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우리나라의 기업공시제도

우리나라의 기업공시제도

(공정한 거래와 투명한 정보제공, 개정판)

윤계섭, 허희영 (지은이)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000원 -0% 0원
1,000원
19,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개 18,8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0,000원 -10% 1000원 17,000원 >

책 이미지

우리나라의 기업공시제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우리나라의 기업공시제도 (공정한 거래와 투명한 정보제공, 개정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경제학
· ISBN : 9788952113610
· 쪽수 : 298쪽
· 출판일 : 2012-09-20

책 소개

'서울대학교 경영연구소 기업경영사 연구총서' 6권. 2005년 출간된 책의 개정판. 이번 개정판에서는 기업공시에 대한 주요 내용을 보다 이해하기 쉽도록 일반적인 용어로 설명하고자 노력하였다.

목차

개정판 머리말 ⅴ
머리말 ⅴii

제Ⅰ장 기업공시제도의개요
1. 기업공시란 2
1) 기업공시의 의미 2
2) 기업공시제도의 기능 3
3) 기업공시의 유형 3
4) 기업공시의 요건 6
5) 기업공시의 방법과 매체 7
6) 공시의무사항 9
2. 기업공시제도의 운영체계 12
1) 현행 공시제도의 운영체계 12
2) 전자공시제도의 운영체계 15
3) 증권시장 및 금융감독원의 공동운영체계 20
4) 증권시장의 운영체계 21
5) 기업공시 통제제도 22

제Ⅱ장 주요국의기업공시제도
1. 미국의 기업공시제도 32
1) 발전과정 32
2) 기업공시제도의 개요 38
3) 발행시장의 공시제도 40
4) 유통시장의 공시제도 44
2. 일본의 기업공시제도 59
1) 발전과정 59
2) 기업공시제도의 개요 63
3) 발행시장의 공시제도 64
4) 유통시장의 공시제도 68
3. 영국의 기업공시제도 72
1) 발전과정 73
2) 기업공시제도의 개요 76
3) 발행시장의 공시제도 78
4) 유통시장의 공시제도 79
4. 유럽연합(EU)의 기업공시제도 83
1) 공시제도의 법적 체계 83
2) 발행시장의 공시제도 84
3) 유통시장의 공시제도 85

제Ⅲ장 기업공시에대한법적규제
1. 기업공시에 대한 규제의 의의 87
1) 기업공시규제 88
2) 공시규제와 내용규제 88
2. 기업공시에 대한 규제의 연혁 89
1) 해방 이전의 증권시장 89
2) 증권거래법(證券去來法)의 제정 90
3) 1960년대 개정 91
4) 1970년대 개정 92
5) 1980년대 개정 95
6) 1990년대 개정 96
7) 2000년대 개정 101
3. 기업공시에 대한 규제의 법원(法源) 103
1) 자본시장법 및 관련 법령 104
2) 규정(規定) 107
3) 판례(判例) 108
4. 기업공시 규제체계 108
1) 기획재정부장관 108
2) 금융위원회 및 금융감독원 109
3) 자율규제(自律規制) 110
4) 규제의 법적 체계 111
5. 공시규제위반의 효과 112
1) 증권의 불공정거래와 불성실공시 112
2) 시장별 제재 118

제Ⅳ장 발행시장공시제도
1. 발행시장공시의 개요 128
1) 발행시장의 시장정보 128
2) 발행시장 공시제도의 요건 128
2. 증권의 모집·매출 129
1) 모집·매출의 개념 129
2) 자본시장법상 개념 130
3. 증권 발행인의 등록 131
1) 등록의 개요 131
2) 등록의 절차 133
3) 등록법인의 공시의무 135
4) 등록의 취소 136
4. 증권신고서 137
1) 증권신고제도의 개요 137
2) 증권신고서의 제출 140
3) 특수한 증권신고서제도 147
4) 투자설명서 149
5) 증권 발행실적보고서 153
6) 증권신고서 등의 제출·공시 및 서식 등 153
5. 소액공모공시제도 154
1) 소액공모공시의 의의 및 대상 154
2) 소액공모공시의 주요 내용 154
3) 소액공모공시의 특례 155
6. 안정조작·시장조성신고서 156
1) 안정조작과 시장조성의 의의 156
2) 안정조작·시장조성의 제한 157
3) 안정조작과 시장조성의 공시·신고 159

