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아시아의 무형문화유산

아시아의 무형문화유산

(정책과 제도, 정체성)

강정원, 허용호, 박상미, 권혁희, 조진곤, 주도경, 임경택, 김형준, 이평래, 홍석준, 김경학, 구기연 (지은이)
  |  
진인진
2022-08-31
  |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28,500원 -5% 0원 900원 27,6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인터파크 로딩중
11st 로딩중
G마켓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아시아의 무형문화유산

책 정보

· 제목 : 아시아의 무형문화유산 (정책과 제도, 정체성)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인류학/고고학 > 인류학
· ISBN : 9788963475264
· 쪽수 : 430쪽

책 소개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세계 속의 아시아연구 시리즈 32권. 아시아의 무형문화유산에 대해 국제기구와 국가가 정책과 제도를 통해서 개입하는 문제를 중점적으로 탐구한 연구서다.

목차

서문-문화의 보존과 창출

제1부 무형문화유산 이론과 접근 방식
제1장 문화 관리와 무형문화유산(강정원)
제2장 유네스코 체제와 한국의 무형문화유산(허용호)
제3장 무형문화유산의 같음과 다름-종교 무형문화유산을 중심으로(박상미)
제4장 아시아의 무형문화유산 보호
-유네스코 인간문화재제도 도입과 운영을 중심으로(차보영)

제2부 유네스코와 국가 무형문화유산 정책의 관계
제5장 전통명절, 조선옷, 민족음식을 통해 본 북한의 무형문화유산(비물질문화유산)
-문화유산 정책과 주민 생활문화의 변화를 중심으로(권혁희)
제6장 중국 윈난성의 무형문화유산 보호 및 전승 현황(조진곤)
제7장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제도의 지역 적용-중국 옌볜조선족자치주의 사례(주도경)
제8장 무형문화유산 보호의 두 가지 차원-일본의 공예 부문 사례를 중심으로(임경택)
제9장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보호 협약과 인도네시아의 문화적 다양성
-전통춤 '자띨란'의 사례를 중심으로(김형준)

제3부 무형문화유산 정책·제도와 정체성
제10장 인류무형문화유산 '후미' 등재를 둘러싼 몽중의 갈등과 그 배경(이평래)
제11장 말레이시아 무형문화유산과 이슬람 부흥
-'디끼르바랏'과 '방사완', 그리고 '와양꿀릿'의 사례를 중심으로(홍석준)
제12장 인도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요가'(Yoga)의 정치화와 국가 정체성(김경학)
제13장 이란 시아 무슬림의 감정 동학과 인류무형문화유산
-수난극 타지에를 중심으로(구기연)

