유럽인인가?
6 도화선이 된 유럽 난민 사태
2장 브렉시트가 가져온 거대한 파장
1 영국 경제의 침체
2 새로운 내각과 리스본 조약 50조
3 영국의 국제 관계 변화와 갈등
4 유럽 통합의 미래는?
3장 유럽 통합의 종말, 그리고 세계는…
1 영국의 선택
2 브렉시트가 국제 정세에 미칠 영향
3 중국과 러시아의 전략
4 브렉시트의 향방, 5가지 시나리오
5 아직 끝나지 않은 유럽 통합의 위기
4장 브렉시트의 위기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1 한국에 미칠 장·단기적 영향
2 중국과 일본의 대응 전략
3 외환 포트폴리오 전략
4 총체적 쇄신 전략이 필요하다
부록_ 유로화, 금본위제가 될 것인가
브렉시트 관련한 명사들의 어록
참고 문헌
주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EU에 남느냐 아니면 나오느냐는 영국의 미래가 걸린 중요한 선택이다. 금융 위기 이후 또 다른 위기의 태풍이 올 가능성을 염두에 둔다면, EU라는 커다란 배에 승선해 있는 것이 작은 돛단배보다는 안전하다. 다시 말해, 영국의 운명적 결정은 ‘비탄의 아웃사이더’를 택하는 것보다 ‘천대받는 인사이더’로 남는 것이 현명해 보인다.
브렉시트 찬성 진영의 EU 탈퇴 이유는 간략하고 분명하게 두 가지다. 우선 이민자를 줄이자는 것과 영국이 EU의 불합리한 관료주의에서 벗어나자는 것이다. 반면 브렉시트 반대 진영은 EU 탈퇴에 따른 경제적 손실에 대한 정확한 수치조차 내놓지 못했다. 그저 현상 유지를 원한다고 할 뿐 EU 잔류 이유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