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알타이학의 어제와 오늘

알타이학의 어제와 오늘

김주원, 송기호, 한정숙, 고동호, 서정선, 강정원, 조현설, 김종일 (지은이)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3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4,000원 -0% 0원
1,700원
32,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34,000원 -10% 1700원 28,900원 >

책 이미지

알타이학의 어제와 오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알타이학의 어제와 오늘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언어학
· ISBN : 9788952116741
· 쪽수 : 412쪽
· 출판일 : 2015-10-15

책 소개

알타이학총서 1권.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산하 알타이학연구소는 알타이어족에 대한 학제적 연구를 내걸고 관련 연구자들이 모여 집담회를 이어 왔으며, 이 책은 이 집담회 과정의 산물이다.

목차

머리말

1장. 서론: 알타이학의 어제와 오늘
1. 들어가기
2. 알타이언어 사용 지역
1) 만주퉁구스어파
2) 몽골어파
3) 튀르크어파
3. 알타이언어 연구의 역사
4. 한국어 계통 연구의 역사
5. 알타이학에 대하여

2장. 알타이어계 제 민족 시조신화 자료 검토
1. 들어가기: 알타이어족과 시조신화 연구의 관계
2. 알타이어 제 민족 시조신화 자료들
1) 튀르크계 시조신화
2) 몽골계 시조신화
3) 퉁구스계 시조신화
3. 계통별 시조신화의 특징들
4. 맺음말

3장. 한국의 만주어 연구 현황과 과제
1. 들어가기
2. 조선조 사역원
1) 청학
2) 판본 청학서
3. 20세기 이후
1) 청학서
2) 청나라 간행 만주문 자료
3) 기타
4. 맺음말

4장. 우디허어 연구사와 현지조사 노트
1. 들어가기
1) 우디허인의 인구
2) 우디허인의 과거와 현재의 거주지
3) 우디허 민족의 명칭
4)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우디허인
2. 우디허어 연구사
1) 주요 연구 논저
2) 우디허어의 방언
3) 크라스니 야르 우디허인의 언어 사용 상황(구체적 사례)
3. 맺음말

5장. 러시아 연해주의 발해사 연구
1. 들어가기
2. 연해주 발해 연구의 여정
3. 한러 공동 조사와 보고서
4. 이해의 심화를 위하여
5. 맺음말

6장. 러시아 제국 지식인의 시베리아 토착민관
1. 들어가기
2. 시베리아에 대한 야드린체프 이전의 연구
3. 시베리아에 바친 사랑: 야드린체프의 삶과 학문
4. 시베리아학을 넘어 시베리아 토착민 연구로
5. 야드린체프의 시베리아 토착민관
1) 시베리아의 다양한 토착민 집단
2) "토착민 사멸"론
3) 러시아인과의 관계, 그 복합적 면모
4) 토착민의 문화적 능력
5) 우그로 알타이족의 문화사
6) 토착민 보호를 위한 노력의 필요성
6. 맺음말

7장. 시베리아 샤머니즘의 특성과 그 연구사
1. 들어가기
2. 시베리아와 시베리아 샤머니즘
1) 시베리아
2) 시베리아 샤머니즘: 사하-야쿠치아를 중심으로
3) 으흐아흐 축제와 샤머니즘
4) 곰의례와 샤머니즘
3. 시베리아 샤머니즘에 대한 연구사
1) 19세기까지의 민족지적 연구
2) 20세기의 시베리아 샤머니즘 연구
4. 맺음말

8장. 유전체 서열 변이를 이용한 동아시아 민족 간 유전적 연관성 분석 연구 현황과 과제^
1. 들어가기
2. 분자계통학과 분자인류학
3. 동아시아 민족의 유전적 연관성에 대한 연구
4. 서울대학교 유전체의학연구소(GMI?SNU) 연구 자료 소개
5. 맺음말: 향후 연구 과제 및 결론

