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생명 윤리법론

생명 윤리법론

고봉진, 김현철 (지은이)
박영사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000원 -0% 0원
600원
19,400원 >
20,000원 -0% 0원
0원
20,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4개 18,8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0,000원 -10% 1000원 17,000원 >

책 이미지

생명 윤리법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생명 윤리법론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법학계열 > 기타 법률/법규
· ISBN : 9791130325774
· 쪽수 : 281쪽
· 출판일 : 2014-06-27

목차

제1장 생명윤리법이란 무엇인가
Ⅰ. 개요
1. 생명윤리란 무엇인가?
2. 생명윤리에 대한 법적 접근
3. 생명윤리법의 개념과 특징
Ⅱ. 판례 및 사례
1. 서울고등법원 2009. 2. 10. 선고 2008나116869 판결
2. 헌법재판소 2010. 5. 27. 2005헌마346 결정
Ⅲ. 분석
1. 무의미한 연명치료장치 제거
2. 생명윤리안전법 제13조 제1항 등 위헌확인
Ⅳ. 연습문제
Ⅴ. 토론과제
Ⅵ. 읽을거리

제2장 초기배아의 헌법적 지위
Ⅰ. 개요
1. 초기배아의 인간존엄?
2. 초기배아의 생명권?
3. 초기배아의 헌법적 지위와 자녀배아연구와의 관련성
Ⅱ. 판례 및 사례
1. 헌법재판소 2008. 7. 31. 2004헌바81 결정
2. 헌법재판소 2010.5. 27. 2005헌마346 결정
Ⅲ. 분석
1. 헌법재판소 2008. 7. 31. 2004헌바81 결정
2. 헌법재판소 2010.5. 27. 2005헌마346 결정
Ⅳ. 연습문제
Ⅴ. 토론과제
Ⅵ. 읽을거리

제3장 생식세포, 배아 및 보조생식술
Ⅰ. 개요
1. 붙임치료와 보조생식술의 법적 문제
2. 체와 수정 배아의 생성과 관리
3. 생식세포의 기증
Ⅱ. 판례 및 사례
1. 서울중아지법 2006. 6. 28. 선고 2005가합107720 판결
Ⅲ. 분석
Ⅳ. 연습문제
Ⅴ. 토론과제
Ⅵ. 읽을거리

제4장 부(父)와 모(母)의 결정
Ⅰ. 개요
1. 친자 관계에 대한 보조생식술의 함의
2. 전통적인 친자법의 내용
3. 보조생식술의 발전과 대리모 계약의 유형
4. 법적인 모(母)의 결정 문제
5. 법적인 부(父)의 결정 문제
Ⅱ. 판례 및 사례
1. 대법원 1983. 7. 12. 선고 82므59 판결(전합)
2. 대구지방법원 2007. 8. 23. 선고 2006드단22397 판결
Ⅲ. 분석
1. 부(父)와 모(母)의 결정과 혈연관계
Ⅳ. 연습문제
Ⅴ. 토론과제
Ⅵ. 읽을거리

제5장 배아줄기세포 연구
Ⅰ. 개요
1. 잔여배아를 이용한 연구
2. 체세포복제배아 및 단성생식배아를 이용한 연구
3. 인간복제 금지 및 이종 간의 착상 등 금지
4. 배아줄기세포주를 이용한 연구
Ⅱ. 판례 및 사례
1.헌법재판소 2010. 5. 27. 2005헌마346 결정
Ⅲ. 분석
1. 적법요건에 대한 판단
2. 본안에 대한 판단
Ⅳ. 연습문제
Ⅴ. 토론과제
Ⅵ. 읽을거리