제Ⅴ장 유통시장공시제도
1. 유통시장 공시제도의 개요 164
1) 유통시장 공시제도의 의의 164
2) 유통시장공시의 유형 164
2. 정기공시제도 165
1) 정기공시제도의 개요 165
2) 사업보고서 등의 작성 167
3) 외국법인 등에 대한 특례 172
4) 사업보고서 등의 제출절차 172
5) 정기공시의 의무화 173
3. 수시공시제도 174
1) 수시공시제도의 의의 174
2) 수시공시의 대상 174
3) 주요사항보고서 185
4) 수시공시의 의무화 186
4. 공정공시제도 188
1) 공정공시제도의 의의 188
2) 공정공시제도의 주요 내용 190

제Ⅵ장 특수공시제도
1. 특수공시제도의 개요 194
1) 특수공시제도의 의의 194
2) 특수공시의 유형 194
2. 합병 등에 관한 공시제도 195
1) 합병 등의 공시제도의 배경과 목적 195
2) 합병신고서제도 196
3) 영업·자산양수도 신고제도 203
4) 분할신고서제도 205
5) 합병신고서제도 등의 의무화 206
3. 자기주식 취득·처분 등의 신고제도 207
1) 자기주식 취득·처분 등 신고제도의 개요 207
2) 자기주식 취득·처분의 제한 209
3) 신탁계약 등을 통한 자사주의 취득 및 처분 212
4) 자기주식 취득·처분신고제도의 의무화 212
4. 주식의 이익소각제도 214
1) 이익소각제도의 개요 214
2) 이익소각 목적의 자기주식 취득기준 215
3) 주요사항보고서 제출 216
4) 이익소각한도 위반에 대한 제재 217
5. 기업지배권변동 공시제도 217
1) 기업지배권변동 공시제도의 개요 217
2) 주식 등의 대량보유·변동 상황의 보고제도(5% 보고) 218
3) 공개매수신고서제도 223
4) 의결권대리행사의 권유제도 230
6. 주식소유현황보고 및 단기매매차익 반환제도 231
1) 제도의 의의 231
2) 임원·주요 주주의 주식소유상황보고 232
3) 단기매매차익의 반환 233

제Ⅶ장 기업공시제도의문제점과개선방안
1. 기업공시제도의 문제점 236
1) 시장별 문제점 236
2) 공시정보 개념의 문제점 242
3) 공시제도 운영상의 문제점 249
4) 공시의무위반의 제재수단 251
2. 개선방안과 시사점 256
1) 발행시장 256
2) 유통시장 258
3) 자율규제의 효율성 제고방안 259
4) IFRS 재무공시정보의 신뢰성 제고방안 260

참고문헌_ 263 찾아보기_ 267
Abstract_ 273 발간사_ 277

저자소개

윤계섭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경영학 박사, 공인회계사 서울이코노미스트클럽 회장 경제인문사회연구회 기획평가위원장 전,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학장 서울대학교 교무처장 한국증권연구원 원장 한국금융학회 회장 한국세무학회 회장 한국증권학회 회장 한국재무학회 회장 논문: 한국증권시장의 효율성 분석 등 저서: 한국증권시장분석론(법문사, 1985) 등
펼치기
허희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항공대학교 항공경영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졸업(경영학 석.박사) 메사추세츠주립대학(Univ.of Massachusetts)객원교수 한국항공대학교 항공.경영대학장/대학원장 한국항공경영학회장 초대회장 동중앙아시아학회 학회장 현재, 항공서비스교육연구회 회장 현재, 한국항공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현재, 한국항공대학교 총장
펼치기

책속에서

제출대상은 사업보고서 제출대상 법인과 동일하며, 제출사유가 발생한 날의 다음날까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금융위원회에 제출해야 한다. 관련법에서 정하고 있는 사항에 대하여 거래소의 수시공시와 동일한 서식을 이용하고, 제출창구를 금융감독원의 전자공시시스템(DART)으로 일원화하여 제출한다.
일단 DART에 제출하면 실시간으로 거래소의 상장공시시스템(KIND)으로 전송되어 공시가 가능해 진다. 따라서 공시하는 회사는 하나의 서식으로 한번 제출함으로써 주요사항보고 및 수시공시 의무를 이행하게 된다. 그러나 중요한 영업 또는 자산을 양수하거나 양도하는 등 확인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서식에 따라 별도로 금융감독원(DART)과 거래소(KIND)에 제출해야 한다.


