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역사학
· ISBN : 9788952114495
· 쪽수 : 1099쪽
· 출판일 : 2013-03-15
목차
머리말
범례: 미리 일러두는 몇 가지 말들
개요
제1부 북한 연구의 자료와 방법
제1장 이 책의 목적과 구성 및 자료
제2장 북한정치연구의 방법론
제2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역사적 뿌리(1863년~1945년 8월)
제3장 조선 농민의 연해주이주로부터 망국까지의 시기에 한인이 전개한 민족
제4장 대한제국의 멸망으로부터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까지의 시기에 한인이 전개한 민족주의운동과 공산주의운동(1910년~1919년)
제5장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으로부터 조선공산당 및 신간회의 해체까지의 시기에 한인이 전개한 민족주의운동과 공산주의운동(1919년~1931년)
제6장 김일성의 항일공산주의운동 참가(1920년대~1931년)
제7장 일제의 만주침략으로부터 중국침략직전까지의 시기에 한인이 전개한 민족주의운동과 공산주의운동(1931년~1937년)
제8장 인제의 중국침략개시로부터 패망까지의 시기에 한인이 국내에서 전개한 민족주의운동과 공산주의운동(1937년 7월 7일~1945년 8월 14일)
제9장 일제의 중국침략개시로부터 패망까지의 시기에 한인이 국외에서 전개한 민족주의운동과 공산주의운동(1937년 7월 7일~1945년 8월 14일)
제3부 전시 연합국회담들의 코리아에 대한 토론과 코리아의 분할 (1939년 9월~1945년 8월)
제10장 코리아를 잊고 있던 단계(1939년 9월~1943년 1월)
제11장 코리아에 조건부독립 허용을 구상하던 단계(1943년 1월~1945년 4월)
제12장 북위 38도선에서의 코리아분할을 구상하던 단계(1945년 4월 중순~1945년 7월 하순)
제13장 소련의 대일참전과 북한점령, 그리고 미국의 코리아분할결정(1945년 8월 초순~1945년 8월 하순)
제4부 소련점령 제1기의 북한(1945년 8월~1946년 1월)
제14장 소련, 북한점령정책의 뼈대를 구상하다(1945년 8월 15일~1945년 8월 하순)
제15장 소련, 북한점령정책의 방향을 설정하다: 김일성의 귀국과 스탈린의「지령」(1945년 8월 하순~1945년 10월 초순)
제16장 소련, 북한만을 단위로 하는 당-정기구들을 출범시키다: "순수형 연립"의 유지와 김일성의 활동(1945년 10월 초순~1945년 11월 하순)
제17장 소련, 김일성을 정점으로 하는 권력중심을 창출하다(1945년 11월 하순~1945년 12월 하순)
제18장 모스크바3상회의 결정을 둘러싼 대결이 깊어지면서 북조선에서 순수형 연립이 붕괴하다(1945년 12월 하순~1946년 1월 초순)
제1권의 일지
참고문헌
찾아보기-인명/-사항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