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복지학
· ISBN : 9788952115300
· 쪽수 : 504쪽
· 출판일 : 2013-11-15
책 소개
목차
제3개정판 머리말 v
제2개정판 머리말 vii
제1개정판 머리말 ix
머리말 xi
제1부 사회복지의 기초
제1장 사회복지의 개념 3
1. 사회복지의 정의 3
2. 사회복지와 사회제도 6
3. 사회복지와 관련 개념 11
제2장 사회복지의 이념과 가치 17
1. 사회복지와 사회이론 18
2. 사회복지의 이념 21
3. 사회복지체제의 유형 36
4. 사회복지의 가치 39
5. 사회복지의 실천윤리 44
제3장 사회복지의 역사 49
1. 전통사회의 구빈사업 50
2. 영국의 사회복지 역사 53
3. 미국의 사회복지 역사 64
4. 한국의 사회복지 역사 71
제4장 사회복지 학문의 기초 85
1. 사회과학과 사회복지 85
2. 사회복지학의 성격과 방법 94
제2부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방법과 체계
제1장 사회복지실천 101
1. 사회복지실천방법 101
2. 사회복지실천의 이론적 기초 104
3. 사회복지실천의 기술 109
4. 사례관리 126
제2장 사회복지정책 133
1. 사회복지정책의 의의 133
2. 사회복지정책의 과정 135
3. 사회복지정책의 산출분석 139
제3장 사회복지행정 143
1. 사회복지행정의 의의 143
2. 사회복지행정의 기본구조 145
3. 사회복지행정의 과정 148
4. 사회복지행정조직 151
제4장 사회복지조사, 계획, 평가 159
1. 사회복지조사의 의의 159
2. 사회복지조사의 방법 163
3. 사회복지계획 166
4.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설계 170
5. 사회복지의 평가 174
제5장 사회복지인력 177
1. 사회복지사 자격증 제도 177
2. 사회복지의 인력 181
3. 사회복지사의 활동영역 182
제6장 사회복지의 법체계 187
1. 사회복지의 법체계 187
2. 사회보장기본법 188
3. 사회보험법 190
4. 공공부조법 191
5. 사회서비스 관련법 195
제3부 사회복지의 실천분야
제1장 공공부조 209
1.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연혁 210
2.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내용 211
3.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쟁점과 과제 216
제2장 사회보험 221
1. 산업재해보상보험제도 222
2. 건강보험제도 230
3. 국민연금제도 238
4. 고용보험제도 245
5. 사회보험제도의 쟁점과 과제 251
제3장 아동복지 257
1. 아동문제와 아동복지의 의의 257
2. 아동복지의 기본원칙 262
3. 아동복지의 기능과 서비스 269
제4장 노인복지 277
1. 노인문제와 노인복지의 의의 277
2. 노인복지의 기본원칙 280
3. 노후생활을 위한 사회보장과 복지서비스 281
4. 노인복지의 과제 289
제5장 장애인복지 293
1. 장애인의 권리와 장애인복지의 의의 293
2. 장애인복지의 기본원칙 300
3. 장애인복지의 실천과 서비스 302
4. 장애인복지의 과제 310
제6장 여성복지 313
1. 여성문제와 여성복지의 의의 313
2. 여성복지의 기본원칙 320
3. 여성복지정책과 서비스 324
제7장 가족복지 335
1. 가족문제와 가족복지의 의의 335
2. 가족문제의 접근방법 342
3. 가족복지의 실천방법 349
4. 가족복지의 과제 352
제8장 지역사회복지 357
1. 지역사회복지의 의의 357
2. 지역사회조직의 목표와 실천모형 360
3. 지역사회복지의 원칙과 실천과정 362
4. 지역사회복지의 실천분야와 서비스 363
제9장 의료 및 정신보건사회복지, 지역사회정신건강 375
1. 의료사회복지실천 375
2. 정신보건사회복지 384
3. 지역사회정신건강 388
제10장 학교사회복지 393
1. 학생문제와 학교사회복지의 의의 393
2. 학교사회복지실천의 원칙 397
3. 학교사회복지실천방법과 서비스 399
4. 학교사회복지의 과제 401
제11장 교정사회복지 405
1. 범죄문제와 교정사회복지의 의의 405
2. 교정사회복지 관련제도 409
3. 교정사회복지의 실천방법과 서비스 414
4. 교정사회복지의 과제 416
제12장 21세기 사회복지 동향과 과제 423
1. 복지국가의 위기에서 신자유주의의 위기로 424
2. 기로에 선 한국의 복지국가 435
참고문헌 445
부록 사회보장기본법 455
찾아보기 469
Abstract 483
책속에서
사회복지조사에서 질적 방법의 필요성은 오래전부터 강조되어 왔다. 그러나 질적 방법을 체계적으로 활용한 연구는 많지 않다. 질적 방법의 발전을 저해하는 장애요인으로는 양적 방법만을 과학적 방법으로 강조하는 주류 연구자들의 비판적 태도, 질적 방법의 적용을 위한 지침의 부족, 모델링을 할 수 있는 연구결과의 부족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질적 방법은 조사자의 주관적 편견이 개입할 가능성이 크고 부정확한 분석을 초래할 수 있다는 한계를 갖고 있다. 특히 20세기 중반 이후 사회과학에서 양적 방법이 지배적으로 사용되면서 양적 방법이 질적 방법보다 우월하게 생각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다시 질적 방법이 새로운 지지를 얻고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케어 메니지먼트나 사례관리는 지역사회에서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중요한 실천방법이 되었다. 특히 지역사회의 재가보호대상자는 복지서비스뿐 아니라 보건․의료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아 그러한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할 때에는 각기 다른 여러 기관들을 찾아가야 하는 어려움에 직면하게 된다. 재가보호대상자로서는 복잡하고 다양한 서비스 중에서 자기에게 적합한 것을 선택하여 이용한다는 것은 용이한 일이 아니다. 특히 재가보호대상자는 공식적인 서비스뿐만 아니라 자원봉사자나 비공식적 지원체계의 서비스도 함께 포괄적으로 이용할 필요가 있다.
사회복지기관의 직원능력개발에서 효과적인 방법의 하나는 슈퍼비전이다. 슈퍼비전(supervision)이란 직원의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적 행정과정으로서 책임 있는 지위에 있는 상급자가 그 직무에 관한 지식이나 기술을 부하 직원에게 지도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현장교육을 중요시하는 사회복지교육에서는 사회복지기관의 슈퍼비전을 학생들의 실습교육의 방법으로 활용하고 있다. 인사관리에는 이 외에도 직원의 신체적․정신적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인력보전관리, 복지후생, 사기앙양, 인간관계관리 등이 포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