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규범적 과제로서 기능적 분화

규범적 과제로서 기능적 분화

고봉진 (지은이)
경인문화사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3,750원 -5% 0원
750원
23,000원 >
22,500원 -10% 2,500원
0원
25,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9개 21,5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규범적 과제로서 기능적 분화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규범적 과제로서 기능적 분화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법학계열 > 법학일반
· ISBN : 9788949966571
· 쪽수 : 384쪽
· 출판일 : 2022-09-15

책 소개

‘기능적 분화’를 ‘규범적 개념/규범적 과제’로 다뤘다. 사회 문제를 해결함에 있어 현대 사회에서는 어떤 해결책도 ‘기능적 분화’를 도외시할 수 없으며, ‘기능적 분화’를 사실적 개념을 넘어 규범적 개념으로 설정해 해결책을 제시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목차

머리말

제1부 분업과 기능적 분화
제1장 분업의 유기적 연대?

Ⅰ. 뒤르켐의 ‘사회분업론’
Ⅱ. 분업의 병리학
제2장 유기체의 사회로의 유추?
Ⅰ. 유기체의 사회로의 유추
Ⅱ. 사회와 유기체의 ‘본질적인’ 차이
제3장 분업과 기능적 분화
Ⅰ. 콩트와 스펜서의 ‘분화론’
Ⅱ. 짐멜의 ‘기능적 분화론’
Ⅲ. ‘분업’에서 ‘기능적 분화’로

제2부 자본주의와 기능적 분화
제4장 ‘자본주의의 총체성’과 ‘사회체계의 기능적 분화’

Ⅰ. 자본주의의 총체성(總體性)
Ⅱ. 사회체계의 기능적 분화

제5장 계층화와 기능적 분화
Ⅰ. 문제 제기
Ⅱ. 사회분화는 어떻게 진행되었는가?
Ⅲ. 사회이론의 모색
제6장 자기준거적 체계로서 복지체계
Ⅰ. 체계의 자기준거와 구조적 연결
Ⅱ. 자기준거적 체계로서 복지체계
제7장 다원주의와 기능적 분화
Ⅰ. 현대 사회의 특징
Ⅱ. 사회체계의 기능적 분화
Ⅲ. 다원주의의 흐름
Ⅳ. 규범적 과제로서 ‘기능적 분화’
Ⅴ. 현실적인 이론 구성

제3부 기능적 분화와 공리
제8장 공화주의 이론의 명암

Ⅰ. 공화주의의 핵심 주장
Ⅱ. 공화주의는 현대 사회에서 실현 가능한가?
Ⅲ. 공공 시스템과 정치
제9장 자유와 공리의 연합
Ⅰ. 자유주의의 명암(明暗)
Ⅱ. 공리주의 돌아보기 - 功利主義인가 公利主義인가?
제10장 공리와 제도
Ⅰ. 제도 공리주의
Ⅱ. 고통 제거와 쾌락 증진
Ⅲ. 구체적인 문제들
Ⅳ. 사회적 시장경제
제11장 공리와 기능적 분화
Ⅰ. 공리를 실현하는 사회제도 구축
Ⅱ. 공리와 기능적 분화
Ⅲ. 시장의 영역, 공리의 영역
Ⅳ. 공리의 힘
Ⅴ. 공리와 사회권적 기본권
Ⅵ. 사회 기능체계의 ‘토대’로서 공리
Ⅶ. 공리와 공감




제4부 정치철학적 조망
제12장 공공시스템과 자유

Ⅰ. 완전주의적 자유주의
Ⅱ. 자유주의와 완전주의의 양립 가능성
Ⅲ. 복지체계와 공공시스템 구축에 완전주의적 시각이 필요하다
Ⅳ. 자유와 공공시스템
제13장 분배 정의
Ⅰ. 루소의 문제 제기
Ⅱ. ‘공유’와 ‘노동가치’
Ⅲ. 공유의 실효성 제고
Ⅳ. 분배에서의 정의(正義)
제14장 건강한 사회
Ⅰ. 사회의 유기체 ‘비유’
Ⅱ. 건강과 유기체 간의 공존
Ⅲ. 규범적 과제로서 ‘체계 분화’
Ⅳ. ‘도외시된 사람들’을 위한 기능체계의 발전
제15장 기능적 분화와 사회 연대
Ⅰ. 분업과 기능적 분화
Ⅱ. 루만의 기능적 분화론
Ⅲ. 신분사회에서 자본주의로의 변화
Ⅳ. 규범적 과제로서 기능적 분화
Ⅴ. 사회적 연대의 가능성과 한계 - 현대 사회에서 공감은 어느 정도 영향력이 있는가?

보론: 인권과 인정투쟁
Ⅰ. 근본이익과 인권
Ⅱ. 정체성, 인권, 인정투쟁

각 장의 출처
참고문헌

저자소개

고봉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독일 Goethe-Universitat Frankfurt (Dr. jur.) 독일 IMGB(의료법·보건법·생명윤리 연구소) 방문연구원 미국 UCSD(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visiting scholar 제주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원장(현) 제주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현) (법철학, 법사회학 전공) 주요 저서 Menschenwurde und Biostrafrecht bei der embryonalen Stammzellenforschung (Frankfurter kriminalwissenschaftliche Studien 108, 2008) BT·생명윤리와 법 (한국학술정보, 2013) 판례 법학방법론 (한국학술정보, 2013) 생명윤리법론 (박영사, 2014, 4인 공저) 법사상사 소고 (한국학술정보, 2014) 현대 법사상사 소고 (피엔씨미디어, 2016) 법철학강의 (제주대학교 출판부, 2016) 주요 논문 상호승인의 결과로서 인간존엄, 법철학연구 제10권 제2호, 2007 생명윤리에서 인간존엄‘개념’의 총체성, 법철학연구 제11권 제1호, 2008 자기준거적 체계로서 복지체계: 예비적 고찰, 법철학연구 제12권 제1호, 2009 연명치료중단에서 이익형량의 구조와 내용, 법철학연구 제13권 제2호, 2010 현대 인권론에서 ‘정체성’의 의미: 차이, 정체성, 인권, 법철학연구 제14권 제1호, 2011 재분배, 사회권, 인정, 법철학연구 제15권 제3호, 2012 형법 제304조 규범심사: 해악, 법적 후견, 자기결정권, 법철학연구 제16권 제1호, 2013 ‘자본주의의 총체성’과 ‘사회체계의 기능적 분화’, 법철학연구 제17권 제1호, 2014 신, 국가, 근본규범에 나타난 ‘규범정립적 권위’, 법철학연구 제18권 제1호, 2015 자유주의적 관용의 역사적 전개와 그 한계, 법철학연구 제19권 제2호, 2016 계층화와 기능적 분화, 법철학연구 제20권 제2호, 2017 분업의 병리학, 법철학연구 제21권 제2호, 2018 분업과 기능적 분화, 법과 사회 제62호, 2019 국제적 법치주의의 가능성과 한계, 법철학연구 제23권 제2호, 2020 제도공리주의, 법철학연구 제24권 제3호, 2021 기능적 분화와 사회 연대, 법철학연구 제25권 제1호, 2022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