제6장 낙태
Ⅰ. 개요
1. 낙태의 3가지 정당화모델
2. 우리나라 낙태 규율 및 현실
Ⅱ. 판례 및 사례
1. 대법원 1985. 6. 11. 선고 84도1958 판결
2. 대법원 2007. 6. 29. 선고 2005도3832 판결
3. 헌법재판소 2008. 7. 31 2004헌마1010, 2005헌바90 결정(병합)
4. 대법원 1999. 6. 11. 선고 98다22857 판결
5. 서울서부지법 2006. 12. 6. 선고 2005가합4819 판결
6. 대법원 2002. 3. 29. 선고 2000다61947 판결
7. 헌법재판소 2012. 8. 23. 2010헌바402 결정
Ⅲ. 분석
1. 대법원 1985. 6. 11. 선고 84도1958 판결
2. 대법원 2007. 6. 29. 선고 2005도3832 판결
3. 헌법재판소 2008. 7. 31 2004헌마1010, 2005헌바90 결정(병합)
4. 원치 않은 생명과 원치 않은 출생
Ⅳ. 연습문제
Ⅴ. 토론과제
Ⅵ. 읽을거리

제7장 유전자 검사 및 치료
Ⅰ. 개요
1. 유전자 시대의 도래
2. 유전자 조작에 대한 우려
3. 유전자 검사 관련 법적 규제
4. 유전자치료 관련 법적 규제
5. 검사대상물의 이차적 사용 및 인체유래물은행
6. 주요 법적 쟁점
Ⅱ. 판례 및 사례
1. 미국 N사의 한국 내 유전자검사 서비스사업
Ⅲ. 분석
1. 미국 N사의 한국 내 유전자검사 서비스사업 관련 쟁점 분석
Ⅳ. 연습문제
Ⅴ. 토론과제
Ⅵ. 읽을거리

제8장 인간대상연구 및 인체유래물연구
Ⅰ. 개요
1. 인간대상연구와 인간존엄의 가치
2. 인간대상연구 및 인체유래물연구의 정의
3. 자율성 존중과 충분한 정보에 의한 동의
4. 동의 면제
5. 개인정보보호와 동의 철회에 따른 조치
6. 인체유래물연구 관련 법적 규제
Ⅱ. 판례 및 사례
1. 검사대상물의 이차적 사용 또는 양도
2. 대법원 2010. 10. 14. 선고 2007다3162 판결
Ⅲ. 분석
1. 검사대상물의 이차적 사용 또는 양도
2. 대법원 2010. 10. 14. 선고 2007다3162 판결
Ⅳ. 연습문제
Ⅴ. 토론과제
Ⅵ. 읽을거리

제9장 동물실험
Ⅰ. 개요
1. 동물실험 종정체성
2. 3R 원칙과 실험동물의 처우
3. 이종이식
Ⅱ. 판례 및 사례
1. 대법원 2006. 6. 2. 선고 2004마1148, 1149 결정
2. 부산고등법원 2004. 11. 29. 선고 2004라41,2004라42(병합)
Ⅲ. 분석
Ⅳ. 연습문제
Ⅴ. 토론과제
Ⅵ. 읽을거리

제10장 죽음의 기준과 장기의식
Ⅰ. 개요
1. 죽음의 개념과 기준
2. 「장기등 이식에 관한 법률」과 이식 관련 법률들
3. 장기이식 동의 및 동의권자: 장기기증자와 장기기증희망자의 구분
4. 뇌사 판정 절차
5. 장기적출의 동의 문제
6. 장기 기증의 제한 및 지정 기증
7. 법적 쟁점: 한국에서의 죽음의 법적 기준
Ⅱ. 판례 및 사례
1. 부산지방법원 2010. 10. 15. 선고 2010고합511 판결
Ⅲ. 분석
1. 피고인의 행위와 사망이란 결과 사이의 인과관계
2. 뇌사의 경우, 사망 시점 문제
3. 뇌사자 장기이식이 경우 죽음의 법적 기준
Ⅳ. 연습문제
Ⅴ. 토론과제
Ⅵ. 읽을거리

제11장 무의미한 연명치료의 중단
Ⅰ. 개요
1. 생의 마감에 대한 결정 논란
2. 윤리적 딜레마와 법적 실용성
3. 카렌 퀸란 사건
4. 낸시 크루잔 사건
5. 김할머니 사건
6. 사회적 파장과 남겨진 문제들
Ⅱ. 판례 및 사례
1. 대법원 2009. 5. 21. 선고 2009다17417 판결(전합)
Ⅲ. 분석
1. 연명치료 중단의 허용기준에 내재된 논리
Ⅳ. 연습문제
Ⅴ. 토론과제
Ⅵ. 읽을거리