저자소개

이평래 (지은이)    정보 더보기
몽골 과학아카데미 역사연구소에서 몽골 근대사로 역사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한양대와 한국외대 강사를 역임하고 한국외국어대 중앙아시아연구소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의 대표적인 몽골 연구자로 최근에는 몽골 역사뿐 아니라 신화와 종교 등 몽골의 정신문화에도 많은 관심을 기울이며 활발한 연구 활동을 펼치고 있다. 《실크로드의 삶과 종교》, 《중앙아시아의 역사와 문화》, 《중국 역사가들의 몽골사 인식》, 《오류와 편견으로 가득한 세계사 교과서 바로잡기》, 《중국 학자들의 소수민족 역사 서술》, 《아시아의 죽음 문화: 인도에서 몽골까지》 등 20여 권을 공동 저술하고, 《몽골 민간 신화》, 《몽골의 종교》, 《중앙유라시아의 역사》, 《몽골 신화의 형상》, 《몽골의 역사》 등을 우리말로 번역했으며, 몽골 및 중앙아시아사에 관한 논문 40여 편을 발표했다.
펼치기
김경학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도 자와할랄 네루대학교(Jawaharlal Nehru University)에서 인도 농촌사회의 카스트 관계의 역동성에 관한 인류학적 현지 조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전남대학교 문화인류고고학과와 대학원 디아스포라 협동과정 교수로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장을 맡고 있으며, 국제이주, 디아스포라, 다문화사회 등을 주제로 연구와 강의하고 있다. 캐나다와 호주 및 피지 등의 인도인 디아스포라, 국내 고려인과 네팔 이주자를 대상으로 초국가적 가족과 돌봄 문화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대표적인 저서로는『국제이주와 인도인 디아스포라』,『글로벌 시대의 인도사회—초국가주의, 디아스포라, 인권』,『터번의 문화정치—시크의 초국가적 민족주의』,『초국가적 가족과 돌봄 문화—‘고려인마을’ 고려인 동포들의 이야기』등이 있다.
펼치기
임경택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60년에 태어났다. 서강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 인류학과를 거쳐 일본 도쿄대학 대학원 총합문화연구과(문화인류학 전공)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메이지유신과 패전이라는 두 가지 거대한 사건을 통해 변화한 일본의 역사와 문화를 연구해왔으며, 현재는 20세기 한국과 일본의 심성체제 비교연구, 일본의 출판문화와 교육 등에 관해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논저로 『문명의 오만과 문화의 울분』(공저), 「근대 ‘학교’ 도입 이전의 일본의 보통교육의 특색과 기반」, 「근대 초기일본의 학교와 지역사회와 국가」가 있고, 옮긴 책으로 『사전, 시대를 엮다』, 『독서와 일본인』 등이 있다.
펼치기
홍석준 (옮긴이)    정보 더보기
목포대학교 인문대학 고고문화인류학과 교수 겸 도서문화연구원 원장이다.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인류학과 학사와 동 대학원 인류학과 석사를 거쳐 동대학원 박사과정에서 말레이시아 농촌의 이슬람화와 문화변동이라는 연구로 인류학박사학위를 받았다. 말레이시아의 이슬람과 이슬람화, 말레이시아의 사회와 문화, 다문화사회로서의 말레이시아의 역사와 문화, 동남아시아의 노인과 노년문제, 도서해양부 동남아시아 해양세계와 이슬람, 동아시아 해양 실크로드의 역사와 문화, 동아시아 항구도시의 역사와 문화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해 왔다. 현재 말레이시아 항구도시의 사회적 구성과 문화 정체성, 말레이시아 전통의 재생과 이슬람화, 말레이시아 한인사회의 역사와 문화, 말레이시아 이슬람과 모더니티, 한-아세안 사회문화 교류와 협력 활성화, 도서해양부 동남아시아 해양세계의 사회적 구성과 문화 혼종성, 섬의 인문학: 인문지형의 변동과 지속가능성 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펼치기
김형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강원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이다. 서울대학교 인류학과를 졸업한 후 호주국립대학교에서 인도네시아 농촌 사회 변동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인도네시아 이슬람의 변화, 이슬람 단체 무함마디야의 민주적 전통 등에 대해 연구해왔다. 현재 동남아시아 이슬람과 모더니티 문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펼치기
강정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교수이다. 러시아 시베리아 야쿠트 샤머니즘에 관한 연구로 독일 뮌헨대학교 문화인류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인류학과에서 민속학 일반과 종교인류학 등을 담당하고 있다. 샤머니즘을 포함한 종교민속에 대한 다수의 논문과 책을 발표하였고, 공동체 민속문화와 문화정책, 박물관 등과 연관된 여러 업적을 가지고 있다. 한국민속학회장과 한국민속학술단체연합회장을 역임하였다. 한국과 러시아, 중앙아시아, 미국 등지에서 현장연구를 수행한 바 있다.
펼치기
허용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주대학교 문화재학과 특임교수이다. 한국의 전통연희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고려대학교 연구교수, 동국대학교 초빙교수, 한국예술종합학교 객원교수를 역임했다. 그동안 가면극, 인형극, 굿, 대동놀이 등 전통연희 전반에 대한 연구를 수행해 왔다. 그 과정에서 나손학술상, 비교민속학회 최우수학술상, 월산민속학술상 등을 수상했다. 현재는 근현대 전통연희의 양상과 국내외 무형유산 관련 정책에 주목하여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지금까지 지은 책으로 『전통연행예술과 인형오브제』, 『박탈』, 『무속, 신과 인간을 잇다』(공저), 『연희, 신명과 축원의 한마당』(공저), 『인형연행의 문화전통 연구』, 『연행론의 학문적 연행에 대한 반성적 고찰』, 『줄다리기』(공저), 『행당동아기씨당굿』, 『탈춤』(공저) 등이 있다. 현재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객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구기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HK연구교수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이란어과와 서울대학교 인류학 석사를 거쳐 동 대학원에서 이란 청년 세대에 대한 심리인류학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란의 정동, 청년 세대와 무슬림 여성 문제, 중동 내 한류 그리고 미디어를 통한 시민사회운동 등에 대해 연구해왔다. 현재 서아시아의 모빌리티 이슈, 이란 위성 미디어의 사회문화적 역할, 한국 서아시아 무슬림 이주와 난민 문제 그리고 이슬람과 관련된 정동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펼치기
구기연의 다른 책 >
박상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학부의 교수이다. 서울대학교 인류학과에서 학사 학위를, 미국 하버드대학교 인류학과에서 대만 전문직 여성의 일, 가족, 친족의 연구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 세계유산 분과 위원이며, 2019년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심사기구 의장을 맡았다. 연구 분야는 문화유산과 정체성, 소비문화, 무형문화유산의 공동체 등이다.
펼치기
권혁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강원대학교 문화인류학과 조교수이다.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와 서울대학교 인류학 석사를 거쳐 동 대학원에서 “밤섬마을의 역사적 민족지와 주민집단의 문화적 실천”으로 인류학 박사학위(2012)를 받았다. 근대화와 문화변동, 한국문화의 전통과 현대적 창출 등에 대해 연구해왔다. 현재 북한의 시각예술과 주민의 생활문화 그리고 문화유산정책 등을 중심으로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조진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윈난사범대학교 외국어대학 조교수이다. 베이징제2외국어대학 한국어과와 대구대학교 국문학 석사를 거쳐 서울대학교에서 강릉단오제에 대한 인류학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로 한국 민속문화, 한중 양국의 무형문화유산에 대해 연구해 왔다. 현재 한중 비교문화 연구, 중국 인류학사, 코로나 시대의 중국 도시민 등 주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펼치기
주도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에서 동양사학과 인류학을 복수전공하고 동 대학원 인류학과에서 한복의 재전유와 전통성이라는 주제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박물관 인류민속부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하였다. 한국 전통과 근대성, 민속의 재창조. 박물관과 문화유산, 코리안 디아스포라, 이주에 따른 종족 문화의 변화 등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해왔다. 현재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하고 조선족이 일상과 무대에서 추는 전통춤에 나타나는 종족성의 경험과 표현에 대해 연구 중이다.
펼치기

