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역사학
· ISBN : 9788952118646
· 쪽수 : 332쪽
· 출판일 : 2017-02-28
책 소개
목차
책을 내면서
서장 고려시기 지방제도 연구 성과 정리
1. 연구사를 정리하면서
2. 고려시기 지방제도의 성립
1) 태조대 지방제도의 개편
2) 성종대 지방제도의 개편
(1) 성종 2년의 12목 설치와 향리제의 시행
(2) 성종 14년의 지방제도 개편
(3) 개성부와 적현.기현
3) 현종대 지방제도의 성립과 특징
3. 고려시기 지방제도의 구조와 운영
1) ‘주현속현제도’의 운영과 외관.향리
2) 속현의 위상
3) 계수관
4) 5도와 안찰사
4. 지방제도의 변화
제1장 고려초기 지방제도의 개편과 ‘주현속현제도’의 성립
1. 태조대 지방제도의 개편
2. 성종 2년 지방관 파견과 향리제 개편
3. 성종 14년 ‘주현제도’의 실시와 그 의미
4. 현종 9년 ‘주현속현제도’의 성립과 특징
5. ‘주현속현단위’의 편성과 주현의 위상
제2장 ‘주현속현제도’의 구조와 운영
1. 『고려사』 지리지의 군현 편성과 ‘주현속현제도’의 구조
(보론) 조세 ‘수취단위’의 의미
2. 계수관의 기능과 위상
1) 계수관의 지방통치 기능과 그 한계
2) 계수관의 위상
(1) 지방통치의 중심지
(2) 교통의 중심지
(3) 경제의 중심지
(4) 교육.문화의 중심지
3. 안찰사의 기능과 위상
1) 5도의 성립과 안찰사의 파견
(1) 도의 용례와 5도
(2) 안찰사의 파견시기와 목적
2) 안찰사의 기능
(1) 수령을 감찰하고 근무성적을 평가하여 보고하였다
(2) 백성의 어려움을 살펴서 보고하고 그 대책을 건의하였다
(3) 지방의 사법행정을 감찰하였다
(4) 군사를 지휘하였다
(5) 조세 징수에 관여하였다
(6) 기타
3) 안찰사의 위상과 변화
제3장 ‘주현속현단위’의 지리적 범위와 특징
1. ‘청주목지역’의 구조와 지리적 특징
1) ‘청주목지역’의 구조와 군현의 영속관계
2) ‘청주목지역’의 지리적 범위와 특징
(1) 서북쪽: 목주.전의현
(2) 남쪽: 연산군.연기현.회인현
(3) 북.동북쪽: 진주.도안현.청당현
(4) 동쪽: 청천현
3) ‘청주목지역’의 편성 배경
2. ‘상주목지역’의 구조와 지리적 특징
1) ‘상주목지역’의 구조와 군현의 영속관계
2) ‘상주목지역’의 지리적 범위와 특징
(1) 북쪽: 문희군.가은현.호계현.함녕군.산양현.용궁군
(2) 동쪽: 다인현.단밀현.안정현.비옥현
(3) 동남쪽: 해평군.선주(일선현).군위현.효령현.부계현
(4) 남쪽: 청리현.공성현.어모현.개령군
(5) 서쪽: 화령현.중모현.보령군.청산현.영동군
3) ‘상주목지역’의 편성 배경
3. ‘밀성군지역’의 성립과 지리적 특징
1) ‘밀성군지역’의 성립
(1) ‘경주영역’의 구조
(2) ‘밀성군지역’의 성립
2) ‘밀성군지역’의 지리적 범위와 특징
4. ‘개성부’의 변천과 지리적 범위
1) 태조 2년 개주의 설치와 그 지리적 범위
2) 성종 14년 개성부의 설치와 적현.기현
(1) 개성부의 설치와 적현.기현의 구성
(2) ‘적현지역’과 ‘기현지역’의 지리적 범위와 특징
3) 현종 9년 ‘경기’의 성립과 그 지리적 특징
4) 문종 16년 개성부의 복설과 ‘개성부영역’의 지리적 범위
5) 충선왕 복위년 개성부 개편과 그 의미
5. ‘진도현’의 위상과 변화
1) 현종 9년 ‘나주목지역’의 편성과 진도 3현의 위상
2) 인종 21년 현령관의 파견과 ‘진도현지역’의 설치
3) 고려후기 이후 진도현의 변화
결론
부록: 고려시기 지방제도 연구 목록
찾아보기
Abstract