제12장 안락사 및 의사조력자살
Ⅰ. 개요
1. 무의미한 연명치료의 중단과 안락사
2. 의사조력자살과 안락사
3. 안락사의 전통적인 유형 분류
4. 존엄사와 안락사
Ⅱ. 판례 및 사례
1. 대법원 2004. 6. 24. 선고 2002도995 판결
Ⅲ. 분석
1. 안락사와 의학적 충고에 반한 퇴원
Ⅳ. 연습문제
Ⅴ. 토론과제
Ⅵ. 읽을거리

제13장 인간존엄과 인권
Ⅰ. 개요
1. 생명윤리법의 의의와 관제
2. 생명윤리법이 추구하는 가치
Ⅱ. 판례 및 사례
1. 대법원 1985. 6. 11. 선고 84도1958 판결
2. 대법원 2009. 5. 21. 선고 2009다17417 전원합의체 판결
3. 헌법재판소 2010. 5. 27. 2005헌마346 생명윤리안전법
제13조 제1항 등 위헌확인
4. 서울행법 2010. 7. 22. 선고 2006구합40369 판결【파면처분취소】항소
Ⅲ. 분석
Ⅳ. 연습문제
Ⅴ. 토론과제
Ⅵ. 읽을거리

부록: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찾아보기

저자소개

고봉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독일 Goethe-Universitat Frankfurt (Dr. jur.) 독일 IMGB(의료법·보건법·생명윤리 연구소) 방문연구원 미국 UCSD(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visiting scholar 제주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원장(현) 제주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현) (법철학, 법사회학 전공) 주요 저서 Menschenwurde und Biostrafrecht bei der embryonalen Stammzellenforschung (Frankfurter kriminalwissenschaftliche Studien 108, 2008) BT·생명윤리와 법 (한국학술정보, 2013) 판례 법학방법론 (한국학술정보, 2013) 생명윤리법론 (박영사, 2014, 4인 공저) 법사상사 소고 (한국학술정보, 2014) 현대 법사상사 소고 (피엔씨미디어, 2016) 법철학강의 (제주대학교 출판부, 2016) 주요 논문 상호승인의 결과로서 인간존엄, 법철학연구 제10권 제2호, 2007 생명윤리에서 인간존엄‘개념’의 총체성, 법철학연구 제11권 제1호, 2008 자기준거적 체계로서 복지체계: 예비적 고찰, 법철학연구 제12권 제1호, 2009 연명치료중단에서 이익형량의 구조와 내용, 법철학연구 제13권 제2호, 2010 현대 인권론에서 ‘정체성’의 의미: 차이, 정체성, 인권, 법철학연구 제14권 제1호, 2011 재분배, 사회권, 인정, 법철학연구 제15권 제3호, 2012 형법 제304조 규범심사: 해악, 법적 후견, 자기결정권, 법철학연구 제16권 제1호, 2013 ‘자본주의의 총체성’과 ‘사회체계의 기능적 분화’, 법철학연구 제17권 제1호, 2014 신, 국가, 근본규범에 나타난 ‘규범정립적 권위’, 법철학연구 제18권 제1호, 2015 자유주의적 관용의 역사적 전개와 그 한계, 법철학연구 제19권 제2호, 2016 계층화와 기능적 분화, 법철학연구 제20권 제2호, 2017 분업의 병리학, 법철학연구 제21권 제2호, 2018 분업과 기능적 분화, 법과 사회 제62호, 2019 국제적 법치주의의 가능성과 한계, 법철학연구 제23권 제2호, 2020 제도공리주의, 법철학연구 제24권 제3호, 2021 기능적 분화와 사회 연대, 법철학연구 제25권 제1호, 2022
펼치기
김현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303533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