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예체능계열 > 음악
· ISBN : 9788952113412
· 쪽수 : 229쪽
· 출판일 : 2012-05-15
책 소개
목차
序
제1장 한국전통음악의 평조와 계면조
1. 『樂學軌範』의 악조이론
2. 『時用鄕樂譜』의 향악곡
3. 『梁琴新譜』의 中大葉
4. 靈山會相
5. 歌曲과 時調
6. 保太平과 定大業
7. 경토리와 수심가토리
8. 메나리토리와 육자백이토리
9. 판소리와 산조
10. 전통음악의 악조: 평조와 계면조
제I편 『樂學軌範』의 악조론
제2장 『樂學軌範』의 鄕樂器 音高
1. 唐樂器 散形의 宮
2. 거문고 律名의 音高
3. 가야금 律名의 音高
4. 향피리 宮의 音高
5. 大쳏의 散形
6. 소결론
제3장 『樂學軌範』의 鄕樂調
1. 향악의 用律
2. 평조와 계면조
3. 향악조의 宮
4. 七調
5. 소결론
제4장 『樂學軌範』의 七指
1. 『樂學軌範』에 나타난 대금의 음고
2. 『樂學軌範』의 거문고 및 가야금 산형
3. 七指이론의 성립배경
4. 『琴合字譜』 이후의 향악조
5. 소결론
제II편 전통음악의 宮과 청
제5장 搖聲과 宮
1. 『遊藝志』 中大葉의 多搖
2. 초수대엽의 요성
3. 영산회상의 요성
4. 시조와 가사의 요성
5. 산조의 요성
6. 민요의 요성
7. 선율적 요성과 구성음적 요성
8. 소결론
제6장 향악곡의 宮과 終止
1. 고악보에서의 宮과 終止
2. 정악의 宮과 終止
3. 민속악의 宮과 終止
4. 소결론
제7장 산조의 기본청과 보조청
1. 가야금 산조의 기본청
2. 거문고 산조의 기본청
3. 해금산조의 기본청
4. 대금산조의 기본청
5. 피리산조의 기본청
6. 아쟁산조의 기본청
7. 소결론
8. 追記
제III편 전통음악의 악조적 특성
제8장 正樂과 民俗樂의 特性
1. 정악과 민속악의 차이점에 대한 기존 說
2. 정악과 민속악의 우조(평조)
3. 정악과 민속악의 계면조
4. 정악의 성립시기
5. 소결론
제9장 민요선법의 악조적 이해
1. 향악조
2. 계면조 계열의 민요
3. 평조 계열의 민요
4. 소결론
부록
THE TONAL SYSTEM OF KOREAN
TRADITIONAL MUSIC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