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첨단 소재이야기 33가지

첨단 소재이야기 33가지

(초등학생이 꼭 알아야 할)

최정미 (지은이), 박중호 (그림)
을파소
9,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8,820원 -10% 2,500원
490원
10,830원 >
8,820원 -10% 2,500원
0원
11,32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9개 5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7,840원 -10% 390원 6,660원 >

책 이미지

첨단 소재이야기 33가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첨단 소재이야기 33가지 (초등학생이 꼭 알아야 할)
· 분류 : 국내도서 > 어린이 > 동화/명작/고전 > 학습동화
· ISBN : 9788950922597
· 쪽수 : 125쪽
· 출판일 : 2010-03-30

책 소개

을파소 삼삼시리즈 26권. 청동기 시대의 구리에서부터 오늘날의 신소재에 이르기까지 세상을 새롭게 바꿔 온 첨단 소재의 역사를 다룬 책이다. 펼쳐지는 첨단 소재들의 엎치락뒤치락 대결 이야기는 어린이들이 주위의 물질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한다.

목차

머리말

Ⅰ. 금속과 합금
01. 구리는 어떻게 쓰이고 있을까?
02. 역사 속에서 철은 어떤 역할을 했을까?
03. 마법의 강철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04. 녹슬지 않는 철도 있을까?
05. 세계를 누비는 철의 모습은?
06. 알루미늄이 늦게 등장한 이유는?
07. 알루미늄이 이길까, 철이 이길까?
08. 원래 모습을 기억하는 금속이 있을까?

Ⅱ. 놀라운 세라믹의 쓰임
09. 세라믹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10. 세라믹으로 만든 그릇이 좋은 이유는?
11. 흙으로 빚은 과학과 예술의 모습은?
12. 파인 세라믹은 어떤 변신을 하고 있을까?
13. 우주 왕복선에 세라믹이 왜 필요할까?

Ⅲ. 반도체의 재료
14. 반도체는 어떻게 세상에 나왔을까?
15. 반도체란 무엇일까?
16. 반도체를 왜 칩이라고 할까?
17. 반도체는 어떻게 발전해 왔을까?
18. 반도체가 빛을 낼 수 있을까?

Ⅳ. 고분자 물질들
19. 섬유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20. 나일론이 폭발적인 인기를 얻은 이유는?
21. 강철보다 강한 섬유가 있을까?
22. 고무가 없다면 어떻게 될까?
23. 플라스틱은 어떻게 생겨났을까?
24. PVC가 해로운 이유는?
25. 가장 많이 쓰이는 플라스틱은?
26. PET가 음료수병으로 쓰이는 이유는?
27. 플라스틱의 변신은 어디까지일까?
28. 플라스틱에도 전기가 흐를 수 있을까?
29. 플라스틱을 썩게 할 수 있을까?

Ⅴ. 새로운 재료의 등장
30. 자석을 공중에 띄우는 물질은?
31. 축구공처럼 생긴 탄소 물질도 있을까?
32. 탄소나노튜브가 각광받는 이유는?
33. 미래의 소재, 복합 소재란 무엇일까?

찾아보기
관련 교과

저자소개

최정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미생물학과를 졸업하고, 오랫동안 아인투 과학실험교실을 운영하였습니다. 『초등학생이 꼭 알아야 할 삼삼 시리즈』 기획에 참여하였으며, 『주니어 지식채널 e』 제작에도 참여하였습니다. 『비법 중학과학』을 집필 중이며, 학부모들을 위한 창의성 교육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펼치기
박중호 (그림)    정보 더보기
동아.LG국제만화페스티벌에서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날>(1997)과 <여섯 번째 손가락 이야기>(2000)로 상을 받았습니다. 그린 책으로는 『80일간의 세계일주』, 『도전 골든벨』, 『초등국어 개념사전』, 『이이화 선생님이 들려주는 한국사』, 『바로보는 세계사』 등이 있습니다.
펼치기

책속에서



아빠가 갑자기 묵직한 보따리를 풀어 놓으셨어. 내일 외국으로 출장을 가시는데 선물로 갖고 갈 것들이래.
"무슨 선물이 징과 꽹과리예요? 좀 더 좋은 걸로 하지."
"이 방짜유기는 세계 유일의 합금 기술로 만들어진 거란다."
방짜유기는 유기 중에서 가장 질이 좋은 유기야. 구리와 주석을 78 대 22의 비율로 섞고 거푸집에 부어 식힌 다음, 달구어 가면서 두들겨 만든대. 과정이 까다롭기도 하지만, 구리와 주석을 78 대 22의 비율로 합금하는 기술은 우리나라에서만 할 수 있는 기술이래. 보통 합금을 할 때 주석의 양이 10퍼센트가 넘으면 잘 깨지기 때문에 그보다 적게 넣는다고 하거든.
게다가 방짜유기는 독성이 없어서 주로 그릇을 만드는 데 쓰이지만, 징과 꽹과리로 만들면 울림이 아주 일품이지. 그래서 우리 조상들은 밥그릇, 수저, 대야, 요강, 징과 꽹과리 등 유기를 폭넓게 사용했어. 하지만 일제 강점기 때 일본이 무기를 만들기 위해 죄다 빼앗아 가 버렸대.
그러다가 광복 후에 연탄을 쓰면서 연탄가스에 놋그릇이 빨갛게 색이 변하자 유기를 간수하기가 힘들어졌어. 때마침 쓰기 편한 스테인리스 그릇이 들어오면서 유기는 점점 사라지게 되었지.
그런데 방짜유기가 다시 주목을 받고 있어. 대장균 중 가장 강력한 병원성 세균인 O-157균 때문에 세상이 떠들썩했는데, 방짜유기가 이 균을 살균한다는 거야! 그래서 '생명의 그릇'으로 불리게 되었지. 우리 조상들이 남긴 그릇 속에 이런 과학이 숨어 있었다니, 새삼 놀랍지?


철은 매년 약 20퍼센트가 녹이 슬어 버려진다고 해. 그래서 알루미늄이 철에게 맨 먼저 도전장을 낸 곳이 있어. 어디냐고? 바로 물과 습기가 많은 부엌이야. 녹이 안 스는 알루미늄은 철을 따돌리고 세계 주방 기구의 반을 차지하고 있어. 게다가 적은 열로도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고, 열을 쉽게 빼앗기지 않아서 에너지도 절약할 수 있지.
그런데 알루미늄이 가장 큰 활약을 하는 곳은 바로 하늘 위야. 비행기의 소재로 말이야. 하늘을 나는 비행기는 가벼운 소재를 써야 하기 때문에 처음엔 나무로 만들었어. 1903년 라이트 형제가 처음으로 동력 비행에 성공했을 때, 알루미늄은 비행기 엔진에만 쓰였지.
하지만 알루미늄에 구리와 마그네슘을 섞어 만든 '두랄루민'이 개발되자, 알루미늄은 비행기의 주요 소재로 쓰이기 시작했어. 두랄루민은 가벼우면서도 아주 단단해서 오랫동안 비행기의 소재로 사랑받고 있지.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