찾아보기
Abstract
발간사

저자소개

송기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명예교수 1956년 대전 출생으로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에서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한림대학교 사학과 조교수를 거쳐 1988년 8월부터 2021년 2월까지 서울대학교 국사학 과 교수로 재직했다. 서울대학교 기록관장(2001~2005, 2012)과 박물관장(2007~2011)을 역임했고, 미국 하버드대학 옌칭연구소(1997~1998),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대학(2006), 영국 케임브리지대학(2013)에서 연구년을 보냈다. 학부 시절부터 발해사를 연구했고, 후반기에는 생활사 연구도 진행했다. 주요 저서 및 역서 『발해의 역사』 번역서, 1987 『발해를 찾아서』 초판 1993; 개정증보판 2017 『발해정치사연구』 1995 『러시아 연해주와 발해 역사』 공역, 1996 『발해를 다시 본다』 초판 1999; 개정증보판 2008 『발해고』 번역서, 초판 2000; 신개정판 2021 『한국 고대의 온돌: 북옥저, 고구려, 발해』 2006 『동아 시아의 역사분쟁』 2007; The Clash of Histories in East Asia 2010(영문 번역서) 『이 땅에 태어나서』 우리역사읽기 1, 초판 2009; 개정증보판 2015 『시집가고 장가가고』 우리역사읽기 2, 초판 2009; 개정증보판 2015 『말 타고 종 부리고』 우리역사읽기 3, 초판 2009; 개정증보판 2015 『발해 사회문화사 연구』 2011 『농사짓고 장사하고』 우리역사읽기 4, 2014 『과거보고 벼슬하고』 우리역사읽기 5, 2014 『임금되고 신하되고』 우리역사읽기 6, 2014 『강 넘고 바다 건너』 우리역사읽기 7, 2016 『한국 온돌의 역사』 2019 『발해 사학사 연구』 2020
펼치기
한정숙 (감수)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역사교육학과와 같은 대학교 대학원 서양사학과를 졸업한 뒤 독일 튀빙겐 대학교에서 혁명기 러시아의 경제사상사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부산여자대학(현 신라대학교)·세종대학교·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 교수를 거쳤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다. 주로 러시아사, 우크라이나사, 여성사에 관한 논문과 저서를 발표하고 있으며, 『노동의 역사』(한길사, 1981) 『봉건사회』(한길사, 1986) 『비잔티움 제국사』(공역, 까치, 1999) 『우크라이나의 역사』(공역, 아카넷, 2016)를 비롯해 서양사에 관한 여러 책을 번역했다.
펼치기
고동호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언어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일본 도쿄외국어대학 객원 조교수, 전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장 등을 역임했다. 전북대학교 국어국문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한국알타이학회에서 발간하는 알타이학보 편집진을 겸하고 있다. 주 전공은 역사비교언어학과 만주 퉁구스 언어이다. 공저로 『Materials of spoken Manchu』(2008), 『중국의 다구르어와 어웡키어의 문법?어휘 연구』(2010)가 있다. 또한 관심 분야인 알타이어와 만주-퉁구스어 분야에서 만주어 문어와 구어, 어웡키어(Ewenki), 시베어(Sibe), 헤체어(Hezhe) 등에 관한 연구서와 논문이 있다.
펼치기
서정선 (지은이)    정보 더보기
o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o 서울대학교 대학원(의학박사) o 미국 Rockefeller 대학교 Post Doc o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석좌교수, 정밀의료센터장, 마크로젠 창업자, 이사회 의장
펼치기
강정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인류학 중에서 민속학(민속인류학, 인류민속학, 민속문화학)을 담당한다. 한국민속학회 회장을 역임하였고 현재 한국문화인류학회 회장(2025-2026)에 재임 중이다. 1963년 경북 예천 출생으로 서울대학교 인류학과에서 학사와 석사 학위를 획득하였고 독일 뮌헨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민속학과 민족학, 사회문화인류학을 발전시키고 민속문화 연구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이론 및 방법론 정립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민속인’과 ‘민속세계’ 개념을 정립한 바 있다. 한국을 비롯한 세계 전반에서 자유 · 평등 · 연대 · 해방을 이룸에 민속문화 연구가 기여할 가능성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 샤머니즘을 포함한 종교 민속문화와 일생의례 및 공동체 · 경제 민속문화, 한국과 북한을 비롯한 동 · 북 · 중앙아시아, 러시아 · 독일 민속문화에 관심을 두고 있다.
펼치기
조현설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국대학교 대학원에서 동아시아 건국신화 연구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현재 서울대학교 국문학과 교수로 있으며, 신화와 옛이야기의 마력에 빠져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여러 지역의 신화와 민담 연구에 힘을 쏟고 있습니다. 한겨레 옛이야기 건국신화편을 기획했으며, 어린이들을 위해 고전소설 《심청전》 《유충렬전》 《전우치전》 등을 풀어썼고, 어른들을 위한 한국신화 안내서 《우리 신화의 수수께끼》를 펴내기도 했습니다.
펼치기
김종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52122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