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이론/경제사상
· ISBN : 9788949714349
· 쪽수 : 583쪽
· 출판일 : 2016-09-09
책 소개
목차
머리글…11
인구론 요지…13
제1편 후진 문명 지역에 나타난 인구 억제 요인
1. 인구론의 주요 내용…19
2. 인구 억제 요인과 그 작용…25
3. 야만사회 경우…31
4. 아메리칸인디언 경우…37
5. 미크로네시아군도 인구 억제에 관하여…52
6. 고대 북유럽 경우…66
7. 근대 유목국가 경우…81
8. 아프리카 경우…94
9. 시베리아 남・북부 경우…106
10. 터키・페르시아 경우…114
11. 남아시아・티베트 경우…120
12. 중국・일본 경우…129
13. 그리스 경우…142
14. 로마 경우…149
제2편 근대 유럽에 나타난 인구 억제 요인
1. 노르웨이 경우…159
2. 스웨덴 경우…169
3. 러시아 경우…181
4. 중부 유럽 경우…194
5. 스위스 경우…203
6. 프랑스 경우 ⑴…216
7. 프랑스 경우 ⑵…224
8. 영국 경우 ⑴…231
9. 영국 경우 ⑵…245
10. 스코틀랜드・아일랜드 경우…259
11. 결혼과 출산력…271
12. 호적부의 출생・사망・혼인에 유행병이 미치는 영향…286
13. 앞서 말한 사회관에서 비롯된 일반적 추론…295
제3편 인구 원리에 기인하는 해악 제거를 위해 제안 또는 실시된 여러
제도와 그 대책에 대하여
1. 평등 제도 ⑴…309
2. 평등 제도 ⑵…321
3. 평등 제도 ⑶…333
4. 이주…340
5. 구빈법 ⑴…348
6. 구빈법 ⑵…358
7. 구빈법 ⑶…367
8. 농업 제도…379
9. 상업 제도…387
10. 농・상 병행 제도…394
11. 곡물법 ⑴…403
12. 곡물법 ⑵…416
13. 부의 증가가 빈민 생활에 미치는 영향…429
14. 일반적 관찰…439
제4편 인구 원리로 나타나는 해악 제거 또는 완화에 대한 미래 전망
1. 도덕적 억제와 이를 실천해야 할 의무…455
2. 도덕적 억제 시행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464
3. 빈민 생활 개선 방안…472
4. 앞서 제시한 빈곤 해결 방안에 제기될 수 있는 반론들…478
5. 반대 방식을 따름으로써 나타날 결과…482
6. 빈곤의 주원인에 대한 인식이 시민적 자유에 미치는 영향 ⑴…489
7. 빈곤의 주원인에 대한 인식이 시민적 자유에 미치는 영향 ⑵…499
8. 구빈법의 점진적 폐지…503
9. 인구에 관한 잘못된 통설을 바로잡는 방법…513
10. 자선의 기준…518
11. 빈민 생활 개선을 위한 여러 계획들 ⑴…525
12. 빈민 생활 개선을 위한 여러 계획들 ⑵…536
13. 일반 원칙의 필요성…546
14. 미래사회 발전에 대한 합리적인 전망…556
맬서스의 생애와 사상
맬서스와 인구론…565
맬서스 연보…582
리뷰
책속에서
자연은 생명의 종자를 아낌없이 뿌려댔지만, 그들을 양육하는 데 필요한 장소와 영양분을 공급해 주는 일에는 비교적 인색했다. 지구가 품고 있는 생명의 싹이 자유로이 자라날 수만 있다면 몇천 년도 지나지 않아 수백만 개의 지구를 채울 수 있을 만큼 증가할 것이다. 그러나 만물을 지배하는 자연법칙이 그들의 성장을 일정 범위 내로 제한한다. 모든 동식물은 이 위대한 자연의 법칙을 따를 수밖에 없다. 인류 역시 어떠한 이성적 노력으로도 이런 한계를 벗어날 수 없다.
야만사회가 문명사회보다 우월한 부분이 있다면 바로 주민이 훨씬 더 많은 여가를 누린다는 점이다. 그곳에는 해야 할 일이 별로 없으므로 힘든 일도 많지 않다. 문명사회 하층민들이 끊임없이 고역에 시달려야 한다는 사실을 생각해 보면 이는 분명 큰 이점이다. 그러나 그와 같은 유리한 점은 훨씬 더 큰 결점에 의해 상쇄된다. 생존자원을 획득하는 데 그리 큰 어려움이 없는 이들 여러 지방에서는 지극히 폭력적인 계급 차별이 널리 퍼져 있다. 재산 침해는 당연시되며, 하층계급은 문명사회에서보다 훨씬 더 심한 천대를 받는다. 고도의 평등이 행해지고 있는 것처럼 보이나 식량 확보의 어려움과 끊임없는 전쟁 등의 고난에 시달린다는 점을 생각하면 그들의 생활은 다만 상대적으로 분배가 균등하게 이루어진다는 것뿐이지 문명사회 하층민들의 힘겨운 생활에 비해 전혀 나을 것이 없다.
어느 나라에서든 하층민들의 행불행 또는 빈곤의 정도는 바로 이와 같은 자원의 양에 따라 결정된다. 그리고 이렇게 결정된 행불행과 빈곤의 정도에 따라 인구는 증가, 정체, 또는 감소하게 된다.
요컨대 인간이 상상할 수 있는 가장 아름다운 형태로 쌓아 올린 사회―즉 이기심보다는 이타심을 그 활동 원리로 삼고, 권력 대신에 이성으로써 그 사회 성원의 모든 악성을 교정하고자 하는 사회―도 결국 극히 짧은 시일 내에 어떤 인위적인 여러 제도의 결함으로부터가 아니라 불가피한 자연법칙에 따라서 지금 우리들이 살아가고 있는 사회와 본질적으로 크게 차이가 없는 사회로 변질되고 말 것이다. 이기심에 따라 움직이는, 소유자계급과 노동자계급으로 쪼개진 오늘날의 사회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