주식 등의 대량보유상황에 관한 보고의 종류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구분된다. 첫째, 신규보고로서 본인과 그 특별관계자가 보유하는 주권상장법인 주식 등의 합계가 발행주식 등의 총수의 5% 이상이 되는 경우, 보유상황, 보유목적, 보유주식 등에 대한 주요계약내용을 보고하는 것을 말한다. 둘째, 변동보고로서 기존 보고자의 보유주식 등의 보유비율이 발행 주식 등의 총수의 1% 이상 변동한 경우에 당초의 대량보유상황, 보유목적 또는 변동내용을 보고해야 한다. 셋째, 변경보고로서 보유목적, 보유주식 등에 관한 주요 계약내용, 보유형태의 변경이 있는 경우 해당 내용을 각각 보고하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다음의 경우에는 보유비율이 1%를 초과하더라도 변동보고 의무가 면제된다. 단, 이 경우에도 신규보고의무는 면제되지 않는다.
● 보유주식 등의 수가 변동되지 않은 경우/ ● 주주가 가진 주식수에 따라 배정하는 방법으로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로서 그 배정된 주식만을 취득한 경우 / ● 주주의 보유 주식수에 따라 배정받는 신주인수권에 의해 발행된 신주인수권증서를 취득한 것만으로 보유주식 등의 수가 증가한 경우 / ● 자기주식의 취득 또는 처분으로 보유주식 등의 비율이 변동된 경우 / ● 자본감소로 보유주식 등의 비율이 변동된 경우 / ● 신주인수권 등에 따라 발행 또는 교환되는 주식 등의 수가 발행가격 또는 교환가격은 조정만으로 증가된 경우


글로벌 자본시장에서 공시되는 재무정보는 다음과 같은 요건에 충실하여 개선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첫째, 재무제표는 이용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정보는 투자의사결정 목적에 이해가 어렵다는 이유로 제외될 수는 없기 때문에 충분한 정보가 기재될 필요가 있다. 둘째, 투자자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주는 정보가 포함되도록 목적 적합성을 충족해야 한다. 정보는 이용자가 과거, 현재, 미래의 사건을 평가하거나 과거의 평가를 확인 또는 수정하는 데 도움이 되어야 하며, 목적 적합성은 공시정보의 성격과 중요성에 영향을 받는다. 셋째, 이용자가 기업의 재무상태와 경영성과 등의 추세를 확인하기 위해 재무제표를 기간별로 비교할 수 있도록 작성·제공함으로써 기업 간의 비교가능성을 제고해야 한다. 넷째, 재무정보가 유용하게 이용되기 위한 신뢰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이용자가 정보에 대해 중요한 오류나 미비점이 없이 충실하게 표현되었다고 믿을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또한 금융당국은 낮은 공시심사 기능, 품질관리 감독 실효성 미흡, 규제의 국제적 정합성 미흡 등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회계의 선진화방안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검토될 수 있는 대안으로는 우선, 감사서비스의 기능강화를 위한 상장법인 감사인 등록제의 도입, 저가수임 경쟁에서 품질경쟁으로의 전환 등을 들 수 있으며, 중소형 회계법인의 대형화 및 전문화를 유도해 회계법인의 체질을 개선하고 국제적 경쟁력을 확보토록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부실공시로 인한 투자자 피해를 최소화하는 사전예방적 감독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동시에 부실감사 회계법인에 대한 제재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과징금 확대 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자발적인 수정 공시를 강화하고 고의적이지 않은 오류에 대해서는 신축적으로 대응하는 유연성도 필요하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52136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