책속에서

아시아의 무형문화유산의 현재를 검토하고 미래를 바라보기 위해서 제작된 이 책은 13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책의 효율적 독해를 돕고 논문들의 관계를 좀 더 체계화시키기 위해서 3부로
분류하였다. 제 1부는 무형문화유산 이론과 접근 방식이며, 제 2부는 유네스코와 국가 무형문화
유산 정책의 관계이고, 제 3부는 무형문화유산 정책·제도와 정체성이다.
...
이 책은 문화인류학과 민속문화학, 역사학의 학제 간 연구의 성과물이다. 국가나 유네스코가 문
화를 관리하면서도 자생성을 강화시키고자 하는 모순성 혹은 양면성이 무형문화유산 정책에 내
재해 있음을 아시아 각 국의 사례를 통해 검토해 보았다. 저자들은 아시아 각 국의 무형문화유산
정책과 아시아인들의 다양한 실천이 새로운 문화와 문화유산을 21세기에 꽃피우리라 기대한다.
유네스코가 주목한 무형문화유산의 상대성과 공동체성, 다양성에 아시아 각 국 무형문화유산이
가지고 있는 인류 보편성과 탁월성이 결합하여 인류무형문화유산 지형이 풍요롭고 다양하게 형
성되기를 희망한다. 아울러 이 책이 무형문화유산이 가지는 여러 특성을 파악하고 유산 정책과
제도를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데에 필요한 여러 새로운 접근 방식과 이론을 독자들이 이해하는
것을 돕고, 이 책을 기반으로 새로운 이론과 연구가 도출되기를 기대한다.
<서문>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